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564Y1 - 관이음 압착공구 - Google Patents

관이음 압착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564Y1
KR200286564Y1 KR2020020015758U KR20020015758U KR200286564Y1 KR 200286564 Y1 KR200286564 Y1 KR 200286564Y1 KR 2020020015758 U KR2020020015758 U KR 2020020015758U KR 20020015758 U KR20020015758 U KR 20020015758U KR 200286564 Y1 KR200286564 Y1 KR 200286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liding surface
fixed
pres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최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석 filed Critical 최종석
Priority to KR2020020015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564Y1/ko

Links

Landscapes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압착공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볍고 고장의 우려가 없어 안전하며 작업방식이 간단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이스의 교체가 편리하여 여러 사이즈의 관을 간단하게 압착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2)는 판상의 고정판(3)에 핀(4)들에 의해 축결합되는 한 쌍의 압착죠우(5)(6)와 일측 압착죠우(5)의 전단에 고정핀(7)에 의해 고정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8)을 가지며 슬라이딩면(8)에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체(9)와 함께 삽착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10)을 가지는 한 쌍의 압축다이스(11)를 가지는 고정바디(12)와, 고정바디(12)의 종단일측 부위에 회동될 수 있도록 축(13)결합된 링크(14)에 의해 연결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8)을 가지며 슬라이딩면(8)에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체(9)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10)을 가지는 한 쌍의 압착다이스(11)를 가지며 몸체(2)의 타측 압착죠우(6)의 전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자유바디(15)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압착죠우(5)(6)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압롤러(16)에 의해 핀(4)을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관이음 압착공구{pipe pressing joint}
본 고안은 관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압착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볍고 작업이 효율적이며 다양한 사이즈의 관을 편리하게 압착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관이음 압착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을 연결할 때에는 여러 가지 구조의 관이음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대체로 나사식 같은 것을 이용하여 연결부를 조임으로서 관을 기밀하게 연결하도록 된 것이 대부분 인데 이러한 것들은 관이음구의 구조가 정밀해야 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기 대문에 고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단순히 연결 대상이 될 관의 사이에 지름이 큰 연결관을 끼워 압착공구로 압착하여 간단히 연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관을 압착하는 압착공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압착공구는 두 가지의 구조가 있으며 첫째로 관을 압착하는 압착부가 몸체와 일체로 된 것이 있고, 둘째로 각 몸체의 압착부 전후부가 분리되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서로 벌어져 있다가 관을 압착할 때에 서로 오므려져 관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첫 번째의 압착공구는 관을 압착하여 연결할 때에 관을 압착시키게 되면 압착부의 전후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관의 표면이 돌출되게 되는데 그 돌출부위가 커 관의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의 압착공구는 각각 몸체와 분리된 가동압착부가 양측몸체의 전후부로 분리되어 있기 대문에 연결시 관의 표면에 네게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첫 번째의 압착공구와 같이 돌출부가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네 개소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작아짐으로써 기밀성은 높다.
이와 같은 압착공구는 특허출원번호 제1991-6345호 등이 있으며 이것은 각각 두개의 압착다이스를 각 죠우에 장착하고 좌,우죠우가 중앙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회전운동으로 접근 가압하는 구조로써 각 다이스의 압착 작동전 정위치를 유지시키는 다이스 탄성체가 동일 죠우내의 다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그 탄력작용 방향이 다이스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므로 다이스와 슬라이딩 면간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다이스의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공구하자와 누수사고가 있었다.
그리고 좌,우 죠우의 압착작동구조가 회전축에서의 일단지지의 왼팔보 형태가 되어 죠우의 몸체가 큰 굽힘 모우멘트를 받게 되므로 파손되지 않는 필요 단면개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죠우의 중량이 매우 무겁게 되고, 형상 또한 복잡하게 되어 이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및 사용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번호 제 237225호 등과 같은 압착공구는 네개의 다이스, 그 위에 슬라이딩 면을 형성하고 있는 업퍼죠우와 로우죠우, 로우죠우를 가이드하며 유압실린더의 동력원으로 이용되는 로우죠우 프레임 그리고 두개의 오픈핀 등의 주요부품 및 다이스의 위치 유지용 탄성체, 다이스 측면이탈 방지용 다이스 홀더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픈핀을 이용하여 업퍼죠우를 열고 닫음으로서 관이음쇠를삽입, 해체하고 압착작용을 하는데, 압착시 피스톤 로드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로우죠우 프레임에 연결 구속된 업퍼죠우는 안쪽으로 휘어지는 모우멘트를 받고, 프레임에 연결되지 않고 구속력이 없는 로우죠우는 밖으로 벌어지는 모우멘트를 받기 때문에 일정압력 이상에서는 관이음쇠 체결부의 형상이 원형을 형성하지 못하고 불규칙형태가 된다.
이는 관이음쇠 체결시 가장 중요한 원형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회전시 누수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픈핀을 빼고 업퍼죠우를 벌린 상태에서 관이음쇠를 삽입하고 다시 업퍼죠우를 닫고 오픈핀을 삽입한 후 압착작동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로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업퍼죠우와 로우죠우에 장착하는 다이스를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다이스 홀더를 체결하는데 작업시 홀더 고정볼트가 자주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볍고 고장의 우려가 없어 안정하며 작업방식이 간단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이스의 교체가 편리하여 여러 사이즈의 관을 간단하게 압착 연결할 수 있어 경제적인 관이음 압착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는 대면에는 선단부 사이에 다각형의 홈과 그 내주면에 원형홈을 갖는 압착부가 구비된 몸체가 핀 결합되어 후측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핀을 축으로 회동하여 조여지면서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관을 압착하여 기밀하게 연결하는 관이음 압착공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판상의 고정판에 상기 핀에 의해 축결합되는 한 쌍의 압착죠우와, 상기 일측 압착죠우의 전단에 고정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체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을 가지는 한 쌍의 압축다이스를 가지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종단일측 부위에 회동될 수 있도록 축결합된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체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을 가지는 한 쌍의 압축다이스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타측 압착죠우의 전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자유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압착죠우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압롤러에 의해 상기 핀을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 압착공구를 보인 분리 사시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 압착공구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단면예시도이다.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이음 압착공구, 2 : 몸체,
3 : 고정판, 4 : 축,
5,6 : 압착죠우, 7 : 고정핀,
8 : 슬라이딩면, 9 : 탄성체,
10 : 홈, 11 : 압착다이스,
12 : 고정바디, 13 : 축,
14 : 링크, 15 : 자유바디,
16 : 가압롤러, 17 : 슬라이딩홈,
18 : 돌기, 19 : 제지핀,
20 : 가압턱, 21 : 가압요홈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1)는 대면에는 선단부 사이에 다각형의 홈과 그 내주면에 원형홈을 갖는 압착부가 구비된 몸체가 핀 결합되어 후측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핀을 축으로 회동하여 조여지면서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관을 압착하여 기밀하게 연결하는 관이음 압착공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판상의 고정판(3)에 상기 핀(4)들에 의해 축결합되는 한 쌍의 압착죠우(5)(6)와 상기 일측 압착죠우(5)의 전단에 고정핀(7)에 의해 고정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8)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8)에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체(9)와 함께 삽착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10)을 가지는 한 쌍의 압축다이스(11)를 가지는 고정바디(12)와, 상기 고정바디(12)의 종단일측 부위에 회동될 수 있도록 축(13)결합된 링크(14)에 의해 연결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8)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8)에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체(9)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10)을 가지는 한 쌍의 압착다이스(11)를 가지며 상기 몸체(2)의 타측 압착죠우(6)의 전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자유바디(1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압착죠우(5)(6)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압롤러(16)에 의해 상기 핀(4)을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바디(12)와 자유바디(15)의 슬라이딩면(8)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슬라이딩홈(17)을 가지며, 상기한 압착다이스(11)들은 상기 슬라이딩홈(17)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18)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바디(12)와 자유바디(15)의 슬라이딩홈(17)의 종단에는 각각 삽입된 압착다이스(11)가 탄성체(9)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지핀(19)에 의해 이탈이 제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몸체(2)의 자유바디(15)가 삽입되는 압착죠우(5)의 전단에는 상기 자유바디(15)의 종단이 삽입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턱(20)을 가지는 가압요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하고자하는 연결관(T)을 상기 압착다이스(11)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자유바디(15)의 종단을 상기 압착죠우(6)의 가압요홈(21)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한 가압롤러(16)를 전진시켜 상기 압착죠우(5)(6)들이 벌려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압착죠우(5)(6)들이 벌어지면 압착죠우(5)(6)의 전단들은 축(4)을 중심으로 하여 오므려지게 되고 압착죠우(6)의 가압요홈(21)에 삽입되어 가압턱(20)에 의해 가압되는 자유바디(15)는 오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유바디(6)가 고정바디(5)측으로 오므려지게 되면 각각의 고정바디(5)와 자유바디(6)의 슬라이딩홈(17)에 삽착된 압착다이스(11)들은 오므려지면서 슬라이딩면(8)을 따라 연결관(T)을 중심으로 모이게 되어 연결관(T)을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착다이스(11)들에 의해 연결관(T)이 골고루 가압되어 연결관(T)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관들을 연결하도록 압착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T)의 압착이 완료되면 가압롤러(16)를 후진시켜 각각의 압착죠우(5)(6)들이 오므려지게 하여 압착죠우(5)(6)의 전단이 서로 이격되게 한 후 자유바디(15)를 압착죠우(6)의 가압요홈(21)으로부터 이탈을 시켜 압착된 연결관(T)에서 압착공구(1)를 해제시키면 연결관(T)의 압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관(T)의 직경에 따라 압착죠우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상기한 고정핀(7)을 압착죠우(5)에서 분리하고 원하는 직경의 원호 홈(10)을 가지는 또 다른 압착바디를 압착죠우(5)에 삽입시키고 고정핀(7)을 결합하면 직경이 다른 연결관을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관이음 압착공구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볍고 고장의 우려가 없어 안정하며 작업방식이 간단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이스의 교체가 편리하여 여러 사이즈의 관을 간단하게 압착 연결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면에는 선단부 사이에 다각형의 홈과 그 내주면에 원형홈을 갖는 압착부가 구비된 몸체가 핀 결합되어 후측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핀을 축으로 회동하여 조여지면서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관을 압착하여 기밀하게 연결하는 관이음 압착공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판상의 고정판에 상기 핀에 의해 축결합되는 한 쌍의 압착죠우와 상기 일측 압착죠우의 전단에 고정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체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을 가지는 압축다이스들을 가지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종단일측 부위에 회동될 수 있도록 축결합된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선단에 다각형의 슬라이딩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체와 함께 삽입되며 관이음쇠를 조여줄 수 있도록 원호상의 홈을 가지는 압축다이스들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타측 압착죠우의 전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자유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압착죠우는 공압 또는 유압 의해 전후진하는 가압롤러에 의해 상기 핀을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압착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와 자유바디의 슬라이딩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슬라이딩홈을 가지며, 상기한 압착다이스들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바다와 자유바다의 슬라이딩홈의 종단에는 각각 삽입된 압착다이스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지핀에 의해 이탈이 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압착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자유바디가 삽입되는 압착죠우의 전단에는 상기 자유바디의 종단이 삽입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턱을 가지는 가압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압착공구.
KR2020020015758U 2002-05-23 2002-05-23 관이음 압착공구 KR200286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58U KR200286564Y1 (ko) 2002-05-23 2002-05-23 관이음 압착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58U KR200286564Y1 (ko) 2002-05-23 2002-05-23 관이음 압착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11A Division KR100447643B1 (ko) 2002-05-22 2002-05-22 관이음 압착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564Y1 true KR200286564Y1 (ko) 2002-08-21

Family

ID=7305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758U KR200286564Y1 (ko) 2002-05-23 2002-05-23 관이음 압착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3B1 (ko) 2009-12-14 2010-06-2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3B1 (ko) 2009-12-14 2010-06-2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8955B2 (ja) マシンツールを結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7434440B2 (en) Heavy-duty PEX clamp installation tool
GB2205373A (en) Method of making piping joints and joining tool
KR101568178B1 (ko)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
PT2602062E (pt) Ferramenta de prensagem e acessório para ferramenta de prensagem
KR100447643B1 (ko) 관이음 압착공구
US7334785B2 (en) Locking vise for pipes
KR200286564Y1 (ko) 관이음 압착공구
KR200492515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RU2272691C2 (ru) Обжимная фитинговая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и обжимной штамп
US11185907B2 (en) Press ring with elongated holes
KR200203399Y1 (ko) 분할형 렌치
KR200436811Y1 (ko) 관 연결용 압착공구
KR101594469B1 (ko) 배관 연결용 프레싱 공구
JP7364856B2 (ja) 管体の加締め具および加締め方法
EP1084011B1 (en) Pipe crimping apparatus
KR200181967Y1 (ko) 관이음 압착공구
JP2002357295A (ja) 管継手
GB2060453A (en) Stud Rotating Power Wrench
EP1447522A1 (en) Pipe pressing tongs
KR102551451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JP3003836U (ja) 管の螺合解除装置
KR20210017551A (ko) 불완전 압착 방지장치를 구비한 관 이음쇠용 압착구
JP4226416B2 (ja) スクイズオフ復元器
KR19990033250U (ko) 고압호스용 니플 벤딩용 그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