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78Y1 -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 Google Patents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78Y1
KR200287878Y1 KR2020020016910U KR20020016910U KR200287878Y1 KR 200287878 Y1 KR200287878 Y1 KR 200287878Y1 KR 2020020016910 U KR2020020016910 U KR 2020020016910U KR 20020016910 U KR20020016910 U KR 20020016910U KR 200287878 Y1 KR200287878 Y1 KR 200287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ipe
water
pist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최영호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호,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호
Priority to KR202002001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78Y1/ko

Links

Landscapes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용 부동전을 계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에 부동전의 동파와 물의 낭비를 막을수 있도록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을 구성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상통수관(1)과 지하급수관(2) 사이에 지상통수관(1)과 격리되게 저수통(3)을 형성하여 지하급수관(2)과 연통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지하급수관(2)과 연결되어 개폐실(311)을 형성한 하판(31)과 지상통수관(1)의 수도관(101)과 연결되어진 상판(33)에 내통구(321)를 형성한 연통관(32) 내부로 피스톤(34)을 부설하여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저수실(301) 상부는 공기실(302)로 구성되게 저수통(1)을 형성하여 연통관(332)의 내통구(321)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고 동파예방을 위해 수도관(101) 내의 잔류수를 피스톤의 가압력에 의해 저수실(301) 내로 저장 할 수 있는 저수통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상통수관(1)에 수도꼭지(103)를 부착시켜 수도관(101)을 보호하는 보호관(104)과 함게 적정깊이의 지하에 저수통(3)을 매설하고 지하급수관(2)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지하급수관(2)에서 유입된 급수가 작동봉(341)에 의해 개폐실(311)에서 제어되며 저수실(301)로 유입되어 통수되는 급수는 별도의 우회되는 연결관이 없이 연통관(32)의 내통구(321)를 통해 지상으로 통수되고 동파예방을 위해 지상으로 연결된 피스톤로드(343)의 작동레버(102)를 조작하여 피스톤(34)을 상승시키면 저수실(301) 내의 가압력에 의해 수도관(101) 내의 잔류수가 저수실(301)에 내에 저장되어 동파를 예방하게 되는 것으로 물의 낭비가 없고 저수통의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가 용이한 내구적인 저수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FROST PROOF FAUCET WITH RESIDUAL WATER STOREAGE TANK}
본 고안은 상수도용 부동전을 계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에 부동전의 동파와 물의 낭비를 막을수 있도록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을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부동전은 지상통수관과 지하급수관 사이에 지상통수관과 격리되게 저수통을 형성하여 지하급수관과 연통되게 구성하고 상기 지하급수관으로 연통된 연결관을 굴절시켜 통수가 이루어지고 겨울철 동파예방을 위해 별도의 저수실을 구비하여 잔류수를 저수통에 보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졌다 이는 굴절된 연결관을 저수통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 일정부피의 확보된 공간이 필요하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보안하기 위해 저수통의 연통관에 내통구를 형성하여 별도로 우회되는 연결관이 없이 상기 내통구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고 잔류수를 저수실내에 저장 할 수 있는 저수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수통 작용도
도 3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지상통수관 101: 수도관
102: 작동레버 103: 수도꼭지
104: 보호관 2: 지하급수관
3: 저수통 31: 하판
311: 개폐실 312: 개폐밸브
313: 스프링 314: 개폐판
315: 유출구 32: 연통관
321: 내통구 33: 상판
331: 내통구 332: 나사부
333: 패킹 334: 너트
335: 흡배기밸브 34: 피스톤
341: 가압봉 342: 덮개
343: 피스톤로드 344: 걸림턱
345: 오링 312a: 통수홈
지상통수관(1)과 지하급수관(2) 사이에 지상통수관(1)과 격리되게 저수통(3)을 형성하여 지하급수관(2)과 연통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지하급수관(2)과 연결되어 개폐실(311)을 형성한 하판(31)과 지상통수관(1)의 수도관(101)과 연결되어진 상판(33)에 내통구(321)를 형성한 연통관(32) 내부로 피스톤(34)을 부설하여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저수실(301)을 갖추고 상부는 공기실(302)로 구성되게 저수통(1)을 형성하되,
하판(31)에 형성된 개폐실(311)의 개폐밸브(312) 중심저면으로 스프링(313)을 장치하여 개폐판(314)의 유출구(315)를 개폐 가능케 하여 피스톤(34)의 가압봉(341)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피스톤(34)은 가압봉(341)과 덮개(342) 사이에 피스톤로드(343)의 걸림턱(344)를 체결하고 이 로드(343)는 지상통수관(1)의 작동레버(102)에 의해 피스톤(34)이 작동되며 피스톤 외경으로 저수의 유입을 막기위해 오링(346)을 끼워서 피스톤 하부의 저수실(301)을 갖추어 이 저수실로 유입되어진급수가 연통관(32)의 내통구(321)를 통해 상판(33)으로 연통되어진 내통구(331)와 연결되어져 수도관(101)으로 통해 지상으로 통수되며 상판(33)의 저면으로 돌출되어진 나사부(332)에 저수의 유입을 막기위해 패킹(333)을 삽입하여 로드(343)가 통과 되고 상기 패킹을 너트(334)로 압착시키므로서 피스톤 상부와의 공기실(302)을 갖추게되어 피스톤(34)을 작동가능케 하기위해 공기실이 연통되는 흡배기밸브(335)를 상판(33)에 부착한 것으로 구성된다
* 미부호 설명 312a는 통수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상통수관(1)에 수도꼭지(103)를 부착시켜 수도관(101)을 보호하는 보호관(104)과 함게 적정깊이의 지하에 저수통(3)을 매설하고 지하급수관(2)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지하급수관(2)에서 유입된 급수가 작동봉(341)에 의해 개폐실(311)에서 제어되며 저수실(301)로 유입되어 통수되는 급수는 별도의 우회되는 연결관이 없이 연통관(32)의 내통구(321)를 통해 지상으로 통수되고 겨울철 동파 예방을 위해 저수실에 잔류수를 저장시키는 수단으로 지상으로 연결된 피스톤로드(343)의 작동레버(102)를 조작하여 피스톤(34)을 상승시켜 저수실(301) 내의 가압력에 의해 수도관(101) 내의 잔류수가 저수실(301)에 내에 저장되는 것으로 저수통의 구조가 간단하며 연통되는 구조가 단조롭워 급수의 흐름이 양호 할 뿐 아니라 제품의 제조가 용이한 내구적인 저수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지상통수관(1)과 지하급수관(2) 사이에 지상통수관(1)과 격리되게 저수통(3)을 형성하여 지하급수관(2)과 연통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지하급수관(2)과 연결되어 개폐실(311)을 형성한 하판(31)과 지상통수관(1)의 수도관(101)과 연결되어진 상판(33)에 내통구(321)를 형성한 연통관(32) 내부로 피스톤(34)을 부설하여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저수실(301)을 갖추고 상부는 공기실(302)로 구성되게 저수통(1)을 형성하되,
    하판(31)에 형성된 개폐실(311)의 개폐밸브(312) 중심저면으로 스프링(313)을 장치하여 개폐판(314)의 유출구(315)를 개폐 가능케 하여 피스톤(34)의 가압봉(341)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피스톤(34)은 가압봉(341)과 덮개(342) 사이에 피스톤로드(343)의 걸림턱(344)를 체결하고 이 로드(343)는 지상통수관(1)의 작동레버(102)에 의해 피스톤(34)이 작동되며 피스톤 외경으로 저수의 유입을 막기위해 오링(346)을 끼워서 피스톤 하부의 저수실(301)을 갖추어 이 저수실로 유입되어진 급수가 연통관(32)의 내통구(321)를 통해 상판(33)으로 연통되어진 내통구(331)와 연결되어져 수도관(101)으로 통해 지상으로 통수되며 상판(33)의 저면으로 돌출되어진 나사부(332)에 저수의 유입을 막기위해 패킹(333)을 삽입하여 로드(343)가 통과 되고 상기 패킹을 너트(334)로 압착시키므로서 피스톤 상부와의 공기실(302)을 갖추게되어 피스톤(34)을 작동가능케 하기위해 공기실이 연통되는 흡배기밸브(335)를 상판(33)에 부착한 것으로 구성된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KR2020020016910U 2002-06-01 2002-06-01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KR200287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10U KR200287878Y1 (ko) 2002-06-01 2002-06-01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10U KR200287878Y1 (ko) 2002-06-01 2002-06-01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78Y1 true KR200287878Y1 (ko) 2002-09-09

Family

ID=7307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10U KR200287878Y1 (ko) 2002-06-01 2002-06-01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54A (ko) * 2014-07-10 2016-01-20 김관수 부동 급수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54A (ko) * 2014-07-10 2016-01-20 김관수 부동 급수주
KR101600619B1 (ko) * 2014-07-10 2016-03-07 김관수 부동 급수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66734A1 (es) Grifo para llenado de cisternas.
CA2488953A1 (en)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wall hydrants/faucets
CA2513961A1 (en) Fluid hydrant
US7249609B2 (en) Yard hydrant with closure valve check valve
SG148936A1 (en) Discharge valve for a flushing cistern
KR200287878Y1 (ko)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US5553637A (en) Frost-free water supply
CA2556588C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air line
US6427716B1 (en) Positive displacement hydrant with water discharge path from reservoir
KR200430528Y1 (ko)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0658049B1 (ko) 부동전
CN201155878Y (zh) 太阳能热水器排空阀连接装置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327504Y1 (ko) 부동전
JP2958641B1 (ja) 配水本管内貯留緊急給水装置
US3013727A (en) Freeze-proof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047801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RU200113299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из скважины в башню и е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сливной клапан
KR102260392B1 (ko) 부동급수전의 냉기지연차단구조
RU70331U1 (ru) Вентиль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90000193U (ko) 드레인 밸브가 부착된 동파방지용 수도꼭지
KR101806977B1 (ko) 부동전
JP3292127B2 (ja) 給水栓および消火・給水栓
US189790A (en) Improvement in hydr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