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37Y1 -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37Y1
KR200286137Y1 KR2020020016907U KR20020016907U KR200286137Y1 KR 200286137 Y1 KR200286137 Y1 KR 200286137Y1 KR 2020020016907 U KR2020020016907 U KR 2020020016907U KR 20020016907 U KR20020016907 U KR 20020016907U KR 200286137 Y1 KR200286137 Y1 KR 200286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bed
drain
drain trap
trap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석
Original Assignee
김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석 filed Critical 김승석
Priority to KR2020020016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37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의 화단 한쪽에 설치되어 화단에 유입된 빗물 등을 신속하게 배수 처리함으로써 빗물 등의 범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단에 항상 적정량의 물이 잔존하도록 하여 꽃을 건강하게 잘 키울 수 있는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베란다 화단의 배수를 위하여, 화단(100)의 상면에 연결 배수트랩(10)을 설치하고 화단(100)의 바닥면에 보조 배수트랩(30)을 설치하여 연결 배수트랩(10)과 보조 배수트랩(30)을 보조 배수관(P) 으로써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12)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 배수트랩(10)을 구성하여 내주면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된 캡(20)을 연결 배수트랩(10)의 외측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Description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Drain trap for flower bed}
본 고안은 화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의 화단 한쪽에 설치되어 화단에 유입된 빗물 등을 신속하게 배수 처리함으로써 빗물 등의 범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단에 항상 적정량의 물이 잔존하도록 하여 꽃을 건강하게 잘 키울 수 있는 화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는 빗물이나 오수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 트랩을 설치하고 있는 데, 배수 트랩은 위층과 연결된 상부 배수관과 아래층과 연결된 하부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베란다 쪽에 화단을 연장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 데, 대부분 베란다 쪽에만 새시를 하고 화단 쪽에는 새시를 설치 하지 않기 때문에 화단에 빗물이 유입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화단에는 배수 트랩 등과 같은 배수 장치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화단으로 유입된 빗물이 넘쳐 흘러내릴 때도 있다.
이렇게 화단의 빗물이 넘쳐흐를 경우 아래층의 베란다 벽면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과다한 물 공급으로 꽃이 죽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화단에도 배수 트랩과 같은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화단에 항상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비가 많이 오는 날에도 화단으로 유입된 빗물이 넘쳐흐르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베란다의 화단 한쪽에 설치되어 화단에 항상 적정 양의 물이 잔존하도록 하여 꽃을 건강하게 잘 키울 수 있는 화단용 배수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단에 유입된 빗물 등을 신속히 배수 처리함으로써 빗물의 범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화단용 배수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화단용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단용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화단용 배수트랩의 설치를 보인 상태도
도 4a,4b는 화단용 배수트랩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배수관
2 : 하부 배수관
10 : 연결 배수트랩
11 : 리브
12 : 배수공
13 : 걸림턱
20 : 캡
21 : 걸림돌기
30 : 보조 배수트랩
B : 베란다
C : 새시
P : 보조 배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종래 베란다 쪽에 설치된 화단에는 배수 트랩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화단으로 유입된 빗물이 화단 아래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화단으로 유입된 빗물이 넘쳐흐르지 않게 하기 위하여, 화단의 한쪽에 위층과 아래층의 베란다 화단에 각각 연결된 상 하 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상 하 배수관 사이에 화단용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화단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 하부 배수관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다수의 리브가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하방 형성되며, 상기 리브들 사이에 위치된 외주면 중간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걸림 턱이 형성된 연결 배수트랩; 상기 연결 배수트랩의 바깥쪽에 승 하강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리브 상단에 걸려서 상기 배수공을 택일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걸림 돌기가 형성된 캡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화단용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화단용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화단용 배수트랩의 설치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4a,4b는 화단용 배수트랩의 종단면도이다.
종래 베란다 쪽에 설치된 화단에는 통상 새시를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 트랩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화단에 유입된 빗물이 넘쳐 흘러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화단의 빗물이 넘쳐흐르지 않고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화단의 한쪽에 위층과 아래층의 베란다 화단에 각각 연결된 상 하 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상하 배수관 사이에 화단용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위층과 아래층의 베란다의 화단에 각각 연결된 상 하 배수관(1,2)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 배수트랩(10)과 보조 배수트랩(30)을 설치하고 있다.
연결 배수트랩(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 배수관(1)과 보조 배수관(P)이 서로 연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 배수트랩(10)의 외주면에는 수직으로 리브(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그 리브(11) 사이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공(12)은 "V"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배수공(12)을 "V"자 형태로 배열하는 이유는 화단에 유입되는 빗물의 양에 따라 빗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상기 연결 배수트랩(10)의 내주면에 원통형의 안내관(13)을 상하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서, 상부 배수관(1)에서 유임되어 연결 배수트랩(10)으로 통과되는 물이 배수공(12)으로 불의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 배수트랩(10)의 외측에는 캡(20)이 승 하강 되게 설치되는 데, 캡(20)의 내주면에는 리브(11)에 걸려서 배수공(12)을 택일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걸림돌기(21)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캡(20)의 걸림돌기(21)가 리브(11)에 걸리지 않을 때에는 캡(20)은 하방으로 떨어져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폐쇄시키는 데, 이때 화단(100)에 유입된 빗물은 배수되지 못한다.
반대로, 캡(20)의 걸림돌기(21)가 리브(11)에 걸릴 때에는 캡(20)은 승강되어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개방시키는 데, 이때 화단(100)의 빗물은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통해서 하부 배수관(2)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화단(100)의 바닥 면에는 하부 배수관(2)과 연결되게 보조 배수트랩(30)이 설치하여, 보조 배수관(P)으로써 상기 연결 배수트랩(10)과 상하길이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 보조 배수트랩(30)의 상부에는 투수성 시트(40)가 설치되어 화단(100) 내부에 침투된 불필요한 물은 보조 배수트랩(30)을 통해 하부 배수관(2)으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투수성 시트(40)는, 물은 투과되지만 화단의 흙은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흙에 의하여 보조 배수트랩(30)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미 설명부호 B, C는 각각 베란다와, 베란다에 설치되는 새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단용 배수트랩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캡이 연결 배수관의 배수공을 차단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캡(20)의 걸림돌기(21)를 리브(11)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 캡(20)은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폐쇄시키는 데, 이때 화단(100)의 빗물은 하부 배수관(2)으로 배수되지 못한다.
이렇게 적은 양의 빗물이 화단(100)에 유입된 경우에는 빗물이 화단(100)의 흙 속으로 침투되지만, 화단(100)에 많은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통해서 배수시켜야 한다.
화단(100)에 빗물이 많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캡(20)의 걸림돌기(21)를 리브(11)에 걸리도록 하면, 캡(20)은 상방에 위치되어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개방시키는 데, 이때 화단(100)의 빗물은 연결 배수트랩(10)의 배수공(12)을 통해서 하부 배수관(2)으로 배수됨으로써 화단(100)에 빗물이 많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보다 신속하게 화단(100)을 배수시켜 빗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단(100)을 신속하게 배수시켜 적당량의 물이 화단에 잔존하도록 하여 꽃을 보다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베란다의 화단 일측에 설치되어 화단에 유입된 빗물을 신속히 배수 처리함으로써 빗물의 범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단을 신속하게 배수시켜 적당량의 물이 화단에 잔존하도록 하여 꽃을 건강하게 재배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주 있다.

Claims (2)

  1. 베란다 화단의 배수를 위하여, 화단(100)의 상면에 연결 배수트랩(10)을 설치하고 화단(100)의 바닥면에 보조 배수트랩(30)을 설치하여 연결 배수트랩(10)과 보조 배수트랩(30)을 보조 배수관(P) 으로써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12)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 배수트랩(10)을 구성하여 내주면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된 캡(20)을 연결 배수트랩(10)의 외측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수트랩(10)은그 배수공(12)을 "V"자 형태로 배열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안내관(1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KR2020020016907U 2002-06-01 2002-06-01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KR200286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07U KR200286137Y1 (ko) 2002-06-01 2002-06-01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07U KR200286137Y1 (ko) 2002-06-01 2002-06-01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37Y1 true KR200286137Y1 (ko) 2002-08-22

Family

ID=7307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07U KR200286137Y1 (ko) 2002-06-01 2002-06-01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17B1 (ko) *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17B1 (ko) *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588B1 (en) Clog-free roof drain cover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200286137Y1 (ko) 베란다 화단용 배수트랩
KR20170049471A (ko)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JP2018130062A (ja) 連棟型ハウス内の落水防止装置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101703642B1 (ko) 배수용 방초 덮개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US11761191B2 (en) Outdoor drain filter with flood protection
KR100575134B1 (ko) 하수도관 맨홀 개량구조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TWI623671B (zh) Shaft basin cover
KR200357960Y1 (ko) 골프퍼팅그린의 홀컵설치구조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20070042131A (ko) 친환경 조립식 배수관
KR101678821B1 (ko) 커버를 가지는 그레이팅 장치
KR102595292B1 (ko) 배수관용 벤트캡
KR100679492B1 (ko)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KR200224919Y1 (ko) 건축물 베란다용 드레인
CN108729530B (zh) 阴井盆盖
KR102615380B1 (ko)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CN216304719U (zh) 排水生态种植井盖
KR20000016016U (ko) 악취 역류방지 발코니 임체하수관체
KR100676394B1 (ko) 건축물 우수 배수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