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492B1 -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492B1
KR100679492B1 KR1020060065980A KR20060065980A KR100679492B1 KR 100679492 B1 KR100679492 B1 KR 100679492B1 KR 1020060065980 A KR1020060065980 A KR 1020060065980A KR 20060065980 A KR20060065980 A KR 20060065980A KR 100679492 B1 KR100679492 B1 KR 10067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ower bed
base
veranda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to KR102006006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바닥에 설치된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으며, 베란다 바닥에 화분이나 화단을 위한 별도의 배수부위가 형성되어 화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이 상기 베란다 바닥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하고, 베란다 바닥의 특수한 구조로부터 위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으며, 조립되는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2100)에 형성되며, 봉형 부재인 연결봉(1000)을 포함하는 조립 부재를 조립하여 화단으로 전환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롤러 부재가 깔린 바닥으로 형성되어 무거운 화분(2500)을 힘들이지 않고 상기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의 아랫부분에는 배수 구조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화분(2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이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100),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 상기 기저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기저부 테두리부(110)로 부터 위로 적층 되어 화단의 벽체를 이루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중간 블럭부(500), 상기 기저부(100)와 상기 중간 블럭부(500)로 형성되는 화단 내부에서 토양(2700)과 식생식물(2600) 을 담아주도록 형성되며, 막 부재로 형성되는 내부막부(800), 상기 중간 블럭부(500) 위에 적층 되되 최상층에 적층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서 고정시켜 주는 갈고리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베란다.

Description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Veranda floor structure convertiable into a flower bed in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사시도로 화단으로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구성요소인 롤러(150) 위로 화분(2500)이 수평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단면도로 화단으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중간 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내부막부(8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상단 블럭부(7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저부 101 : 기저부 오목부
110 : 기저부 테두리부 112 : 삽입 홈부
120 : 기저부 벽면부 122 : 롤러 장착부
150 : 롤러 170 : 기저부 경사면부
180 : 기저부 중앙 배수홈부 500 : 중간 블럭부
501 : 중간 블럭부 몸체부 510 : 중간 블럭부 상부면부
512 : 상부면부 삽입홈 520 : 중간 블럭부 하부면부
522 : 하부면부 삽입홈 700 : 상단 블럭부
701 : 상단 블럭부 몸체부 720 :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
722 :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 삽입홈 750 : 상단 블럭부 측면부
752 : 갈고리부 800 : 내부막부
810 : 갈고리부 결합 관통구 820 : 중앙 배수 관통구
900 : 볼트 1000 : 연결봉
2100 : 베란다 바닥 2200 : 베란다 창
2500 : 화분 2600 : 식생식물
2700 : 토양 2900 : 배수로
본 발명은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2100)에 형성되며, 봉형 부재인 연결봉(1000)을 포함하는 조립 부재를 조립하여 화단으로 전환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롤러 부재가 깔린 바닥으로 형성되어 무거운 화분(2500)을 힘들이지 않고 상기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의 아랫부분에는 배수 구조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화분(2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이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100),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 상기 기저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기저부 테두리부(110)로 부터 위로 적층 되어 화단의 벽체를 이루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중간 블럭부(500), 상기 기저부(100)와 상기 중간 블럭부(500)로 형성되는 화단 내부에서 토양(2700)과 식생식물(2600)을 담아주도록 형성되며, 막 부재로 형성되는 내부막부(800), 상기 중간 블럭부(500) 위에 적층 되되 최상층에 적층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서 고정시켜 주는 갈고리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베란다는 좁은 공간이지만 각종 생활 소도구가 보관되기도 하며, 원예를 취미로 삼는 이들은 많은 수의 화분을 관리하기도 한다.
화분은 흙이 담겨 있어 무겁기도 하고 좁은 공간에서 화분 운반을 위해 힘을 쓰다보면 허리를 다치는 일이 많이 생긴다. 또한, 화분은 밑이 작은 면적이고 위가 큰 면적인 불안정한 물건이어서 쉽게 쓰러지거나 깨질 수 있다.
만약,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바닥에 설치된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베란다 바닥에 화분이나 화단을 위한 별도의 배수부위가 형성되어 화단 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이 상기 베란다 바닥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화분에서는 고추나, 토마토 등을 재배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작은 화단이 있으면 수월하게 야채를 재배할 수 있다.
만약, 베란다 바닥의 특수한 구조로부터 위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조립되는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바닥에 설치된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바닥에 화분이나 화단을 위한 별도의 배수부위가 형성되어 화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이 상기 베란다 바닥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바닥의 특수한 구조로부터 위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되는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저부(100), 중간 블럭부(500), 내부막부(800), 상단 블럭부(7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사시도로 화단으로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구성요소인 롤러(150) 위로 화분(2500)이 수평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단면도로 화단으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2100)에 형성되며, 봉형 부재인 연결봉(1000)을 포함하는 조립 부재를 조립하여 화단으로 전환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롤러 부재가 깔린 바닥으로 형성되어 무거운 화분(2500)을 힘들이지 않고 상기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의 아랫부분에는 배수 구조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화분(2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이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100),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 상기 기저 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기저부 테두리부(110)로 부터 위로 적층 되어 화단의 벽체를 이루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중간 블럭부(500), 상기 기저부(100)와 상기 중간 블럭부(500)로 형성되는 화단 내부에서 토양(2700)과 식생식물(2600)을 담아주도록 형성되며, 막 부재로 형성되는 내부막부(800), 상기 중간 블럭부(500) 위에 적층 되되 최상층에 적층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서 고정시켜 주는 갈고리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100)는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볼트(900)와 조립되어 있어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볼트(900)를 분리해 주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를 조립하여 화단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원형 홈인 삽입 홈부(112),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 내부 부위가 오목하게 파여져서 형성되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 오목부(101), 상기 기저부 오목부(101)의 내부의 벽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벽면 부위 중 베란다 창(2200)에 인접한 벽면 부위와 마주 대하는 벽면 부위 양 벽면 부위에는 상기 롤러 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롤러 장착부(1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벽면 부위인 기저부 벽면부(120), 상기 기저부 오목부(101)의 바닥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 벽면부(120)와 연속되어 형성되고,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저부 경사면부(170), 상기 기저부 경사면부(170)의 가장 낮은 부위인 중앙 부위에 기다란 홈이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베란다 바닥(2100) 내부의 배수로(29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 중앙 배수홈부(180), 상기 롤러 장착부(122)에 나란히 장착되는 상기 롤러 부재인 복수 개의 롤러(1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도에서 상기 기저부 경사면부(170), 기저부 중앙 배수홈부(180)는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해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물이 흘러 갈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구배를 갖추면 되고, 바닥 구조를 간섭할 정도의 구조로 형성되지는 않으며, 별도로 방수처리를 해주어야 할 정도의 구조는 아니다.
또한 상기 롤러(150)는 지름이 4~5cm정도로 형성되며, 그 간격 또한 4~5cm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은 통상적으로 타일 마감이 되므로 상기 기저부(100)는 타일 바닥 부분과 구분되며, 상기 기저부(100)가 블럭 부재로 제작되어 상기 베란다 바닥(2100)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배수로(2900)와 함께 매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롤러(150) 위로 화분(2500)이 수평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롤러(150)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2500)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바닥에 설치된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 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 부재의 아랫부분에는 배수 구조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화분(2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 또는 화단이 조립된 후에 화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이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베란다 바닥에 화분이나 화단을 위한 별도의 배수부위가 형성되어 화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이 상기 베란다 바닥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3도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중간 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중간 블럭부(500)는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몸체인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의 상부면인 중간 블럭부 상부면부(51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블럭부 상부면부(51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면부 삽입홈(512),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의 하부면인 중간 블럭부 하부면부(52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블럭부 하부면부(52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부면부 삽입홈(5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블럭부(5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럭부(700)는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몸체인 상단 블럭부 몸체부(701)의 하부면인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72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블럭부 몸체부(7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72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 삽입홈(722),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몸체인 상단 블럭부 몸체부(701)의 측면인 상단 블럭부 측면부(750)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주는 갈고리 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부(75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럭부(7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도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내부막부(800)의 사시도이다.
제 5도는 본 발명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의 구성요소인 상단 블럭부(7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내부막부(800)는 상기 내부막부(8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갈고리 부재에 걸어져서 상기 내부막부(80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부 결합 관통구(810), 상기 내부막부(800)의 중앙 부 위에 기다란 관통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토양(2700)과 상기 식생식물(2600)로 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기저부(100)로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중앙 배수 관통구(8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막부(800)는 불투명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기저부(100), 상기 중간 블럭부(500), 상기 내부막부(800), 상기 상단 블럭부(700)를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베란다 바닥의 특수한 구조로부터 위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중간 블럭부(500), 상기 내부막부(800), 상기 상단 블럭부(700)는 조립되는 부재이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되는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바닥에 설치된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힘들이지 않고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베란다 바닥에 화분이나 화단을 위한 별도의 배수부위가 형성되어 화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이 상기 베란다 바닥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베란다 바닥의 특수한 구조로부터 위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하여 건식으로 원하는 높이의 화단을 만들 수 있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되는 부재로 구성되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공동주택의 베란다 바닥(2100)에 형성되며, 봉형 부재인 연결봉(1000)을 포함하는 조립 부재를 조립하여 화단으로 전환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롤러 부재가 깔린 바닥으로 형성되어 무거운 화분(2500)을 힘들이지 않고 상기 롤러 부재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의 아랫부분에는 배수 구조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화분(2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토양(2700)이 상기 베란다 바닥(2100)의 다른 부위에 묻거나 번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100),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 상기 기저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기저부 테두리부(110)로 부터 위로 적층 되어 화단의 벽체를 이루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중간 블럭부(500),
    상기 기저부(100)와 상기 중간 블럭부(500)로 형성되는 화단 내부에서 토양(2700)과 식생식물(2600)을 담아주도록 형성되며, 막 부재로 형성되는 내부막부(800),
    상기 중간 블럭부(500) 위에 적층 되되 최상층에 적층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서 고정시켜 주는 갈고리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700),
    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부(100)는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볼트(900)와 조립되어 있어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100)를 화단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볼트(900)를 분리해 주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를 조립하여 화단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원형 홈인 삽입 홈부(112),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 내부 부위가 오목하게 파여져서 형성되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 오목부(101),
    상기 기저부 오목부(101)의 내부의 벽면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 테두리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벽면 부위 중 베란다 창(2200)에 인접한 벽면 부위와 마주 대하는 벽면 부위 양 벽면 부위에는 상기 롤러 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롤러 장착부(1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벽면 부위인 기저부 벽면부(120),
    상기 기저부 오목부(101)의 바닥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 벽면부(120)와 연속되어 형성되고,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저부 경사면부(170),
    상기 기저부 경사면부(170)의 가장 낮은 부위인 중앙 부위에 기다란 홈이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베란다 바닥(2100) 내부의 배수로(29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기저부 중앙 배수홈부(180),
    상기 롤러 장착부(122)에 나란히 장착되는 상기 롤러 부재인 복수 개의 롤러(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는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몸체인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의 상부면인 중간 블럭부 상부면부(51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블럭부 상부면부(51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면부 삽입홈(512);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의 하부면인 중간 블럭부 하부면부(52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블럭부 몸체부(5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블럭부 하부면부(52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중간 블럭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부면부 삽입홈(522);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중간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럭부(700)는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몸체인 상단 블럭부 몸체부(701)의 하부면인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72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블럭부 몸체부(701)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720)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000)을 끼워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 하부면부 삽입홈(722);
    상기 상단 블럭부(700)의 몸체인 상단 블럭부 몸체부(701)의 측면인 상단 블럭부 측면부(750)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막부(800)를 걸어주는 갈고리 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부(752);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단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5. 삭제
KR1020060065980A 2006-07-13 2006-07-13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KR10067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80A KR100679492B1 (ko) 2006-07-13 2006-07-13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80A KR100679492B1 (ko) 2006-07-13 2006-07-13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492B1 true KR100679492B1 (ko) 2007-02-06

Family

ID=3810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980A KR100679492B1 (ko) 2006-07-13 2006-07-13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4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65A (ko) * 2001-06-08 2002-12-18 김대현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65A (ko) * 2001-06-08 2002-12-18 김대현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2002-9426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US8978300B2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JP2008043241A5 (ko)
KR101471062B1 (ko)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1429481B1 (ko) 토목용 블록
KR100679492B1 (ko) 화단으로 전환가능한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KR100548809B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 설치용 화초 식재부재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101058881B1 (ko) 옹벽블럭
KR101252377B1 (ko) 배수가 용이한 식물 재배장치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200465986Y1 (ko)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KR200466020Y1 (ko)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KR20120005874U (ko) 생태경계석
KR100695680B1 (ko) 건축단지에 설치하는 조경 식생 담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