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35Y1 -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35Y1
KR200283435Y1 KR2019970022348U KR19970022348U KR200283435Y1 KR 200283435 Y1 KR200283435 Y1 KR 200283435Y1 KR 2019970022348 U KR2019970022348 U KR 2019970022348U KR 19970022348 U KR19970022348 U KR 19970022348U KR 200283435 Y1 KR200283435 Y1 KR 200283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roduct
rotating
feed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174U (ko
Inventor
우석하
강규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22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를 개시한다.
이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는,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Conveyor)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분할하여 이송시키는 분할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품 지지 수단이 마련된 피이딩(Feeding)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상기 각 피이딩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제품지지 수단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 상의 제품 지지수단에 지지시키는 제품 회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소형 박판 스트립(Strip)의 생산 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 무인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며, 후 공정과의 인 라인(In-Line)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본 고안은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박판 스트립을 고속으로 적재 및 정렬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작업에서 소형 박판(1.0t) 스트립은 금형으로부터 고속으로 타발되어 추출된다. 그래서 프레스 작업에서 타발 추출되는 이 소형 박판 스트립을 고속으로 적재 및 정렬하는 장치가 투입된다. 그 이유는 타발된 소형 박판 스트립의 제품이 적재 및 정렬이 잘 되지 않으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 소형 박판 스트립에 스크레치(Scratch)가 발생하거나, 또는 얼룩이 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며, 제품에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제품의 종류별로 그 제품에 변형 및 불량 발생 없이 소형 박판 스트립의 제품을 자동으로 적재 및 정렬할 수 있는 장치가 프레스 작업시 반드시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10)는, 이송 컨베이어(11)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11)의 출구측에 제품 분할 장치(12)가 직접 연결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1)는 통상적인 폭이 넓은 이음매 없는 벨트(11a)를 벨트 풀리(Belt Pulley)(11b)의 양단에 걸리게 연결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1)의 일 측에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 분할 장치(12)는, 양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제품 안내부(12a)와, 상기 제품 안내부(12a)의 일 측으로 각각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제품 적재부(12b)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도 2는 제품이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에서 적재 및 정렬되는 과정을 개략적인 정면도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스(미도시)로부터 고속으로 타발되어 추출된 제품(13)들이 이송 컨베이어(11)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1)는 역시 고속으로 상기 제품(13)들을 제품 분할 장치(12)의 제품 안내부(12a)로 이송시킨다. 이렇게 이송된 제품(13)들은 상기 제품 적재부(12b)로 쌓인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종래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10)는 제품(13)들이 최종적으로 제품 분할 장치(12) 경사면의 제품 안내부(12a)를 타고 흘러 내려 적재 및 정렬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제품(13)들은 대부분 1.0t 이하의 소형 박판의 스트립(Strip)이고, 상기 제품 안내부(12a)를 따라 제품 적재부(12b)에 쌓이게 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첫째; 제품이 소정의 공간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쌓이는 방식이므로 적재 및 정렬이 잘 되지 않는다.
둘째; 제품의 적재 및 정렬이 잘 되지 않게 되면서, 서로 충돌하고 이로 인해 제품에 스크레치 및 휨같은 변형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스로부터 고속 타발된 제품이 적재 및 정렬되면서 발생되는 변형, 스크레치, 얼룩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들을 자동으로 적재 및 정렬할 수 있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피이딩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32. 이송 컨베이어 33. 경사 컨베이어
34. 분할 컨베이어 34a. 분할대
35. 피이딩 컨베이어 36. 제품 분할판
37. 블록 지지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분할하여 이송시키는 분할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품 지지 수단이 마련된 피이딩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상기 각 피이딩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제품 지지 수단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 상의 제품지지 수단에 지지시키는 제품 회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피이딩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제품을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며, 제품을 소정의 이송 높이로 조정하는 경사 컨베이어와, 상기의 모든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컨트롤하며, 상측에 다수개의 스위치를 장착한 컨트롤 프레임을 더 포함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컨베이어는, 소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 위를 회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에서 제품을 양측으로 각각 분할하는 분할대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동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는, 소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 지지되는 적어도 다수개의 드럼과, 상기 드럼 위를 회동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동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품 회동 수단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의 전면(前面)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 지지 수단은, 제품이 지지되는 일 측면에 소정 각도 갖는 제품 지지부가 마련된 블록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정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c에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피이딩 컨베이어의 부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30)는,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32)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32)와 연결되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 되게 설치된 경사 컨베이어(33)와, 상기 경사 컨베이어(33)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경사 컨베이어(33)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 되게 설치된 분할 컨베이어(34)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34)의 양측으로 각각 피이딩 컨베이어(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와 분할 컨베이어(34)의 사이에는 제품을 하나씩 적재하는 제품 회동 수단(36)이 설치되고, 상기 제품 회동 수단(36)으로부터 제품을 받아 그 제품을 지지하는 제품 지지 수단(37)이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하측에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30)의 각각의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 프레임(38)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32)는, 도면에는 전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이송 컨베이어(32)를 지지하는 소정의 프레임(32c)과, 상기 프레임(32c)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32b)와, 상기 샤프트(32b)의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32d)과, 상기 드럼(32d) 위를 회동하는 이음매 없는 고리 모양의 통상적인 컨베이어 벨트(32a)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2a)를 이동시키기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2a)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2a) 도중에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 롤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2a)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32)의 일 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32)와 연결된 경사 컨베이어(33)는, 이송 컨베이어(32)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34) 사이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면서 연결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3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경사 컨베이어(33)와 직접적으로 연결 설치된 분할 컨베이어(34)는, 도면에는 전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분할 컨베이어(34)를 지지하며 그 골격을 이루는 소정의 프레임(34b)과, 상기 프레임(34b)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34c)와, 상기 샤프트(34c)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드럼(미도시)과, 상기 드럼 사이에 설치되는 분할대(34a)와, 상기 분할대(34a)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드럼(34d) 위를 회동하는 이음매 없는 고리모양의 통상적인 컨베이어 벨트(34e)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4e)를 이동시키기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4e)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e) 도중에 다수개의 벨트 컨베이어 롤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4e)를 회동시키는 구동 수단(미도시)이 상기 분할 컨베이어(34)의 일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 컨베이어(34)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피이딩 컨베이어(35)는, 도면에는 전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를 지지하며 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35c)과, 상기 프레임(35c)의 일 측으로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35d)와, 상기 샤프트(35d)에 설치된 다수개의 드럼(35e)과, 상기 드럼(35e) 위를 회동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이음매 없는 고리 모양의 다수개의 분할된 컨베이어 벨트(35b)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5c)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샤프트(35d)의 일 측과 간접 전동 기구(미도시)와 연결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35b)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35a)이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컨베이어(34)의 분할대(34a)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사이에 설치된 제품 회동 수단(36)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의 전면(前面)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36b)과, 상기 회전축(36b)에 설치되는 회동판(36a)과, 상기 회전축(36b)의 일 측에 설치되는 링크(36d)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36d)를 회동시키는 실린더(3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상측에 설치된 제품 지지 수단(37)은, 제품이 지지되는 일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갖는 제품 지지부(37a)가 마련된 블록 지지대(37)를 포함하며, 제품들은 상기 블록 지지대(37)의 제품 지지부(37a)에 소정의 각을 이루며 지지된다. 또한, 제품들이 적재 및 정렬되면서 그 제품들의 수량을 카운트(Count)할 수 있는 계량 적산 기구(미도시)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일 측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30)에 설치된 각각의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 프레임(38)은, 상기 컨트롤 프레임의 골격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전기적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디(Body)(38b)와, 상기 바디(38b)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기능 스위치(38a)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38b)의 일 측에는 상기 분할 컨베이어(34) 및 피이딩 컨베이어(35)를 소정의 작업 높이로 조정하는 턴버클(Turnbuckle)(38c)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38)의 상측에는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샤프트(38e)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30)와 관계없이 다른 가공 설비에 착탈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캐스터(Caster)(38d)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스(31)로부터 고속으로 타발되어 나오는 제품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32)로 고속 이송되고, 이송된 제품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 제품들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조정되는 경사 컨베이어(33)로 이송된다. 고속 이송된 제품은 분할 컨베이어(34)의 분할대(34a)를 기준으로 각각 양측으로 분할된다. 이 제품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일 측에 부착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미도시)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제품은 상기 제품 분할판(36)의 회동판(36a)에 하나씩 전달되고, 이 제품을 전달받은 회동판(36a)은 회동하면서 이 제품을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 상측에 설치된 블록 지지대(37)의 제품 지지부(37a)에 밀착 전달되며 제품들이 하나씩 적재 및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적재 및 정렬되면서 제품들의 수량을 카운트(Count)할 수 있게 광 센서(Sensor)가 본 고안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의 일 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를 전자식으로 온(On) 및 오프(Off)하여 디지털 계기판에 그 수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지지대(37)에 하나의 제품이 적재되면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는 이 제품이 적재되는 량만큼 단계별 이송을 하게된다. 소정 량으로 제품이 상기 블록 지지대(37)에 적재되면 또 다른 블록 지지대(37)를 피이딩 컨베이어 (35)상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 및 정렬된 제품들은 일정량 적재되면 작업자에 의해 이 제품들의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제품들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상측으로 모두 적재되고 더 이상 적재시킬 공간이 없으면 피이딩 컨베이어(35)의 단계별 이송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35)의 일 측에 설치된 근접 센서(미도시)에 의해 정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제품의 종류는 1.0t 이하의 소형의 박판 스트립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스로부터 고속으로 타발되는 소형 박판(1.0t 이하)의 스트립을 자동으로 고속 적재 및 정렬할 수 있다.
둘째; 소정의 시간 동안 무인화 작업이 가능하여, 다른 설비에 그 인원을 투입시킬 수 있다.
셋째; 생산 설비의 유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자동으로 적재 및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다섯째; 일일 생산량이 카운터 되어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다른 공정과 인 라인(In-Line) 작업화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분할하여 이송시키는 분할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품 지지 수단이 마련된 피이딩 컨베이어와;
    상기 분할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제품을 상기 각 피이딩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제품지지 수단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 상의 제품 지지 수단에 지지시키는 제품 회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피이딩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제품을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고, 제품을 소정의 이송 높이로 조정하는 경사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컨베이어는,
    소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 위를 회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에서 제품을 양측으로 각각 분할하는 분할대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동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는,
    소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 지지되는 다수개의 드럼과, 상기 드럼 위를 회동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동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회동 수단은,
    상기 피이딩 컨베이어의 전면(前面)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지지 수단은,
    제품이 지지되는 일 측면에 소정 각도 갖는 제품 지지부가 마련된 블록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KR2019970022348U 1997-08-18 1997-08-18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KR200283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48U KR200283435Y1 (ko) 1997-08-18 1997-08-18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48U KR200283435Y1 (ko) 1997-08-18 1997-08-18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174U KR19990009174U (ko) 1999-03-15
KR200283435Y1 true KR200283435Y1 (ko) 2002-09-19

Family

ID=5389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348U KR200283435Y1 (ko) 1997-08-18 1997-08-18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174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458A (en) Apparatus for the unstacking and transportation of blanks
KR950012649B1 (ko) 물품의 저장설비
JPH08169536A (ja) ワーク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装置
CN101213055A (zh) 用于支撑板状材料的装置
US20010010283A1 (en) Conveyor table having selectively enabled conveyor elements
JPS61148037A (ja) タイヤ成形機に於けるタイヤ構成材料の自動供給装置
EP0301231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late-like ceramic materials
US5224304A (en) Automated free abrasive machine for one side piece part machining
GB1270357A (en) Tire ply server
KR200283435Y1 (ko) 제품 적재 및 정렬 장치
JPS62249818A (ja) 成形品振分け装置
US5342161A (en) Holder changer
US5350295A (en) Method for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heat-treated products
CN213264204U (zh) 一种直线交叉带式分拣机
JPH10185766A (ja) タイヤ搬送種分け装置
KR100242232B1 (ko)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JPH05317999A (ja) パネルの自動積込み装置
JPH08165015A (ja) 搬送ラインの制御装置
JP2522336B2 (ja) 製品搬送装置
CN215945800U (zh) 一种用于物体的输送设备
JP2001001088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出側搬送設備
JPH11244968A (ja) プレス材搬送装置
JPH10147435A (ja) シート積重ね体のパレット積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70068620A (ko) 판형 재료 선별 처리 장치
GB2275433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win disk lapping and ho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