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70Y1 -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 Google Patents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770Y1
KR200287770Y1 KR2020020010109U KR20020010109U KR200287770Y1 KR 200287770 Y1 KR200287770 Y1 KR 200287770Y1 KR 2020020010109 U KR2020020010109 U KR 2020020010109U KR 20020010109 U KR20020010109 U KR 20020010109U KR 200287770 Y1 KR200287770 Y1 KR 200287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nd
inlet
soundproof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권
Original Assignee
전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권 filed Critical 전영권
Priority to KR2020020010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77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이 심한 도로의 가장자리나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판 본체의 전면(1)에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된 소음 흡입구(2)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방음판 본체를 이루는 구조로, 흡입구가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도3)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음판에 닿는 소음을 분산시켜 감쇄, 소멸하도록 하여 소음 흡입구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외부로 반사되지 않고 완벽하게 소음을 처리할 수가 있고 종래의 방음판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석면 또는 유리섬유로 제작된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되어 친환경적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Wedge type-Noise barrier Board}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나 방송실과 같이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판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음구를 도3과 같이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하여 소음이 흡입되는 공간을 넓게 함으로서 많은 양의 소음이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한번 유입된 소음은 분산, 반사, 감쇄되어 완전 소멸되도록 한 것으로서, 전면판(1) 흡입구(2)를 통하여 흡입된 소음이 방음판의 평면을 최소화하여 반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반사소음을 완전 제거함으로서 완벽하게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의 근접한 곳에 주택가, 학교, 도서관 및 병원 등이 있을 경우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생활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방음벽을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거나 반사시키게 하였다. 즉, 종래에 사용되어온 방음판은 전면판과 후면판 및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전, 후면판 사이에 흡음재(4)를 삽입하여서 된 구조로서 소음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좁고 긴 흡입구(6, Gallery type)를 통하여 유입되면 소음은 흡음재에 부딪쳐 소멸되거나 반사되도록 한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겔러리 형식의 방음벽의 전면판에 흡입용 흡입구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나 흡입구를 제작할 때 급속판의 표면을 펀칭 하여 하단부는 절단되게 하고 상측은 절곡하여 절단된 부분이 돌출 되게 함으로서 좁고 긴 흡입구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전면판에 음파가 전달될 경우 음파가 파형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좁고 긴 흡입구(6)를 제외한 전면판의 면적에 의하여 반사되어 흡음의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대다수의 음파가 전면판(1)에 부딪친 다음 반사되는 문제점과 석면 또는 유리섬유 등으로 사용하는 흡음재(4)는 공기중에 비산되어 인체에 유해한 환경 피해를 주고 소음이 반사됨으로 인하여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양측에서 반사되는 소음이 상부로올라가게 되어 방음벽 주변에 있는 주택지 등에 소음의 피해가 커지게 되어 방음벽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으며 좁고 긴 흡입구를 통하여 방음판의 내부로 유입되어도 방음벽 뒷판에 부딪친 음파가 흡입구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반사되므로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못되는 문제점이었다.
또, 방송실, 기계실, 공조실 등과 같이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에서는 돌출형 사각 쐐기뿔 모양으로 제작된 웨지(Wedge)형 제품이나 표면이 요철(凹凸)형의 제품등으로 설치하였으나 돌출형 쫴기뿔 모양의 방음판은 방음효과는 우수하나 쫴기뿔 모양의 웨지판이 고가품이며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사람이 부딪칠 경우 웨지의 파손은 물론 인체에 상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요철형 방음판은 제작은 쉬우나 방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방음판의 전면에 소음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하여 방음판과 일체화함으로서 석면 또는 유리섬유로 제작된 흡음재(4)를 사용하지 않아 흡음재의 비산 등의 환경오염이 없으며 흡입된 소음을 분산, 감쇄하여 소멸되도록 함으로서 소음에 대한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용도나 장소에 따라 재질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흡음형 흡음판을 제공하고자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도로용 방음벽을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2의 B의 사각형 소음 흡입구 상세도
도4는 종래 도로용 방음판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2 : 사각형 나팔모양의 흡입구 3 : 배면
4 : 흡음재 5 : 겔러리 형식의 흡입구 6 : 전면판
7 : 뒷면판
방음판 본체의 전면(1)에 형성되는 흡입구(2)는 모양이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 뿔(또는 육각 뿔) 모양을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놓은 형틀로 방음판 본체에 눌러서 찍어 만든 나팔모양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고안하였다. 나팔모양의 넓은 입구의 바깥 4면(또는 6면)을 서로 연결된 연결부는 부드럽게 곡면처리를 하여 파손에 강하게 하고 인체에 상체를 주지 않게 안전처리로 제작하여 상기 방음판을 사용하는 장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질감을 가진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또한 도입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방음판의 전면(1)에 소음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하여 흡입구(2)를 형성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흡입구가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이 쉽게 흡입할 수가 있으며 방음판의 흡입구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외부로 반사, 방출되지 않음으로서 완벽한 소음을 처리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판 전면이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이 서로 연결됨으로서 연결되는 면이 쇄기 모양의 구성되어 소음이 반사되는 평면을 최소화하여 소음이 반사되지 못하도록 하고 설치되는 장소에 다라 다양한 재료와 색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특성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방음판 전면(1)에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방음판에 있어서, 방음판 본체의 전면(1)에 형성되는 흡입구(2)를 도3과 같이 사각형(또는 육각형) 나팔 모양으로 형성하여 방음판 전면을 넓은 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
  2. 삭제
KR2020020010109U 2002-04-03 2002-04-03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KR200287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09U KR200287770Y1 (ko) 2002-04-03 2002-04-03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09U KR200287770Y1 (ko) 2002-04-03 2002-04-03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770Y1 true KR200287770Y1 (ko) 2002-09-05

Family

ID=7312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09U KR200287770Y1 (ko) 2002-04-03 2002-04-03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7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4573B2 (ja) 換気扇
JP3094030B2 (ja) 音吸収パネル
CN2911069Y (zh) 蜂窝肋式吸音板
JP3317936B2 (ja) 低周波音低減装置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200287770Y1 (ko) 각형 나팔 모양의 흡음장치를 갖춘 방음판
KR20000017912A (ko) 도로용 방음벽의 음향 흡수장치
KR100400886B1 (ko) 흡음형 방음패널
KR960007197B1 (ko) 도로용 방음판
BaltrÄ—nas Case study: Evaluation of noise reduction in frequencies and sound reduction index of construction with variable noise isolation
KR200378384Y1 (ko) 소음쳄버
CN106050750A (zh) 大风量片式阻抗复合消声器
KR200293149Y1 (ko) 흡음궤 매입형 방음판
JP3071401U (ja) 消音装置
JP2019152726A (ja) 通風機能を備えた防音板
KR200412515Y1 (ko) 방음문 설치구조
KR100189343B1 (ko) 다공형 흡음판
KR950009151Y1 (ko) 방음판의 구조
CN216616342U (zh) 一种隔声板结构
KR100734555B1 (ko) 공명 흡음형 방음패널
JPH10280702A (ja) 仮設用防音パネル
KR200275472Y1 (ko) 쐬기 모양의 흡음장치을 갖춘 도로용 방음벽
KR200177519Y1 (ko) 소리골 구조를 이용한 방음재
CN213599603U (zh) 一种空气源热泵机组围板
WO1997024496A1 (en) Honeycomb soundproof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