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292B1 - 배수관용 벤트캡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벤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292B1
KR102595292B1 KR1020210106585A KR20210106585A KR102595292B1 KR 102595292 B1 KR102595292 B1 KR 102595292B1 KR 1020210106585 A KR1020210106585 A KR 1020210106585A KR 20210106585 A KR20210106585 A KR 20210106585A KR 102595292 B1 KR102595292 B1 KR 10259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mesh
hollow member
coupl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607A (ko
Inventor
김정환
이관철
이효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1010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용 벤트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의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관의 내부로 공기가 잘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벤트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 벤트캡은,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수관용 벤트캡에 있어서, 일단이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메쉬부와;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덮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쉬부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용 벤트캡 { VENT CAP FOR DRAIN PIPE }
본 발명은 배수관용 벤트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의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관의 내부로 공기가 잘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용 벤트캡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에는 강우 등에 대비하여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구가 갖추어져 있다.
강우 시작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강우 즉 초기 우수는 옥상에 쌓인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과 함께 배수되기 때문에, 초기 우수와 함께 배수되는 오염물질은 하천의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옥상의 오염물질들로 인해 배수 경로 즉 배수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건물의 내구성 저하 및 누수 등의 하자를 유발하고 있다.
위와 같이 빗물이나 이물질 등의 오수가 배수구멍을 통하여 배수관으로 흘러 들어갈 때에, 여러 가지 이물질이 배수관 안으로 함께 따라 들어가 배수 구멍이 막히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건물 등의 옥상이나, 지붕 및 지하실 바닥 등에 형성된 배수 구멍에 드레인 캡 즉 벤트캡을 설치하였다.
종래의 벤트캡은 단순히 판상의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되고, 벤트캡이 막히게 되면 배수관의 내부가 진공화 되면서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상의 벤트캡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벤트캡은 이물질은 걸려주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메쉬부가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관으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때가 종종 발생하고, 벤트캡을 배수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배수관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벤트캡을 준비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0091683 등록실용 20-039519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쉬부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배수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배수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호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배수관용 벤트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수관용 벤트캡은,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수관용 벤트캡에 있어서, 일단이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메쉬부와;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덮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쉬부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메쉬부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며,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시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접하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커버부를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메쉬부의 타단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커버부와 메쉬부 상호간의 유동을 저지시킨다.
상기 메쉬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을 따라 절곡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를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시켰을 때 절곡 형성된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내측면이 상기 메쉬부의 이웃한 두개의 면과 접한다.
상기 메쉬부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4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메쉬부 타단의 꼭지점 부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호 이격된 상기 유동방지돌기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부는, 타단이 상기 메쉬부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중공부재와; 상기 제1중공부재의 안쪽에서 상기 제1중공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중공부재와; 상기 제1중공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중공부재의 일단은 직경이 다른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관통공의 윗쪽에서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의 하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관용 벤트캡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벤트캡과 비교하여, 상기 메쉬부의 둘레를 따라 많은 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으로 공기의 흡입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수관의 내부로 액체를 배출할 때에 배수관 내부가 진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메쉬부에 형성된 관통공이 상하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엽 등의 이물질 등이 상기 메쉬부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돌기, 걸림홈 및 유동방지돌기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상기 메쉬부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바디부를 배수관에 끼우면 조립되기 때문에, 벤트캡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가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제1중공부재와 제2중공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배수관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벤트캡으로 두가지의 배수관에 모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벤트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벤트캡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벤트캡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벤트캡의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벤트캡을 배수관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40)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수관(40)용 벤트캡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와, 메쉬부(20)와, 커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배수관(40)의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메쉬부(20)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10)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부(20)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부(20)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을 막는다.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을 덮는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쉬부(20)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부(20)에는 상기 걸림돌기(31)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부(32)와 걸림턱(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돌기부(32)는 상기 커버부(30)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3)은 상기 지지돌기부(32)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메쉬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부(32)는 상기 메쉬부(20)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걸림턱(33)이 상기 걸림홈(22)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메쉬부(20)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33)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31)의 삽입시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접하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관통공(21)의 윗쪽에서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홈(22)의 하부와 상기 관통공(21)의 상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걸림홈(22)의 하부와 상기 관통공(21)의 상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31)를 상기 걸림홈(22)에 결합시킬 때 상기 걸림돌기(31)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21)에 배치되면서 상기 걸림돌기(31)를 상기 걸림홈(22)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돌기(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상기 커버부(30)를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메쉬부(20)의 타단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커버부(30)와 메쉬부(20) 상호간의 유동을 저지시킨다.
즉, 상기 유동방지돌기(35)가 상기 메쉬부(20)의 타단 둘레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메쉬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상기 커버부(30)의 하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30)를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 결합시켰을 때,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내측면이 상기 메쉬부(20)의 이웃한 두개의 면과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부(20)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상기 커버부(30)의 하면에 4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상기 메쉬부(20) 타단의 꼭지점 부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0)를 상기 메쉬부(20)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유동방지돌기(35)의 절곡된 내측면이 상기 메쉬부(20) 타단의 꼭지점 양측에 배치되는 이웃한 두개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위와 같은 형상 및 구조에 의해, 상기 유동방지돌기(35)는 상기 메쉬부(20) 타단에 형성된 4개의 꼭지점을 모두 감싸게 되면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메쉬부(20)의 타단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31)는 상호 이격된 상기 유동방지돌기(35)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20)가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상기 유동방지돌기(35)의 내측면과 상기 메쉬부(20) 꼭지점의 외측면의 접함에 의해, 상기 유동방지돌기(35)가 상기 메쉬부(20)의 타단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돌기(31)는 상기 걸림홈(22)이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1)와 상기 걸림홈(22)의 위치를 일일이 맞추어 조립할 필요없이, 상기 유동방지돌기(35)가 상기 메쉬부(20) 꼭지점 외측면에 접하도록 조립하면, 상기 걸림돌기(31)가 상기 걸림홈(22)에 삽입될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는 1개의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중공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10)는, 제1중공부재(11)와 제2중공부재(12)와 연결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중공부재(11)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쉬부(20)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중공부재(12)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안쪽에서 상기 제1중공부재(1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중공부재(12)는 상기 메쉬부(20)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한다.
위와 같이 상기 바디부(10)가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제1중공부재(11)와 제2중공부재(12)로 이루어짐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일단 또는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일단을 직경이 서로 배수관(40)의 끝단에 결합시킬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다.
도 5(a)는 직경이 큰 상기 제1중공부재(11)에 상기 배수관(40)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직경이 작은 상기 제2중공부재(12)에 상기 배수관(40)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연결부(13)를 절단하여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막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메쉬부(20)의 내부와 연통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12)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 부위 이외에는 서로 이격되어 통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직경이 작은 상기 제2중공부재(12)에 배수관(40)을 결합하였을 때에는 상기 배수관(40)과 상기 제1중공부재(11) 사이에 새로운 통로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통로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내측면과 상기 배수관(4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통로는, 상기 제1중공부재(11)의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제1중공부재(11)와 상기 배수관(40)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벤트캡과 비교하여, 상기 메쉬부(20)의 둘레를 따라 많은 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40)으로 공기의 흡입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수관(40)의 내부로 액체를 배출할 때에 배수관(40) 내부가 진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메쉬부(20)에 형성된 관통공(21)이 상하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엽 등의 이물질 등이 상기 메쉬부(20)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21)을 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돌기(31), 걸림홈(22) 및 유동방지돌기(35)에 의해 상기 커버부(30)를 상기 메쉬부(2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를 배수관(40)에 끼우면 조립되기 때문에, 벤트캡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10)가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제1중공부재(11)와 제2중공부재(12)로 이루어져 있어, 배수관(40)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벤트캡으로 두가지의 배수관(40)에 모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배수관용 벤트캡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바디부, 11 : 제1중공부재, 12 : 제2중공부재, 13 : 연결부,
20 : 메쉬부, 21 : 관통공, 22 : 걸림홈,
30 : 커버부, 31 : 걸림돌기, 32 : 지지돌기부, 33 : 걸림턱, 34 : 경사면, 35 : 유동방지돌기,
40 : 배수관.

Claims (7)

  1. 건물 옥상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수관용 벤트캡에 있어서,
    일단이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쉬부와;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막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쉬부의 타단을 덮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쉬부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타단이 상기 메쉬부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중공부재와;
    상기 제1중공부재의 안쪽에서 상기 제1중공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중공부재와;
    상기 제1중공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중공부재의 일단은 직경이 다른 배수관의 끝단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중공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중공부재의 타단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메쉬부의 내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존재하는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을 따라 '┌'형상으로 절곡된 4개의 유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메쉬부 타단의 꼭지점 부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호 이격된 상기 유동방지돌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를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결합시켰을 때 절곡 형성된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내측면이 상기 메쉬부의 타단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커버부와 메쉬부 상호간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벤트캡.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메쉬부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며,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시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접하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벤트캡.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관통공의 윗쪽에서 상기 메쉬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의 하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벤트캡.
KR1020210106585A 2021-08-12 2021-08-12 배수관용 벤트캡 KR10259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85A KR102595292B1 (ko) 2021-08-12 2021-08-12 배수관용 벤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85A KR102595292B1 (ko) 2021-08-12 2021-08-12 배수관용 벤트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07A KR20230024607A (ko) 2023-02-21
KR102595292B1 true KR102595292B1 (ko) 2023-10-30

Family

ID=8532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85A KR102595292B1 (ko) 2021-08-12 2021-08-12 배수관용 벤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2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42B1 (ko) * 2011-06-23 2012-07-06 진흥전기 주식회사 커버 플레이트의 좁은 폭 악세서리 조립구조
US10663192B2 (en) * 2013-01-04 2020-05-26 Fleming Vaughn Carroll Vertical vent stack ca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99Y1 (ko) 2005-06-24 2005-09-07 주식회사 스페이스 드레인 캡
KR101195242B1 (ko) 2011-02-09 2012-10-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상 배수구 캡 및 이를 이용한 일시저류 가능한 옥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42B1 (ko) * 2011-06-23 2012-07-06 진흥전기 주식회사 커버 플레이트의 좁은 폭 악세서리 조립구조
US10663192B2 (en) * 2013-01-04 2020-05-26 Fleming Vaughn Carroll Vertical vent stack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07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28B1 (en) Downsprout drain connector
US10822785B1 (en) Filtering drain cover
US11293171B2 (en) Filtering drain cover
AU2020101488A4 (en) Downpipe diverter
KR102595292B1 (ko) 배수관용 벤트캡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JP5321407B2 (ja) 縦樋のオーバーフロー構造
US20030178349A1 (en) Down pipe filter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JP2008267029A (ja) 通気材及びそれを用いた棟換気部材
JP4229324B2 (ja) 通気蓋用キャップ装置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JP7131973B2 (ja) 軒樋構造および建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JP2020045679A (ja) オーバーフロー樋用ソケット、軒樋構造、および、建物
KR200301307Y1 (ko) 배수 각도를 갖는 옥외 통수관
JP4540367B2 (ja) 軒樋集水器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CN201050098Y (zh) 上下连接双水桶型直通式存水弯
US3722532A (en) Rain water drain pipe or similar for a building
JP2788617B2 (ja) 排水構造
KR200204331Y1 (ko) 건물옥상용 배수트랩
KR102035204B1 (ko) 공동건물의 입상 덕트용 드레인부재
KR101192394B1 (ko)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