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18Y1 - 석벽돌의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석벽돌의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18Y1
KR200285918Y1 KR2019960025804U KR19960025804U KR200285918Y1 KR 200285918 Y1 KR200285918 Y1 KR 200285918Y1 KR 2019960025804 U KR2019960025804 U KR 2019960025804U KR 19960025804 U KR19960025804 U KR 19960025804U KR 200285918 Y1 KR200285918 Y1 KR 200285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rick
pin
mortar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261U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2019960025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벽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적을 용이하게 하고 횡방향력에 의한 전단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석벽돌의 상하표면에 일정깊이로 천공한 핀홈과 상기 핀홈에 삽입되고 중간부에 플랜지를 갖는 핀에 의해 각각의 석벽돌을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으며,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핀이 횡방향 전단응력에 대응하여 높은 저항강도를 발휘하여 안전한 구조가 되며,핀을 삽입하는 과정으로 조적됨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핀에 형성하는 플랜지에 의해 모르타르 충진공간이 확보됨으로 비숙련자라도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석벽돌의 조적을 완료한 상태에서 모르타르의 충진이 이루어짐으로 시공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석벽돌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의 시공에 이용하는 석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핀에 의해 각각의 석벽돌이 상호 맞물려진 형태로 조적되도록 구성한 석벽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석벽돌은 원석을 절단하여 일반 시멘트벽돌과 동일한 규격과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적하며,건축물의 내외벽,칸만이벽 또는 담장 등의 장식적 효과가 요구되는 곳에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석벽돌은 석재가 갖는 다양한 질감이나 미감을 표현할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석벽돌이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층상으로 쌓는 방법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도포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함으로서 균일하고 바른 형태의 조적이 가능하게 되나 이는 고도의 조적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일반적 조적구조와 같이 수직응력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하나 횡방향력에 대해서는 바인더로 사용된 모르타르의 강도에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서 전단응력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석벽돌을 이용하여 직접 내력벽을 구성하는 대신에 콘크리트로 벽체를 구성한 후 그 외표면에 석벽돌을 부착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건축물 내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등 사용상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한편,적벽돌 등과 같은 열처리 벽돌이나 시멘트성형 벽돌의 경우에 벽돌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 조적시 주입하는 모르타르가 상기 통공에 채워지도록 하거나 통공에 철근을 넣어 모르타르나 철근등으로 황방향력에 대응하도록 하는 방법이 공지되고 있고,석벽돌의 경우에도 이와 같이 석벽돌의 상하표면을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철근을 넣거나 모르타르가 채워지도록 하는 방법이 강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성형벽돌의 경우에는 성형단계에서 통공의 형성이 이루어져 통공형성이 매우 용이한 반면에 석벽돌의 경우 별도의 천공작업을 행하여야 하고관통공에 의해 석재의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관통공에 철근을 부설하는 경우에는 시공이 매우 어렵고 다양한 방식으로 벽돌쌓기를 할 수 없으며,석벽돌이 갖는 미감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해결방법이라 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석벽돌의 상하표면에 일정깊이로 천공한 핀홈과 상기 핀홈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 각각의 석벽돌을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새로이 제시함으로서 핀에 의해 횡방향 전단응력에 대응하도록 하며,핀을 삽입함으로서 조적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종래 석벽돌 시공시 문제점이었던 선형과 평면상태 유지의 곤란성을 해결하고,석벽돌 자체의 결합력에 의하여 횡방향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킴으로서 석벽돌이 갖는 장식적 기능이외에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도
도3은 핀홈의 형성위치를 보이기 위한 석벽돌의 평면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시공한 벽체의 단면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석벽돌 2.핀홈 3,3'.핀
4.플랜지 5.모르타르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석벽돌을 쌓아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각 석벽돌의 결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각각의 석벽돌(1) 상하면의 양단부로 부터 일정거리에 일정깊이로 천공한 핀홈(2)을 형성하고,상기 핀홈에 끼워지고 중앙부에 일정두께의 플랜지(4)가 형성된 핀(3)을 구비하여 각기의 석벽돌이 핀홈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 상호 맞물려 지고,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틈새에 도포되는 모르타르(5)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핀홈은 드릴을 사용하여 원형으로 천공하거나 도2에 표시된 바와같이 환형커터를 사용하여 환형으로 천공할 수 있다.
핀홈을 환형으로 구성한 경우, 이에 삽입되는 핀(3')은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미천공부분인 원주상의 기둥(6)이 핀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확실한 결합이 가능해지고 천공에 따르는 강도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횡방향력의 작용시 핀에 집중하는 전단력을 벽돌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드릴링에 의한 천공시 소요되는 시간보다 현저히 짧은 시간에 천공이 가능하여 천공에 따르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핀홈의 천공위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벽돌의 양단부로 부터 석벽돌 폭(w)의 1/2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이와 같이 함으로서 가로쌓기와 세로 쌓기를 교대로 하여 조적하더라도 상하 벽돌의 핀홈을 일치시킬 수 있다.
핀홈에 형성하는 플랜지는 조적시 모르타르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비숙련자라도 쉽게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플랜지의 두께(t)와 모르타르의 도포 두께(t')를 동일하게 구성한다.
즉,핀에 형성한 플랜지는 일반 벽돌과 같이 모르타르를 각 벽돌사이에 도포해 가면서 벽돌을 쌓거나 핀을 이용하여 각 벽돌을 일시에 쌓은 상태에서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벽돌사이의 틈새에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벽돌쌓기를 행할 수 있다.
전자의 방법은 플랜지의 두께가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두께의 기준이 되어 균일한 높이로 모르타르를 도포할 수 있게 되며,후자의 경우는 플랜지에 의해 각 벽돌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충진함으로서 비전문가라도 정확한 선형과 바른 형태로 조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벽돌의 경우 굳지 않은 상태의 모르타르에 과도한 조적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강도저하가 발생함으로 하루에 쌓는 벽돌쌓기 높이가 제한되는 반면에 본 고안의 경우에는 모르타르가 굳기 전이라도 조적하중의 대부분을 플랜지에서 수용함으로 하루에 쌓는 벽돌의 높이를 제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석벽돌을 사용하여 벽돌쌓기를 한 벽체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하층의 벽돌을 쌓기를 완료한 후 상층 벽돌의 중간부가 하층벽돌의 줄눈사이에 오도록 하면 하층 벽돌 상면의 우측부 핀홈과 상층벽돌의 좌측부 핀홈이 상호 일치되고 핀의 상하단이 각 벽돌의 핀홈에 삽입되도록 끼워주면 각각의 벽돌이 핀에 의해 상호 맞물려 지고 핀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동일한 높이를 갖는 틈새가 형성되며,상기 틈새에 모르타르를 주입함으로서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횡방향력에 의한 전단응력이 가해지더라도 핀이 이를 수용하여 안전한 구조가 되고,모르타르의 사용에 따르는 고도의 시공능력이 요구되지 않음으로 비숙련자라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각각의 벽돌이 핀에 의해 맞물려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튼튼하고 횡방향력에 대하여 매우 강한 구조가 됨으로 일반적 건축물의 장식적 목적 뿐만아니라 건축물의 내력벽으로 시공할 수 있고,각 석벽돌을 맞물리는 핀 및 핀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정확한 선형과 줄눈을 형성할 수 있어 완벽한 시공을 기할 수 있고 조적 및 모르타르의 충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숙련자라도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며,핀에 의한 벽돌쌓기를 종료한 후에 모르타를 최종적으로 충진하는 방법으로 시공함으로서 시공능률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석벽들을 쌓아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각 석벽돌의 결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석벽돌(1) 상하면의 양단부로 부터 일정 거리에 일정 깊이로 천공한 환형의 핀홈(2)을 형성하고, 상기 핀홈에 끼워지고 중앙부에 일정두께의 플랜지(4)가 형성된 원통형의 핀(3')을 구비하여 상기한 핀홈에 끼움으로서 핀홈(2) 중앙에 형성된 원주상의 기둥(6)이 핀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로 각각의 석벽돌을 맞물리고,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각 석벽들 사이의 틈새에 모르타르(5)를 채워 넣음으로서 각기의 석벽돌을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벽돌의 결함구조.
KR2019960025804U 1996-08-22 1996-08-22 석벽돌의결합구조 KR200285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804U KR200285918Y1 (ko) 1996-08-22 1996-08-22 석벽돌의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804U KR200285918Y1 (ko) 1996-08-22 1996-08-22 석벽돌의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261U KR19980012261U (ko) 1998-05-25
KR200285918Y1 true KR200285918Y1 (ko) 2003-01-24

Family

ID=4932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804U KR200285918Y1 (ko) 1996-08-22 1996-08-22 석벽돌의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261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552A (en) Universal wall forming system
AU608220B2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the same
US8671640B1 (en) Rapidly locking building/lock components, bridge keys and locking keys to construct uniform whole locked building members and entire locked structures on-the-fly
US20090113835A1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s
AU2004216646A1 (en) Interlocking block
JPS6346820B2 (ko)
US20050204663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US20100037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ision Grinding and Self-Leveling Installation of Concrete Masonry Systems
KR100899779B1 (ko) 조적식 벽돌
US4771584A (en) Concrete block wall construction method
US1514714A (en) Concrete construction
WO2020186857A1 (zh) 一种介于预制钢筋混凝土结构体之间的连接结构及用于该钢筋混凝土结构体的钢筋配置方法
KR200285918Y1 (ko) 석벽돌의결합구조
WO20190331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lungselements
US2711096A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CN211572006U (zh) 预制钢筋混凝土结构体之间的连接结构及螺旋钢筋组件
EP1120505B1 (en) A building block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of dry-stacking high performance masonry walls
JP2612416B2 (ja) 屋外壁建設資材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JPH02176046A (ja) 柱及び壁の構築方法
JPH0459426B2 (ko)
US1222174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070294978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EP1074667A1 (en) Method for erecting masonry made of bricks and/or blocks and associated product
GB2502139A (en) A kit of interlocking blocks comprising at least one block with a hermaphrodit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