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84Y1 - 가정용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84Y1
KR200286684Y1 KR2020020015666U KR20020015666U KR200286684Y1 KR 200286684 Y1 KR200286684 Y1 KR 200286684Y1 KR 2020020015666 U KR2020020015666 U KR 2020020015666U KR 20020015666 U KR20020015666 U KR 20020015666U KR 200286684 Y1 KR200286684 Y1 KR 200286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filter
control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2020020015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84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이 제거된 생활용수와 음용수를 단일 시스템에서 얻을 수 있는 가정용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수 유입 관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의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필터와, 상기 여과 필터와 제 1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녹 등이 제거된 1차 정화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와, 상기 1차 정화수를 배수하여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밸브의 일측에 연결된 정화수 분기 관로와, 상기 제어 밸브와 제 2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정화수를 정화하는 제 1 정수 필터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와 제 3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유입된 2차 정화수를 재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를 후측에 연결된 정수 배출 관로로 유출하는 제 2 정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편한 조작만으로 원수에 녹이나 각종 이물질이 함유될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음용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도 안전하게 사용되어 환경오염과 급수 시설의 노후로부터 물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정수 장치{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home use}
본 고안은 가정용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수로부터 생활용수로 사용될 수 있는 녹이나 부유물이 제거된 정화수와 음용수로 사용되는 정수를 같이 얻을 수 있는 가정용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 이다.
종래의 가정용 정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A)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 관로(10)와, 상기 원수(A)에서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필터(20)와, 살균, 유기 화합물 제거, 미립자 제거, 중금속 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필터부로 구성된 제 1 정수 필터(22) 및 제 2 정수 필터(24)와, 상기 제 2 정수 필터(24)의 후측에 연결된 연결 관로(12)와, 상기 연결 관로(12)에 설치된 3 방향 제어 밸브(30)와, 상기 원수 유입 관로(10)에서 분기되어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30)와 연결된 원수 분기 관로(14)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22)와 제 2 정수 필터(24)에 의해 정화된 정수(E)와 상기 원수(A)가 배출될수 있도록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30)의 후측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 배출 관로(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용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원수(A)가 여과 필터(20)와 제 1 정수 필터(22) 그리고 제 2 정수 필터(24)를 통과하여 정수(E)가 생성되고, 상기 정수(E)는 3 방향 제어 밸브(30)로 유입되어 정수 배출 관로(40)로 정수(E)가 배출된다.
세척이나 세안 등에 사용되는 생활용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3 방향 제어 밸브(30)를 조작하여 유로를 변경시킴으로 상기 원수(A)가 원수 분리 관로(14)를 통해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30)에 유입되고, 상기 원수(A)는 상기 정수 배출 관로(40)로 배출된다.
한편, 오늘날 산업이 발달하고 급수 시설들이 노후함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이 양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도시 지역의 상수도 급수관이 부식되거나 노후됨으로써 가정의 수돗물에서 다량의 녹이나 부유물 등이 검출될 위험성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정용 정수 장치가 설치된 대부분의 도시지역 가정은 원수(A)로 수돗물이 사용되고, 상기 원수(A)를 정화하여 얻게 되는 정수(E)를 음용수 이외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것은 정수용량이 부족하여 비효율적이므로 생활용수로는 상기 원수(A)가 그대로 사용되며, 그로 인해 원수(A)에 포함되어있는 녹이나 부유물에 의해 오히려 오염될 위험성이 있다.
또, 식용을 위한 정수 장치와 세척 및 세안을 위한 정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한다면 구입비용이 높아지고, 설치공간도 증가하며, 사용에도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게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오염과 급수 시설의 노후로부터 물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물을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음용수으로 정수를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가정용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로부터 생활용수를 얻는 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로부터 음용수를 얻는 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여과 필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원수 B : 1차 정화수
C : 탈취된 1차 정화수 D : 2차 정화수
E : 정수 50 : 원수 유입 관로
52 : 제 1 연결 관로 54 : 제 2 연결 관로
56 : 제 3 연결 관로 58 : 정수 배출 관로
60 : 여과 필터 72 : 정화수 분기 관로
74 : 3 방향 제어 밸브 80 : 제 1 정수 필터
90 : 제 2 정수 필터 100 : 탈취 필터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정용 정수 장치는 원수 유입 관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의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필터와, 상기 여과 필터와 제 1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녹 등이 제거된 1차 정화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와, 상기 1차 정화수를 배수하여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밸브의 일측에 연결된 정화수 분기 관로와, 상기 제어 밸브와 제 2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정화수를 정화하는 제 1 정수 필터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와 제 3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유입된 2차 정화수를 재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를 후측에 연결된 정수 배출 관로로 유출하는 제 2 정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가 생활용수를 얻는 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가 음용수를 얻는 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여과 필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A)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관로(50)와, 상기 원수 유입 관로(50)의 끝단에 연결되어 유입된 원수(A)의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 필터(60)와, 상기 여과 필터(60)에 일단이 연결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1차 정화수(B)가 통과되는 제 1 연결 관로(52)와, 상기 제 1 연결 관로(52)의 타단에 연결되고 유입된 1차 정화수(B)의 유로를 용도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 밸브(74)와, 상기 제어 밸브(74)와 연결되어 상기 1차 정화수(B)를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기하는 정화수 분기 관로(72)와, 상기 정화수 분기 관로(72)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정화수(B)의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100)와, 상기 제어 밸브(74)의 후측에 연결된 제 2 연결 관로(54)와, 상기 제 2 연결 관로(54)를 거쳐서 유입된 1차 정화수(B)를 정화하는 제 1 정수 필터(80)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80)와 제 3 연결 관로(56)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 1 정수 필터(80)로부터 유입된 2차 정화수(D)를 재정화하여 정수(E)를 생성하는 제 2 정수 필터(90)와, 상기 제 2 정수 필터(90)의 후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생성된 정수(E)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수 배출 관로(5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밸브(74)는 하나의 유입포트와 두 개의 유출포트가 있는 3방향 제어 밸브(74)이고,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제 1 연결 관로(52)와 연결되어 상기 1차 정화수(B)가 유입되며,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1차 정화수(B)를 배출시켜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정화수 분기 관로(72)에 연결된 포트와 상기 1차 정화수(B)를 배출시켜 음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연결 관로(54)에 연결된 포트가 있다.
또, 상기 탈취 필터(100)는 상기 정화수 분기 관로(72)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유입된 1차 정화수로(B)부터 잔류염소를 제거하여 소독약 냄새가 없도록 하며, 이를 위해 필터 내부에는 아황산 칼슘을 응용한 염소 제거제가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여과 필터(60)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80) 그리고 제 2 정수 필터(90)는 정수 작용을 하는 필터부(62)와, 상기 필터부(62)의 외측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64)와, 관로가 통과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64)와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66)와, 상기 상부 케이스(64)와 하부 케이스(66) 사이에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링(6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 필터(60)의 필터부는 부직포, 종이, 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과 부재(62)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정수 필터(80)와 제 2 정수 필터(90)의 필터부는 세라믹, 카본, 중공사막 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 시설에서 정수 장치로 공급되는 원수(A)는 원수 유입 관로(5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여과 필터(60)에 공급되고, 상기 여과 필터(60)는 상기 원수(A)를 여과하여 1차 정화수(B)를 만들어 제 1 연결 관로(52)를 통해 3방향 제어 밸브(74)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용도에 맞게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74)를 조작하여 유로의 방향을 제어하고, 그로 인해 유입된 상기 1차 정화수(B)는 생활용수로 사용되거나 추가적인 정화과정을 거쳐서 음용수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 및 세안 등에 사용되는 생활용수는 상기 제 1 연결 관로(52)로부터 1차 정화수(B)가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74)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수 분기 관로(72)를 거쳐 탈취 필터(100)로 유입되고, 유입된 1차 정화수(B)는 탈취 필터(100)에 의해 탈취된 1차 정화수(C)가 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용수는 상기 1차 정화수(B)를 추가적으로 정화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결 관로(52)로부터 상기 3 방향 제어 밸브(74)를 거쳐 제 2 연결 관로(54)로 유입되고, 유입된 1차 정화수(B)는 제 1 정수 필터(80)를 거쳐 2차 정화수(D)가 되어 제 3 연결 관로(56)를 통해 제 2 정수 필터(90)에 유입된다.
상기 제 2 정수 필터(90)는 유입된 2차 정화수(D)를 다시 정화하여 최종적으로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수(E)를 형성하고, 상기 정수(E)는 정수 배출관로(58)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여과필터(100)에 비해 상기 제 1 필터(80)나 제 2 필터(90)는 내열성이 좋지 못하여 온수가 유입되면 필터 자체가 손상되므로 상기 정수(E)를 얻는 과정은 상기 원수(A)가 냉수일 경우만 가능하고, 반면에 생활용수는 정수 과정에서 상기 여과필터(100)만 관여하기 때문에 원수(A)로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정용 정수 장치는 유로의 방향 제어 기능을 하는 제어 밸브와 정화수 분기 관로가 장치 내에 설치되어 녹이나 부유물이 제거된 물은 생활용수로 사용되고, 음용수로는 정수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원수에 녹이나 각종 이물질이 함유될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음용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도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단일 시스템 내에서 제어 밸브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아울러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얻기 위한 정수 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구입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생활용수로 내열성이 높은 여과 필터와 탈취 필터를 거친 1차 정화수가 사용되므로, 음용수가 아닌 생활용수의 경우 원수를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따뜻하거나 찬 생활용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수 유입 관로를 통해 유입된 원수의 녹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필터와;
    상기 여과 필터와 제 1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녹 등이 제거된 1차 정화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와;
    상기 1차 정화수를 배수하여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밸브의 일측에 연결된 정화수 분기 관로와;
    상기 제어 밸브와 제 2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정화수를 정화하는 제 1 정수 필터와;
    상기 제 1 정수 필터와 제 3 연결 관로로 연결되어 유입된 2차 정화수를 재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를 후측에 연결된 정수 배출 관로로 유출하는 제 2 정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는 유입측이 상기 제 1 연결 관로에 연결되고, 유출측은 상기 제 2 연결 관로와 정화수 분기 관로에 각각 연결된 3방향 제어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분기 관로의 끝단에 설치되고 외부로 배수되는 1차 정화수 내에 존재하는 잔류염소를 제거하여 상기 1차 정화수에서 소독약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탈취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수 장치.
KR2020020015666U 2002-05-22 2002-05-22 가정용 정수 장치 KR200286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6U KR200286684Y1 (ko) 2002-05-22 2002-05-22 가정용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6U KR200286684Y1 (ko) 2002-05-22 2002-05-22 가정용 정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93A Division KR20030058910A (ko) 2002-05-20 2002-05-20 가정용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84Y1 true KR200286684Y1 (ko) 2002-08-21

Family

ID=7307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66U KR200286684Y1 (ko) 2002-05-22 2002-05-22 가정용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6684Y1 (ko) 가정용 정수 장치
KR20000013587A (ko) 정수시스템
KR20030058910A (ko) 가정용 정수 장치
RU96100727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JPH1057717A (ja) 廃水処理装置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JP2001310183A (ja) 水質改善装置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CN219239431U (zh) 一种中水回用装置
CN216694642U (zh) 一种水路系统及其供热设备
KR101939746B1 (ko) 활성탄 필터 재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필터 재생방법
KR0168318B1 (ko) 정수기의 폐수처리시 소음감소장치
KR200143602Y1 (ko)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 시스템
JPH0988132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を具備する原水供給配管構造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KR200285221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JP3114552B2 (ja) 水浄化装置
RU200610566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2000319956A (ja) 風呂の排水再利用方法とその装置
KR100235833B1 (ko) 상수 정화장치
KR200260035Y1 (ko) 고탁도필터가 내장된 전처리 정수필터
RU2196632C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34;москвичка&#34; для глубок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в бытовых условиях
JP3113166U (ja) 水質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