KR200289613Y1 -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613Y1
KR200289613Y1 KR2020020017570U KR20020017570U KR200289613Y1 KR 200289613 Y1 KR200289613 Y1 KR 200289613Y1 KR 2020020017570 U KR2020020017570 U KR 2020020017570U KR 20020017570 U KR20020017570 U KR 20020017570U KR 200289613 Y1 KR200289613 Y1 KR 200289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ressure
foaming machine
pressure foaming
supply block
liquid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종
이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려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려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려자동화
Priority to KR2020020017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613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공급되는 원액공급블럭의 저면부에 별도의 액상토너공급블럭을 설치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가 서로 혼합되는 믹싱챔버의 내부에 제 1, 2, 3혼합부로 구성된 임펠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의 원액들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LOW PRESSURE FOAMING MACHINE FOR POLYURETHANE MANUFACTURE}
본 고안은 저압 발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챔버의 내부에서 폴리우레탄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이란 열경화성 수지의 소재로서 통상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Polyol)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즉, 상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우레탄은 신발의 아웃솔이나 건축자재등 기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 폴리우레탄에 안료를 혼합시킴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폴리우레탄 소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다양한 색상이 착색된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말상태의 색소를 폴리올 원액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에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시켜둔다. 이후에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폴리올과 착색되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을 각각의 공급관으로 투입한 뒤, 상기 공급관을개폐하는 실린더를 작동시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믹싱챔버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믹싱챔버내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는 원활히 혼합되어 지며, 이후에 제품의 형상을 가진 금형으로 토출시킴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한번 착색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폴리올 원액을 모두 사용할 때 까지는 다른 색상으로의 변경이 매우 까다로웠다. 즉, 제품을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색된 폴리올 원액이 닿았던 장치의 모든 부분 즉, 폴리올 저장탱크, 폴리올 공급관, 폴리올 공급용 펌프 등을 착새되지 않은 폴리올 원액이나 DOP 등의 세척용 원액을 사용하여 충분히 세척을 실시한 이후에야 다른 색상으로 착색된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색상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폴리올 저장탱크에 남아 있는 원액을 모두 버리고 새로운 원액으로 교체됨으로서 상기 폴리올 원액의 낭비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공급되는 원액공급블럭의 저면부에 별도의 액상토너투입블럭을 설치함으로서 색상의 변경이 용이한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가 서로 혼합되는 믹싱챔버의 내부에 제 1, 2, 3혼합부로 구성된 임펠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의 원액들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인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를 절개하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액상토너공급블럭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인 임펠러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원액공급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축 11: 원액공급블럭
14, 16: 제 1, 2공급관로 18: 봉체
20, 22: 제 1, 2연결관로 24, 32: 에어실린더
26, 34: 로드 28, 30: 제 1, 2수직관로
33: 액상토너공급블럭 36: 구멍
38: 유입관로 40: 액상토너 공급관
42: 임펠러 44: 믹싱챔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착색장치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를 절개하여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인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는 크게 내부에 회전축(10)이 삽입되어 있는 원액공급블럭(11)과 액상토너공급블럭(33)과 믹싱챔버(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0)은 모터(5)의 구동력을 통상의 벨트(13)와 풀리(12)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원액공급블럭(11)의 일측에는 피스톤 로드(26)를 가지는 실린더(24)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26)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 만큼의 기어이(2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이(25)는 후술할 봉체(18)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19)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액공급블럭(11)의 내부에는 폴리올 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관(14)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 2공급관로(16)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2공급관(14, 16)의 하부에는 제 1, 2수직관로(28, 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공급관로(14, 16)와 제 1, 2수직관로(28, 30)의 사이에는 제 1, 2연결관로(20 ,22)를 가지는 봉체(18)가 삽입됨으로서 상기 제 1, 2공급관로와 제 1, 2수직관로를 상기 제 1, 2연결관로(20 ,22)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2수직관로(28, 30)는 전술한 액상토너공급블럭(33)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상토너공급블럭(33)의 내부에는 제 1, 2수직관로(28, 3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직관로(28)의 일측으로 액상토너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의 유입관로(38)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로(38)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입관로(38)로 액상토너를 충진하기 위한 액상토너공급관로(4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상토너라 함은 다양한 색상을 가진 고농축의 칼라 배합액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로(38)의 내부에는 실린더(32)에 의해 전, 후진하는 피스톤 로드(34)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액상토너공급블럭(33)의 저면에는 제 1, 2수직관로(28, 30)와 유입관로(38)를 거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 원액이 서로 혼합되는 믹싱챔버(4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믹싱챔버(44)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혼합부(58)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 1, 3혼합부(50 ,64)가 형성된 임펠러(4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42)의 구성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 1혼합부(50)의 상부에는 결합구(51)가 형성되어 전술한 회전축(10)과결합된다. 상기 결합구(51)의 외부에는 원액이 투입되는 홈(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혼합부(50)의 외주면에는 그루브(56)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56)의 상, 하로 다수의 나선홈(54)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나선홈(54)에는 구멍(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혼합부(58)의 외주면으로는 대칭형의 삼각기둥 형상을 가진 제 1날개판(60)과 비대칭형의 삼각기둥 형상을 가진 제 2날개판(62)이 서로 엇갈리게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혼합부(64)의 외주면에는 그루브(56)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56)의 상, 하로 다수의 나선홈(66)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의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액공급블럭(11)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24)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26)를 전진 시키면 상기 피스톤 로드(26)의 기어이(25)와 맞물려 있는 봉체(18)가 회전하게 된다. 즉,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체(18)에 형성된 제 1, 2연결관로(20 22)가 90로 회전하여 제 1,2공급관로(14, 16)와 제 1,2수직관로(28, 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의 동작으로 인해 제 1, 2공급관로(14, 16)로 공급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은 제 1, 2연결관로(20 ,22)를 거쳐 제 1, 2수직관로(28, 30)로 이송되게 되며, 이후에 상기의 원액들은 액상토너공급밸브(33)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2수직관(28, 30)을 거친 후, 상기 액상토너공급밸브(33)의 저면에 형성된 믹싱챔버(44)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상토너공급밸브(33)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32)에 의해 피스톤 로드(34)가 후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34)에 의해 막혀있던 제 1수직관(28)이 개방되면서 유입관로(38)에 충진되어 있던 액상토너가 상기 제 1수직관(28)으로 주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상토너는 폴이올 원액과 같이 제 1수직관(28)을 통해 전술한 믹싱챔버(44)로 유입되며, 또한 제 2수직관(30)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상기 믹싱챔버(44)로 유입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믹싱챔버(44)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42)에 의해 상기의 원액들은 효과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의 혼합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임펠러(4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혼합부(50)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혼합부(50)의 상부에 형성된 홈(53)으로 전술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42)의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원액들은 상기 홈(53)에서 소용돌이를 형성함으로서 혼합되며 이후에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혼합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52)을 통과하게 되며, 이후에 나선홈(54)을 따라서 제 2혼합부(58)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홈(54)의 사이에 형성된 그루브(56)에 의해 상기의 원액들은 다시 한번 혼합되면서 하부의 나선홈(54)으로 이동하여 제 2혼합부(58)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1차적으로 혼합된 원액들은 상기 제 2혼합부(58)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2날개판(60 ,62)에 의해 2차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즉, 상기 제 1, 2날개판(60, 62)이 서로 엇갈리게 구성되어 회전함으로서 제 2혼합부(58)에 유입된 원액들은 엇갈린 제 1, 2날개판(60 ,62)에 지속적으로 부딪치며 와류를 형성하면서 2차적으로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혼합부(58)를 거쳐 2차로 혼합된 원액들은 마지막으로 제 3혼합부(64)로 유입되어 혼합되게 된다. 즉, 상기 제 3혼합부(64)의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66)을 따라 3차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홈(66)의 사이에도 그루브(68)를 형성하여 재차로 혼합된 후, 다시 나선홈(66)을 타고 이동하면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거쳐 혼합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는 전술한 믹싱챔버(44)의 하단부에 형성된 노즐(도면에 미도시 함)을 통하여 제품의 형상을 가진 금형으로 토출시킴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공급되는 원액공급블럭의 저면부에 별도의 액상토너투입블럭을 설치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으로의 변경이 용이하며, 또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가 서로 혼합되는 믹싱챔버의 내부에 제 1, 2, 3혼합부로 구성된 임펠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의 원액들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공급되는 원액공급블럭(11)과;
    상기 원액공급블럭(11)의 저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색상을 가진 액상토너가 공급되는 액상토너공급블럭(33)과;
    상기 액상토너공급블럭(33)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상토너가 서로 혼합되는 믹싱챔버(4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공급블럭(11)의 내부에는 제 1, 2공급관로(14, 16)와 제 1, 2수직관로(28, 30)를 가지며, 상기 제 1, 2공급관로(14, 16)와 제 1, 2수직관로(28, 30)의 사이에는 제 1, 2연결관로(20 22)를 가지는 봉체(1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수직관로(28, 30)는 액상토너공급블럭(33)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직관로(28)의 일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입관로(38)가 형성되며, 상기 각 유입관로(38)의 내부에는 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34)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챔버(44)의 내부에는 임펠러(4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42)는;
    외주면으로 각각의 제 1, 2날개판(60, 62)이 결합된 제 2혼합부(58)가 형성되며, 상기 제 2혼합부(58)의 양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54, 66)이 형성된 제 1, 3혼합부(50, 6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혼합부(50)의 나선홈(54) 구멍(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3혼합부(50, 64)의 중앙 외주면에는 그루브(56, 6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날개판(60)과 제 2날개판(62)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KR2020020017570U 2002-06-10 2002-06-10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KR200289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70U KR200289613Y1 (ko) 2002-06-10 2002-06-10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70U KR200289613Y1 (ko) 2002-06-10 2002-06-10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613Y1 true KR200289613Y1 (ko) 2002-09-16

Family

ID=7312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70U KR200289613Y1 (ko) 2002-06-10 2002-06-10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6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2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KR100855222B1 (ko) 2007-08-14 2008-08-29 주식회사고려자동화 토너 노즐이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장치
KR101249970B1 (ko) * 2011-08-26 2013-04-03 주식회사 성림기업 우레탄 저압발포기
KR102316579B1 (ko) * 2020-06-02 2021-10-22 (주)디유티코리아 혼합 효율이 높은 믹싱 헤드 뭉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22B1 (ko) 2007-08-14 2008-08-29 주식회사고려자동화 토너 노즐이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장치
KR100853252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KR101249970B1 (ko) * 2011-08-26 2013-04-03 주식회사 성림기업 우레탄 저압발포기
KR102316579B1 (ko) * 2020-06-02 2021-10-22 (주)디유티코리아 혼합 효율이 높은 믹싱 헤드 뭉치
WO2021246575A1 (ko) * 2020-06-02 2021-12-09 (주)디유티코리아 혼합 효율이 높은 믹싱 헤드 뭉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6280A (ko) 액체 착색제 혼합 장치, 방법 및 액체 착색제를 사용한플라스틱 착색 방법
KR200289613Y1 (ko) 폴리우레탄 제조용 저압 발포기
JP3795255B2 (ja) 紡糸原料着色装置
KR100906376B1 (ko) 복합노즐을 갖는 다색사출기
KR102073822B1 (ko) 안료의 혼합이 용이한 우레탄 발포기
CN101262934B (zh) 动态螺旋式混合器和使用该混合器的混合装置
CN204340070U (zh) 一种聚氨酯发泡机的浇注头
EP3680007B1 (en) Rotary mixer in two-liquid mixture injection machine
KR100853252B1 (ko)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CN203739104U (zh) 一种三成分加颜料撞针式灌注装置
US3908966A (en) Mixing apparatus
KR101219915B1 (ko)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CN209718405U (zh) 一种聚氨酯低压浇注机搅拌机头
CN207899352U (zh) 搅拌器转速多档位的发泡机混合头
JPS6233926B2 (ko)
CN203739107U (zh) 一种二成分高温撞针式灌注装置
CN100484743C (zh) 发泡机混合头
KR20090105214A (ko) 합성우레아 화합물 분사장치
KR200366283Y1 (ko) 다색 다종 사출기
KR200180734Y1 (ko) 화장용 2색 이상의 컬러 스폰지 제조 장치
JP3172561U (ja) 2液混合型注入機
CN2187531Y (zh) 旋转注射反应注射成型机
CN203739103U (zh) 一种二成分加颜色撞针式灌注装置
JP2573156B2 (ja) 合成樹脂発泡体製造用材料混合ヘッド
CN217346163U (zh) 一种聚合成二氧化碳基可降解塑料的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