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619B1 - 부동 급수주 - Google Patents

부동 급수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619B1
KR101600619B1 KR1020140086990A KR20140086990A KR101600619B1 KR 101600619 B1 KR101600619 B1 KR 101600619B1 KR 1020140086990 A KR1020140086990 A KR 1020140086990A KR 20140086990 A KR20140086990 A KR 20140086990A KR 101600619 B1 KR101600619 B1 KR 10160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ston
water supp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54A (ko
Inventor
김관수
종 환 안
종 환 안
Original Assignee
김관수
안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안종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102014008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6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동절기에 상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를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급수주의 동파를 방지해 주도록 형성된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부동 급수주는 종관과, 연결관과, 유입관과, 실린더와, 피스톤, 및 개폐패킹을 포함한다. 종관은 급수관과 연결된다. 연결관은 상기 종관의 하단에 체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홀의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상수관을 통해 공급된 상수를 상기 종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 홀들이 형성된다. 유입관은 상기 연결관과 상수관 사이에 체결되어 상수관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상수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한다. 실린더는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다. 피스톤은 상측 및 하측 둘레에 에어 홀이 형성된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 헤드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다. 개폐패킹은 상기 유입관 내부에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부동 급수주{Non-freezing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동절기에 급수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가 개선된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주는 상수도 본관에 연결 설치되어 각 사용처에서 상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 시에는 급수주의 일부만 땅속으로 매설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주의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면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따뜻한 계절에는 문제가 없으나, 물이 결빙되는 동절기에는 급수주 내의 상수가 얼어 동파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주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동 급수주가 개발되었다. 도 1은 부동 급수주 내에서 상수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부동 급수주(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수가 지수(止水)된 상태에서 피스톤(50)의 손잡이(53)를 회전시키면 손잡이(53)에 연결된 개폐부재(54)가 연결관(30)과 체결되어 하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개폐부재(54)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수의 배출 홀(31)을 막고 있는 개폐패킹(60) 또한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 홀(31)이 개방되며 상수가 공급된다. 이때, 개폐부재(54)의 상부에는 종관(20)에 저장된 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실린더(40) 및 피스톤(50)이 지지편들(43)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수를 다시 지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5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부재(54)와 연결관(30)의 체결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개폐패킹(60)이 탄성부재(70)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 홀(31)을 막게 되므로 상수의 공급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이, 상수를 지수시킨 후 작동 바(52)를 상부로 올리면 피스톤(50)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40) 내부로 종관(20)에 저장되어 있던 상수가 흡입되므로, 동절기에 급수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부동 급수주(1)는 개폐부재(54)가 연결관(30)에 체결될 때, 개폐부재(54)의 정지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손잡이(53)를 과도하게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부재(54)의 상단에 장착된 피스톤 헤드(51)가 배출 홀(31)을 막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스톤(5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 헤드(51) 사이로 상수가 유입되어 부동 급수주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1995-0045159 (2000.04.01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지수(止水)완료 후에 피스톤을 작동시켜 종관 내부에 저장된 상수를 실린더 내부로 흡입시켜 줌으로써, 지상으로 노출된 종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동 급수주는 상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를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급수주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급수관과 연결된 종관; 상기 종관의 하단에 체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홀의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상수관을 통해 공급된 상수를 상기 종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 홀들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수관 사이에 체결되어 상수관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상수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하는 유입관;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 상측 및 하측 둘레에 에어 홀이 형성된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 헤드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피스톤; 및 상기 유입관 내부에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개폐패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수(止水)완료 후에 피스톤을 작동시켜 종관의 내부에 저장된 상수를 실린더 내부로 흡입시켜줌으로써, 지상에 노출된 종관이 동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수된 상태에서 상수를 공급하기 위해 개폐부재를 회전시킬 때 연결관이 개폐부재의 정지위치를 가이드 해주므로, 종래와 같이 개폐부재 상단에 연결된 피스톤이 상수의 배출 홀을 막아 상수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스톤 헤드의 상부에 실링부와, 실링부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를 각각 장착함에 따라 실린더 내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실링부가 상부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의 지수(止水)와 퇴수를 손잡이 하나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동 급수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 급수주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피스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 급수주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피스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 급수주(100)는 종관(110)과, 연결관(120)과, 유입관(130)과, 실린더(140)와, 피스톤(150), 및 개폐패킹(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부동 급수주(100)는 상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를 급수관(10)으로 배출시켜주는 급수주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지상으로 노출된 종관(110)의 동파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종관(110)은 상수관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급수관(1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종관(110)의 하부는 후술되는 실린더(14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20)은 종관(110)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수관을 통해 공급된 상수를 종관(11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 홀(1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12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삽입 홀의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120)은 외벽면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22)와 상단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23)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122)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20)의 하부 외측면에는 유입관(130)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관(130)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1 배출 홀(121a)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 홀(121a)은 삽입 홀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120)의 상부에는 제1 배출 홀(121a)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제1 배출 홀(121a)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배출 홀(121b)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23)에는 제2 배출 홀(121b)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3 배출 홀(121c)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120)의 상부 외측면에는 종관(110)과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120)에 복수의 배출 홀(121)들이 형성됨에 따라, 유입관(130)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배출 홀(121)들을 지나 종관(11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유입관(130)은 연결관(120)과 상수관 사이에 체결되어 상수관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상수를 연결관(120)으로 배출한다. 이때, 유입관(130)의 외측 하부에는 상수관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내측면에는 연결관(120)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40)는 종관(110)에 저장된 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연결관(1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실린더(140) 내부에는 피스톤(150)이 배치되어 있어, 상수가 지수된 상태에서 피스톤(15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종관(110) 내부에 저장된 상수가 피스톤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피스톤(150)은 제3 배출 홀(121c)을 막지 않는 선에서 실린더(140) 내의 하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40)의 내부는 공극의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스톤(150)은 상측 및 하측 둘레에 에어 홀이 형성된 작동 바(152)에 연결되어 실린더(14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 헤드(151)와, 피스톤 헤드(151)의 하측에 연결되어 연결관(120)의 나사 홀과 체결되는 개폐부재(154)를 구비한다. 여기서, 개폐부재(154)는 연결관(120)의 나사 홀에 체결되는 볼트부재(154a)와, 볼트부재(154a)의 하단에 연장되어 개폐패킹(160)을 가압하는 누름부재(15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154b)는 연결관(120)의 삽입 홀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 배출 홀(121a)을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 헤드(151)의 상단에 연장된 작동 바(152)의 상측 및 하측 둘레에 에어 홀이 형성됨에 따라, 에어 홀들을 통해 실린더(140) 내부의 공기를 흡기 또는 배기시킬 수 있게 되어 피스톤(150)이 상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동 바(152)의 상측에 형성된 에어 홀은 급수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 홀이 노출된 작동 바(152)의 상단에는 손잡이(153)를 형성하여 피스톤(150)의 작동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개폐패킹(160)은 유입관(130) 내부에 탄성부재(170)를 통해 지지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개폐패킹(160)의 외주면에 슬롯이 형성됨에 따라 슬롯 사이로 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손잡이(153)를 잡고 작동 바(152)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부재(154a)와 연결관(120)의 체결이 해제되어 볼트부재(154a)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볼트부재(154a)의 하단에 연결된 누름부재(154b) 또한 함께 상승하게 되고, 개폐패킹(160)은 탄성부재(170)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관(120)의 제1 배출 홀(121a)을 막아 상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피스톤(150)은 피스톤 헤드(151)의 상단에 배치된 실링부(155)와, 실링부(155)의 상단에 배치된 지지부재(1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피스톤 헤드(151)의 상단에 실링부(155)가 장착됨에 따라 실린더(140) 내부의 밀폐효율이 증대되어 실린더(140) 내부로 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링부(155)의 상부에 지지부재(156)가 장착됨에 따라 피스톤 헤드(151)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실링부(155)가 상부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동 급수주(100)는 피스톤(150)을 통해 종관(110)의 내부에 저장된 상수를 실린더(140) 내부로 흡입시켜줌으로써, 동절기에 종관(110) 내부에 저장된 상수가 얼어 종관(110)이 동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수된 상태에서 상수를 공급하기 위해 개폐부재(154)를 회전시킬 때 연결관(120)이 개폐부재(154)의 정지위치를 가이드 해주므로, 종래와 같이 개폐부재(154) 상단에 연결된 피스톤(150)이 배출 홀을 막아 상수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스톤 헤드(151)의 상부에 실링부(155)와, 실링부(155)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156)를 각각 장착함에 따라 실린더(140) 내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피스톤(15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실링부(155)가 상부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급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의 지수(止水)와 퇴수를 손잡이 하나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부동 급수주(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0)으로 상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작동 바(152)의 상단에 연결된 손잡이(153)를 회전시키면, 작동 바(152)의 하단에 형성되어 연결관(120)과 체결된 개폐부재(154)가 상부로 이동하며 연결관(120)과 분리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54)에 의해 개폐패킹(16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개폐패킹(160)은 탄성부재(170)의 반발력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 이동하여 연결관(120)의 배출구를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수의 공급은 중단되고 종관(110)에는 급수관(10)으로 미처 배출되지 못한 상수가 저장된다.
이처럼 종관(110) 내부에 상수가 저장되면 하절기에는 상관 없으나 동절기에는 종관(110) 내부에 저장된 상수가 얼어 종관(110)이 동파될 수 있으므로, 손잡이(153)를 이용하여 피스톤(150)을 상부로 올려준다. 이와 같이 피스톤(150)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140) 내의 공극이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공극으로 종관(11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된다. 이때, 손잡이(153)와 피스톤 헤드(151)를 연결해주는 작동 바(152)의 상측과 하측에는 에어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공극에 머물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수를 지수시킨 후 피스톤(15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종관(110)에 저장된 물이 실린더(140) 내로 흡입되어 종관(110)의 내부가 비워지게 되므로 동절기에 종관(110)이 동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한 상태에서 상수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153)를 잡고 작동 바(152)를 하부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개폐부재(154)를 연결관(120)에 나사 결합 시킨다. 이때, 상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작동 바(152)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피스톤 헤드(151)도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실린더(140) 내부로 흡입된 상수가 다시 종관(110)으로 이동하여 실린더(140) 내에는 다시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154)가 연결관(120)에 나사 결합되면, 개폐부재(154)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개폐패킹(160)에 가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배출 홀(121a)이 개방되어 상수가 종관(110)을 따라 급수관(10)으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급수관
110.. 종관
120.. 연결관
121.. 배출 홀
121a.. 제1 배출 홀
121b.. 제2 배출 홀
121c.. 제3 배출 홀
122.. 제1 돌출부
123.. 제2 돌출부
130.. 유입관
140.. 실린더
150.. 피스톤
160.. 개폐패킹
170.. 탄성부재

Claims (3)

  1. 상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를 급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급수주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급수관과 연결된 종관;
    상기 종관의 하단에 체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홀의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상수관을 통해 공급된 상수를 상기 종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 홀들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수관 사이에 체결되어 상수관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상수를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하는 유입관;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
    상측 및 하측 둘레에 에어 홀이 형성된 작동 바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피스톤 헤드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단에 배치된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실링부가 상부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피스톤; 및
    상기 유입관 내부에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개폐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외벽면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단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중심으로 하부에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1 배출 홀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배출 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배출 홀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제2 배출 홀을 통해 공급된 상수가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3 배출 홀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 급수주.

  2. 삭제
  3. 삭제
KR1020140086990A 2014-07-10 2014-07-10 부동 급수주 KR10160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90A KR101600619B1 (ko) 2014-07-10 2014-07-10 부동 급수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90A KR101600619B1 (ko) 2014-07-10 2014-07-10 부동 급수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54A KR20160007054A (ko) 2016-01-20
KR101600619B1 true KR101600619B1 (ko) 2016-03-07

Family

ID=5530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990A KR101600619B1 (ko) 2014-07-10 2014-07-10 부동 급수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6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8Y1 (ko) * 2002-06-01 2002-09-09 최영호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000Y1 (ko) * 1999-05-19 2001-11-15 김관수 동파방지용 수도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8Y1 (ko) * 2002-06-01 2002-09-09 최영호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이 형성된 부동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54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5076A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CN106763950B (zh) 一种压力控制自动排放阀
KR101600619B1 (ko) 부동 급수주
US6038710A (en) Sewage removal system
US2246012A (en) Drain
US20110186145A1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0482925Y1 (ko) 겨울전용 벨브를 장착 보온하여 보온성이 탁월한 부동전
CN202215886U (zh) 带有接水盘的pvc管承插接头
CN202762221U (zh) 压缩空气除水装置和气力输灰系统
CN105113593B (zh) 一种用于控制水箱水位的给排水系统
KR101188809B1 (ko) 냉,온수 분배기
KR100700399B1 (ko) 동파방지 상수도관
CN201723980U (zh) 低压埋地煤气管道排水装置
US3023768A (en) Water pipe drain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RU186063U1 (ru) Водонакоп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1634486B1 (ko) 자동 퇴수밸브가 구비된 승강식 소화전
KR101792784B1 (ko) 특장차용 물 저장 및 공급장치
JP6667283B2 (ja) 空気弁
JP7361863B2 (ja) 凍結破損防止型空気弁
KR101675874B1 (ko) 동결 방지용 진공 부동전
CN204816166U (zh) 冷凝水储存截污排放装置
KR20210000994U (ko) 결빙 방지용 상수도 전
KR101134344B1 (ko) 자동 배수 밸브
CN203068856U (zh) 一种太阳能上水排空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