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478Y1 - 시선유도 표시기 - Google Patents

시선유도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478Y1
KR200285478Y1 KR2020020013459U KR20020013459U KR200285478Y1 KR 200285478 Y1 KR200285478 Y1 KR 200285478Y1 KR 2020020013459 U KR2020020013459 U KR 2020020013459U KR 20020013459 U KR20020013459 U KR 20020013459U KR 200285478 Y1 KR200285478 Y1 KR 200285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xed shaft
eye
attached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재
Original Assignee
이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재 filed Critical 이휘재
Priority to KR2020020013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47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시선유도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L)가 원주상에 표출되게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C)이 내경(1-1)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된 발광체(1)와, 상기 발광체(1)의 저면 중앙에 일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과, 상기 고정축(3)의 수직되는 타단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4)와, 상기 고정축(3)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5-2)에 다수개의 날개편(5-1)이 부착되고, 몸체(5-2) 상부에 상기 자계코일(C)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5)와, 상기 회전체(5)의 내경(1-1)과 고정축(3)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회전체의 정회전, 역회전으로 전압을 발생시켜 발광체로부터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불빛 또는 회전체의 날개편 회전에 의한 움직임으로 시선유도 표시에 의해 도로상의 안전주행을 돕고, 특정장소를 쉽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전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동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선유도 표시기{Indicator for introducing of visualization}
본 고안은 시선유도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사용이 필요치 않고 자연 풍을 이용하여 야간시 도로 및 기타 특정장소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선유도 표시기로서는 전원공급에 의한 전구 또는 반사판을 이용한 간판, 가로등, 도로표시등으로 도로의 표면, 도로의 중앙분리대 및 가장자리 가이드레일에는 야간시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돕기 위한 일환으로 안전유도등 즉, 시선유도를 위한 반사체(갈매기표지판, 가이드박스, 도로 표지병, 데리네이터, 사각 반사판, 차선 규제봉)이 설치된다.
상기 데리네이터(delineator)는 차도의 끝과 주행방향 구획선(일명; 중앙선)을 나타내기 위해 도로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일련의 표시등이다. 반면에, 데리네이터의 일종인 유도표는 재귀반사 작용을 갖게 한 것으로, 차량으로부터 방사된 전조등의 빛을 바로 그 차량으로 재귀시켜 차도의 끝을 표시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빛 반사를 이용한 유도표는 차량으로부터 방사된 전조등의 빛이 직선적으로 이어져야만 반사되는 빛을 그 차량에게 되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반사되는 빛과 전조등의 빛이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있으면 빛이 그 차량으로 재귀되지 않아 안전주행을 유도하기가 어려워지고, 또한 유도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가이드레일이나 비교적 큰 패널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전유도등은 발광등을 내설하여 상기 유도표의 단점을 개선한 것임은 분명하나, 상기 발광등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차도의 끝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일련의 안전유도등을 설치한 후에 안전유도등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등을 밝혀주기 위해서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는 하나 하나의 안전유도등에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라인이 도로에 매설되도록 가설하고, 외부 전원을 인가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유도등은 도로의 안전을 위해서 전국의 도로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안전유도등에 공급되는 전원 전력은 기하급수적으로 표현될 것이며, 이와 같은 전력의 공급에 따른 비용이 상당할 것이 분명하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에 따른 경제적인 사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솔라셀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데리네이터를 적용한 고안이 있다. 이는 별도의 외부전원이 불필요하고, 기기의 설치와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며, 수명이 향상되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은 가능하나, 이 또한 설치에 따른 각 솔라셀의 가격이 부담이 되고, 상기와 같이 가드레일이나 패널등에 솔라셀을 내장하는 타입으로 설치하기에는 비용이 비경제적이며, 유지보수에 애로사항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데리네이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선유도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자연풍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주간 및 야간시에 도로상황을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도울 수 있도록 하며, 기존과 같은 배터리나 솔라셀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도로에 근접하는 휴게소, 주유소 등의 특정장소 위치를 주간 및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가 원주상에 표출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이 내경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된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의 저면 중앙에 일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수직되는 타단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고정축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에 다수개의 날개편이 부착되고, 몸체 상부에 상기 자계코일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경과 고정축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가 원주상에 표출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이 내경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체와,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앙에 양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에 다수개의 날개편이 부착되고, 몸체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복수의 발광체에 설치된 자계코일측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경과 고정축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시선유도 표시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를 도로상의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시선유도 표시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시선유도 표시기를 다수개 달아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발광체 1-1: 내경
3: 고정축 4: 받침대
5: 회전체 5a: 고리
5-1: 날개편 5-2: 몸체
5-3: 내경 6: 형광테이프
7: 베어링 8: 축광테이프
C: 자계코일 L: 발광다이오드
M: 마그네트 S: 접속소켓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시선유도 표시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를 도로상의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시선유도 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L)가 원주상에 표출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C)이 내경(1-1)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된 발광체(1)와, 상기 발광체(1)의 저면 중앙에 일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과, 상기 고정축(3)의 수직되는 타단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4)와, 상기 고정축(3)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5-2)에 다수개의 날개편(5-1)이 부착되고, 몸체(5-2) 상부에 상기 자계코일(C)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5)와, 상기 회전체(5)의 내경(5-3)과 고정축(3)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7)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체(1)의 자체적인 형상구조는 반구형 또는 반구형으로부터 수직되게 원통형을 갖는 형상, 원뿔형, 원뿔다각형 등의 형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 범주 내에서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체(1)의 내경(1-1)에 원주상으로 부착 설치되는 자계코일(C)은 발광다이오드(L)의 수와 동일하며,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배선은 자계코일(C)로부터 각각 발광체(1)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발광다이오드(L)에 배선된다. 발광체(1)로 표출되게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L)는 직접적으로 자계코일(C)부터 연장되는 코일(C)과 납땜 설치되거나, 콘넥터 형식으로 접속소켓(S)을 발광체(1)에 설치하여 접속소켓(S)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날개편(5-1)의 양측면에는 주야간 전용으로 형광테이프(6) 또는 축광테이프(8)가 부착 설치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시선유도 표시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시선유도 표시기를 다수개 달아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발광다이오드(L)가 원주상에 표출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C)이 내경(1-1),(2-1)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된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체(1),(2)와, 상기 복수의 발광체(1),(2) 중앙에 양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과, 상기 고정축(3)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5-2)에 다수개의 날개편(5-1)이 부착되고, 몸체(5-2)상부측 발광체(1), 하부측 발광체(2)에 설치된 자계코일(C)측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5)와, 상기 회전체(5)의 내경(5-3)과 고정축(3)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7)으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편(5-1)의 양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형광테이프(6)를 부착 설치하여 주간 전용으로 발광체(1)외에 별도의 표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형광테이프(6)를 날개편(5-1)에 부착 설치함에 있어, 각각의 날개편(5-1)에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테이프를 교호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체(1),(2) 중 발광체 중앙에는 매달기용 고리(1a)가 설치되어 시선유도 표시기를 소정의 높이에서 다수개 등간격으로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시선유도 표시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선유도 표시기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중앙분리대 상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데리네이터와 같이,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한다.
시선유도 표시기의 설치는 시선유도 표시기의 받침대(4)부분을 미도시된 보울트로 고정 설치하여 준다.
이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 시선유도 표시기는 자연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회전체(5)는 날개편(5-1)을 통해 고정축(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체(5)의 내경(5-3)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7)은 고정축(3)으로부터 회전체(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도면상에서와 같이 회전체(5)의 몸체(5-2) 상부에 설치된 마그네트(M)도 따라 회전된다.
상기 마그네트(M)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N극과 S극의 극성이 분배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5)를 포함하여 회전되는 마그네트(M)는 곧 고정축(3)의 상부에 설치된 발광체(1) 내의 자계코일(C)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여기서 얻어진 소정의 전압은 자계코일(C)과 각각 연결되어 발광체(1)의 외측으로 표출되게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를 점멸시켜 준다.
각각 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L)는 야간시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어 시선유도 표시기에서 각각 발생되는 불빛을 인지하여 굽은 도로 등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시선유도 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L)가 점멸되는 상태 외에도, 회전체(5)의 날개편(5-1)에 부착된 축광테이프(8)로 인해 주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더욱이 안전주행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전압발생으로 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L)는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본 고안에서와 같은 취지에 매우 적합하다 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L)는 발광체(1)로부터 설치되는 접속소켓(S)을 통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이 있는 발광다이오드(L)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선유도 표시기는 주간의 경우에도 발광다이오드(L)는 계속하여점멸이 이루어지며, 점멸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날씨가 흐린 날, 아침 안개 낀 날에도 에도 표시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간에는 회전체(5)의 날개편(5-1)에 부착되는 형광테이프로 인해 회전되는 회전체(5)를 통해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단순히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자연풍을 이용한 것이며, 대부분 도로상에는 차량의 주행정도에 따라서도 바람이 일게되어 시선유도 표시기를 작동시키기에는 충분하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전지나 솔라셀을 이용한 데리네이터와는 달리 설치에 따른 비용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시선유도 표시기의 발광체(1),(2)는 상하로 각각 고정축(3)에 설치되며, 발광체(1),(2)에는 발광다이오드(L)가 설치되고, 회전체(5)의 날개편(5-1)의 회전에 따라 상술한 시선유도 표시기와 같은 취지에서 특정 장소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도로에 인접하는 행사장, 편의점, 주유소, 차량정비소 등과 같이, 원거리에서도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시선유도 표시기를 소정의 높이에서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광체(1),(2)의 일측에는 매달기용 고리(5a)를 통해 각각 여러 개의 시선유도 표시기를 매달아 자연적으로 부는 바람을 통해 회전체(5)를 회전시키고, 날개편(5-1)을 포함하는 회전체(5)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의 베어링(7)은 고정축(3)을 중심으로 회전을 돕는다.
도면상에서 볼 때 회전체(5)의 몸체(5-2) 상하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는 첨부된 도 3을 참조할 때 원주상으로 각각 극성이 분리된 타입으로서, 회전체(5)와 일체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마그네트(M)의 극성이 교호로 고정된 자계코일(C)에 대하여 자력의 유도작용으로, 상하측 발광체(1),(2)의 내경(1-1),(2-1)에 설치된 자계코일(C)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생성함으로써, 이때 얻어지는 소정의 전압을 통해 각 발광체(1),(2)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를 각각 점멸시켜 준다.
각각의 시선유도 표시기로부터 점멸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는 야간에 특정장소를 원거리에서 시야에 들어 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도로주행에 있어 특정장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시선유도 표시기는 주간에는 회전체(5)의 날개편(5-1)에 형광테이프(6)가 부착 설치되어 있어 날개편(5-1)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은 도로주행 상태에서 특정장소임의 인지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선유도 표시기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회전체의 정회전, 역회전으로 전압을 발생시켜 발광체로부터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불빛 또는 회전체의 날개편 회전에 의한 움직임으로 시선유도 표시에 의해 도로상의 안전주행을 돕고, 특정장소를 쉽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전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동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발광다이오드(L)가 원주상에 표출되게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C)이 내경(1-1)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된 발광체(1)와,
    상기 발광체(1)의 저면 중앙에 일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과,
    상기 고정축(3)의 수직되는 타단에 부착 설치되는 받침대(4)와,
    상기 고정축(3)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5-2)에 다수개의 날개편(5-1)이 부착되고, 몸체(5-2) 상부에 상기 자계코일(C)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5)와,
    상기 회전체(5)의 내경(1-1)과 고정축(3)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의 몸체(5-2)에는 발광다이오드(L)를 콘넥팅 타입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소켓(S)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5-1)의 양측면에는 형광테이프(6)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5-1)의 양측면에는 축광테이프(8)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5. 발광다이오드(L)가 원주상에 표출되게 다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로부터 전기적으로 자계코일(C)이 내경(1-1),(2-1)에 원주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체(1),(2)와,
    상기 복수의 발광체(1),(2) 중앙에 양단이 수직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과,
    상기 고정축(3)에 관통 설치되며 원통형의 몸체(5-2)에 다수개의 날개편(5-1)이 부착되고, 몸체(5-2)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복수의 발광체(1),(2)에 설치된 자계코일(C)측과 대응되도록 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원통형의 마그네트(M)가 삽입 설치된 회전체(5)와,
    상기 회전체(5)의 내경(5-3)과 고정축(3)의 외경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2)의 몸체(5-2)에는 발광다이오드(L)를 콘넥팅 타입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소켓(S)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5-1)의 양측면에는 형광테이프(6)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체(1),(2)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 중앙에는 매달기용 고리(5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 표시기.
KR2020020013459U 2002-05-02 2002-05-02 시선유도 표시기 KR200285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59U KR200285478Y1 (ko) 2002-05-02 2002-05-02 시선유도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59U KR200285478Y1 (ko) 2002-05-02 2002-05-02 시선유도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478Y1 true KR200285478Y1 (ko) 2002-08-13

Family

ID=7312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59U KR200285478Y1 (ko) 2002-05-02 2002-05-02 시선유도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4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173B1 (ko) * 2006-08-18 2009-09-11 (주)씨앤티코리아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100980783B1 (ko) 2010-06-15 2010-09-14 송원호 시선유도용 회전날개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173B1 (ko) * 2006-08-18 2009-09-11 (주)씨앤티코리아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100980783B1 (ko) 2010-06-15 2010-09-14 송원호 시선유도용 회전날개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622B2 (en) Traffic safety cone incorporating a flashing light module
KR101197319B1 (ko) 도로의 조명장치
KR102523961B1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KR20200086947A (ko) 날개부가 구비된 태양광 도로표지병
WO2010010070A1 (en) Highway warning lamp
KR200285478Y1 (ko) 시선유도 표시기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120059158A (ko) 도로 표지병
JP4565132B2 (ja) 風力回転式視線誘導標
KR100915173B1 (ko)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102242598B1 (ko) 풍력 led 델리네이터
KR20120096319A (ko) 태양발전조명겸용 볼라드
KR100442097B1 (ko) 도로위험 경보 표시장치
KR200494944Y1 (ko) 라바콘
KR100933468B1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장치
JP2002275839A (ja) 内部発光保安用表示具
JP3569334B2 (ja) 自発光式標識
JP3959494B2 (ja) 内照式表示装置
CN207582345U (zh) 一种用于公路的道钉
CN211628633U (zh) 道路自主发光路牌及指示标志标示装置
CN217839794U (zh) 一种红蓝爆闪施工路锥
KR100518917B1 (ko) 차량 점멸장치
CN218436738U (zh) 一种道路交通发光警示装置
KR102488639B1 (ko) 도로 유도 표시구
KR102339742B1 (ko)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도로 반사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