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290Y1 -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 Google Patents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90Y1
KR200284290Y1 KR2020020013199U KR20020013199U KR200284290Y1 KR 200284290 Y1 KR200284290 Y1 KR 200284290Y1 KR 2020020013199 U KR2020020013199 U KR 2020020013199U KR 20020013199 U KR20020013199 U KR 20020013199U KR 200284290 Y1 KR200284290 Y1 KR 200284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ip
plate
spring member
cl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2020020013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90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금속판재를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의 도금 작업시 스프링 부재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함으로서 도금 품질을 보다 우수하게 하여 판 스프링의 산화방지는 물론 이에 따른 스프링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클립에 장착되는 스프링은 통상 얇은 철사를 감아서 만든 코일 스프링이 주류를 이루며 코일 스프링(104)의 양단에 절곡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02)를 클립 몸체(100)의 장착부(108)에 끼워 맞춤하여 고정핀(106)을 이용하여 스프링(104)을 관통하면서 클립 몸체(100)와 스프링(104)을 탄력지게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104)의 고정시 스프링의 양단은 클립 몸체의 장착부에 끼워놓고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부분으로 고정핀을 집어넣어야 하므로 클립 몸체의 결합 작업이 상당히 불편함은 물론 얇은 철사를 이용하여 권선하고 절단하는 작업 과정이 번거로워 원가상승의 주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얇은 금속 판재를 U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2)의 U형 만곡 부분이 다른 스프링 부재(2)의 내측으로 끼워져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위한 엠보 형태의 걸림돌조(4)를 돌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Description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A spring plate of a cellphone case with a improved gilding}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 클립용 스프링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재를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의 도금 작업시 스프링 부재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함으로서 도금 품질을 보다 우수하게 하여 판 스프링의 산화방지는 물론 이에 따른 스프링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는 스프링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폰을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보다 편리하게 휴대하고 전화가 올 경우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허리벨트에 고정하고 있다.
이때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클립은 통상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집게식으로 작동되며 스프링의 탄성 강도에 따라 허리벨트에의 견고한 고정이 결정된다.
클립에 장착되는 스프링은 통상 얇은 철사를 감아서 만든 코일 스프링이 주류를 이루며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04)의 양단에 절곡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02)를 클립 몸체(100)의 장착부(108)에 끼워 맞춤하여 고정핀(106)을 이용하여 스프링(104)을 관통하면서 클립 몸체(100)와 스프링(104)을 탄력지게 고정하여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104)의 고정시 스프링의 양단은 클립 몸체의 장착부에 끼워놓고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부분으로 고정핀을 집어넣어야 하므로 클립 몸체의 결합 작업이 상당히 불편함은 물론 얇은 철사를 이용하여 권선하고 절단하는 작업 과정이 번거로워 원가상승의 주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코일 스프링 이외에 금속판재를 구부려 만든 판 스프링을 사용한다면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장점이 있으나, 판 스프링을 U자 형상으로 구부려 도금하는 과정에서 스프링과 스프링이 서로 엉켜 붙게되어 도금 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위가 산화되어 손쉽게 부식되므로 사용치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판재를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가 엉켜 붙거나 서로 끼워지게 되어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제거하여 보다 높은 품질의 판 스프링을 제공하여 클립 몸체에 결합시 작업성이 개선되고 탄력이 우수한 스프링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프링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스프링 부재에 다른 스프링 부재가 적층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스프링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와이어스프링에 의하여 케이스에 결합되는 종래것의 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스프링 부재 4,4a: 걸림돌조
6: 위치결정용 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용 스프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얇은 금속 판재를 U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2)의 U자형 만곡 부분이 다른 스프링 부재(2)의 내측으로 끼워져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 형태의 걸림돌조(4)를 내측으로 돌설하여 된 것이다.
상기한 걸림돌조(4)의 전방으로는 클립 몸체(100)의 장착부(108)에 끼워지는 위치결정용 홈(6)을 천공하여 클립의 작업시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제 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걸림돌조를 상하 복수개로 형성하지 않고 1개의 걸림돌조(4a)를 형성하여도 스프링의 끼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금속판재의 양단에 위치결정용 홈(6)과 걸림돌조(4)를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작업한 후 U자형으로 절곡하면 작업이 완료되고이후 도금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도금 작업시 스프링은 서로 엉켜 붙으면서 제 2도에 도시한 형태로 다른 스프링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나 걸림돌조(4)에 의하여 그 진입이 방지되므로 도금시 스프링과 스프링의 접촉면이 없어 완벽한 도금을 유도할 수 있는 거이다.
따라서 서로 엉켜 붙는 현상과 서로 끼워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완벽한 도금품질을 얻어 산화에 의한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의 탄성강도가 보다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용한 판 스프링 부재는 도금 작업시 서로 엉켜 붙거나 다른 스프링의 내측으로 서로 끼워지는 현상이 없어 보다 완벽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장저밍 있어 스프링의 강도 향상은 물론 작업성이 개선되어 보다 저렴한 가격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얇은 금속 판재를 U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판 상의 스프링 부재(2)의 U자형 만곡 부분이 다른 스프링 부재(2)의 내측으로 끼워져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 형태의 걸림돌조(4)를 돌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KR2020020013199U 2002-04-30 2002-04-30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KR200284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99U KR200284290Y1 (ko) 2002-04-30 2002-04-30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99U KR200284290Y1 (ko) 2002-04-30 2002-04-30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90Y1 true KR200284290Y1 (ko) 2002-08-03

Family

ID=7307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99U KR200284290Y1 (ko) 2002-04-30 2002-04-30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863A (en) Hair clip device
KR101028256B1 (ko) 버클
KR200284290Y1 (ko) 도금성이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의 클립용 스프링 부재
JP2000040500A5 (ko)
US7303185B2 (en) Damping arrangement with a cable loop arrangement serving as a damping member
NZ211135A (en) Telephone handset
JP200621989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EP1137106A3 (en) Combination plate terminal assembly
CN215897983U (zh) 耳撑及耳机
US20090296974A1 (en) Ear Hook Microphone
EP1413220A1 (en) Back clip fixture of a receiver and transmitter device
KR100901880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JP2007124022A (ja) 補聴器
KR200308302Y1 (ko) 모터 요크 형상을 이용한 마그넷 클립 고정 구조
KR100678560B1 (ko) 개량형 간편 이어폰 줄감개
CN111207441A (zh) 底部结构及电暖器
JP3040226B2 (ja) 電池パックの保持装置
KR200286525Y1 (ko) 집게
KR200277366Y1 (ko) 사슬 체인의 연결구조
CN214016293U (zh) 一种u形孔胶介子啪钮
CN221097067U (zh) 一种健身器材配件的卡扣结构
KR100341568B1 (ko) 조립식 릴싯트 고정구
KR200323924Y1 (ko) 휴대폰 홀더
KR200181206Y1 (ko) 열쇠의 클립 설치구조
CN212209288U (zh) 一种新型按钮金属外壳和塑料外壳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