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26Y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26Y1
KR200283426Y1 KR2020020011668U KR20020011668U KR200283426Y1 KR 200283426 Y1 KR200283426 Y1 KR 200283426Y1 KR 2020020011668 U KR2020020011668 U KR 2020020011668U KR 20020011668 U KR20020011668 U KR 20020011668U KR 200283426 Y1 KR200283426 Y1 KR 200283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er
door
coupling groove
coupl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민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메탈라인 filed Critical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to KR2020020011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26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도어를 열었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어가 스스로 닫치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클로저의 설치시 결합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며,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볼트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도어클로저는 도어클로저 본체를 결합볼트로 직접 문틀에 체결시킴에 따라 고장수리시 결합볼트를 해체시켜 문틀에서 도어클로저 본체를 분리시켜야 하고 다시 장착시킬 때에는 본래의 위치에서 자리를 옮겨 결합볼트를 체결시켜야 하므로 문틀에 볼트공의 흠집을 내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도어클로우져 본체 양측면에 체결플랜지를 형성시켜야만 되어 도어클로저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문틀(100)에 결합볼트(60)로 체결되는 브라켓트(6)와, 상기 브라켓트(6)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경사걸림턱(61)과, 도어 클로저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트(6)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2)과, 상기 결합홈(2)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걸림턱(3)과, 결합홈(2)의 또 다른 일측에 결합홈(2)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가변걸림턱(4)과, 상기 가변걸림턱(4)에 설치되어 가변걸림턱(4)을 이동시키는 스크류(5)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클로저의 설치시 결합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볼트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클로저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고안은 도어를 열어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어가 스스로 닫치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클로저의 설치시 결합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며,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볼트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도어클로저는 도어클로저 본체를 결합볼트로 직접 문틀에 체결시킴에 따라 고장수리시 결합볼트를 해체시켜 문틀에서 도어클로저 본체를 분리시켜야 하고 다시 장착시킬 때에는 본래의 위치에서 자리를 옮겨 결합볼트를 체결시켜야 하므로 문틀에 볼트공의 흠집을 내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도어클로우져 본체 양측면에 체결플랜지를 형성시켜야만 되어 도어클로저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어 클로저의 설치시 결합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며,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볼트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문틀에 결합볼트로 체결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경사걸림턱과,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트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걸림턱과, 결합홈의 또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가변걸림턱과, 상기 가변걸림턱에 설치되어 가변걸림턱을 이동시키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클로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도어 클로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결합홈
3. 고정걸림턱 4. 가변걸림턱
5. 스크류 6. 브라켓트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클로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도어 클로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100)에 결합볼트(60)로 체결되는 브라켓트(6)와, 상기 브라켓트(6)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경사걸림턱(61)과, 도어 클로저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트(6)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2)과, 상기 결합홈(2)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걸림턱(3)과, 결합홈(2)의 또 다른 일측에 결합홈(2)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가변걸림턱(4)과, 상기 가변걸림턱(4)에 설치되어 가변걸림턱(4)을 이동시키는 스크류(5)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문틀(100)의 적정위치에 결합볼트(60)를 이용하여 브라켓트(6)를 결합시키고, 도어클로저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2)의 내부로 문틀(100)에 고정결합시킨 브라켓트(16)를 삽입시킨 후 도어클로저 본체(1)를 이동시켜 브라켓트(6)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걸림턱(61)을 고정걸림턱(3)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걸림턱(4)에 설치된 스크류(5)를 회전시켜 가변걸림턱(4)을 브라켓트(6)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걸림턱(61)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도어클로저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클로저의 설치시 결합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볼트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클로저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문틀(100)에 결합볼트(60)로 체결되는 브라켓트(6)와, 상기 브라켓트(6)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경사걸림턱(61)과, 도어 클로저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트(6)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2)과, 상기 결합홈(2)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걸림턱(3)과, 결합홈(2)의 또 다른 일측에 결합홈(2)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가변걸림턱(4)과, 상기 가변걸림턱(4)에 설치되어 가변걸림턱(4)을 이동시키는 스크류(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KR2020020011668U 2002-04-17 2002-04-17 도어 클로저 KR200283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68U KR200283426Y1 (ko) 2002-04-17 2002-04-17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68U KR200283426Y1 (ko) 2002-04-17 2002-04-17 도어 클로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505A Division KR100455981B1 (ko) 2002-04-15 2002-04-15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426Y1 true KR200283426Y1 (ko) 2002-07-26

Family

ID=7312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668U KR200283426Y1 (ko) 2002-04-17 2002-04-17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426Y1 (ko) 도어 클로저
KR100455981B1 (ko) 도어 클로저
KR20110029989A (ko) 고중량 도어 고정장치
KR100812427B1 (ko) 차량용 연료도어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100380336B1 (ko) 테일게이트용 아웃사이드 핸들
KR0130727Y1 (ko) 세탁기의 도어
JP2004076395A (ja) ドア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197528Y1 (ko) 경첩용 백커버
KR0140303Y1 (ko) 개.폐 작동이 원활한 쿼터 윈도우 글라스 힌지의 지지구조
KR200391505Y1 (ko) 도어용 경첩
KR200163082Y1 (ko) 아웃핸들과도어래치레버의체결구조
JP2000314125A (ja) 防水扉
KR200229552Y1 (ko) 도어손잡이
KR200283534Y1 (ko) 붙박이장용상부호차
KR0164293B1 (ko) 스윙도어의 잠입형 도어체커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100482633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취부구조
KR200287525Y1 (ko) 문틀구조
KR950005580Y1 (ko) 자동차 도어의 체크링크(Check Link)
KR0129162B1 (ko) 버스의 리어플랩 록크장치
KR0118986Y1 (ko)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KR100318694B1 (ko) 문선고정용 문선고정구
KR200165612Y1 (ko) 커튼봉 장식구
KR200301892Y1 (ko) 유리문의 자물쇠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