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374Y1 - 형강파일 인발기 - Google Patents

형강파일 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374Y1
KR200283374Y1 KR2020020012919U KR20020012919U KR200283374Y1 KR 200283374 Y1 KR200283374 Y1 KR 200283374Y1 KR 2020020012919 U KR2020020012919 U KR 2020020012919U KR 20020012919 U KR20020012919 U KR 20020012919U KR 200283374 Y1 KR200283374 Y1 KR 200283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upled
elevating frame
sliding guid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20020012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374Y1/ko

Links

Landscapes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공사를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에이취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뽑아내는데 사용되는 인발기에 관련되는 것이며,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사용에 있어서도 작업능이 우수한 인발기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하부판의 일측으로는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좌우측에 돌출되는 좌우기둥의 내측부에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유압실린더에 갖추어진 피스톤의 단부와 상단이 결합되어져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프레임(200)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끼워진채로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승강프레임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롤러(300)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가압실린더의 양단부와 체결되는 회동바아의 단부와, 상기 회동바아의 회동축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측 중앙부에 구조물과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서 구조물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시키는 구조의 가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설된 형강파일을 뽑아내도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형강파일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강파일 인발기{section steel-pile pulling machine}
본 고안은 건설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취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뽑아내는데 사용되는 인발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면서 작업능이 우수한 형강파일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토목 혹은 건축공사용 형강파일로서 에이취빔이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지상건물의 기둥뿐 아니라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있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서는 기초공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해당지역에 대한 굴토작업을 실시해야하고, 이때 지반이나 측벽의 붕괴방지를 위해 에이취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지하에 매설하게된다.
에이취빔은 고가이며 따라서 기초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매설된 에이취빔을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지하 깊숙히 박혀지는 에이취빔을 손상없이 뽑아내는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며 큰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이미 이러한 용도의 인발장치가 다수 고안된 바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실용신안출원번호 20-1998-0012706호의 형강파일의 인발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첨부되는 도1은 상기 형강파일의 인발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 단면도에 해당된다.
그 구성을 보면, 전방 중앙에 형강파일인 에이취빔이 들어갈 수 있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이동시 크레인의 걸고리에 걸어지도록 하는 고리부재(18)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콘트롤패널을 장착시키기 위한 설치대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핀구멍이 형성된 보강판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일체화된 양 기체(10,10'), 압접시킨 에이취빔을 상방으로 뽑아내기 위해 상기 기체 각각에 설치되는 피스톤(13,13')을 구비한 실린더(12,12'), 에이취빔을 압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정피스톤(16,16')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피스톤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실린더(17,17')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실린더의 끝단에 압접판(18,18')이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13,13')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체(14,14'); 및 상기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12,12')와 수평으로 설치된 이동실린더(17,17')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기체(10,10')의 후방에 장착되는 콘트롤패널(30);로서 구성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형강파일의 인발장치는 좌우 기체의 중앙부에 형강파일을 가압시켜 고정할 수 있는 압접판이 갖추어지므로서 형강파일이 일측이 막힌 벽이나 언덕등의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매설되었을 때는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인발장치의 경우는 좌우기체에 각각에 설치되는 실린더가 최 상단부로 돌출형성됨으로서 뽑혀지는 형강파일과 뜻하지않은 충돌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1997-0001414호의 토건공사용 형강파일인발기가 있었다. 도2는 상기 토건공사용 형강파일인발기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있다.
그 구성으로는 상부에 상판(2)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한 기체의 양측에는 ⊃ 자형의 안내로(1A)(1B)와 여러개의 핀끼움 구멍(101)을 뚫은 요입실(1C)을 형성하여, 상기의 요입실에는 실린더(3,3')를 위치시켜 핀(10)을 꽂아 고정시키고 실린더(3,3')의 피스톤로드(301,301')의 단부에 고정한 반원축받이(302,302')에는 한쌍의 휠(6,6')이 회전자유롭게 유착되고, 양단에는 로울러(7,7')가 유착된 축(4)을 재치하여 고정캡(5,5')을 씌워 볼트(8) 및 너트(9)로 고정하고, 휠(6,6')에 쇠사슬(11)을 통과시켜 일단은 기체(1)의 고리(102)에 고정시키고 타단에 고정한 걸고리는 톱니치(131,131')가 형성되고 구멍(132,132')의 뚫린 인발압착구(13,13')의 요입부(133,133')에 고정한 핀(14,14')에 걸 수 있도록 하고, 인발압착구(13,13')의 구멍은 지지판(15,15')의 구멍과 일치시켜 고정봉(16)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판(2)의 중앙부에는 고리(17)를 회전 자유롭게 유착하여서 된 토건공사용 형강파일인발기에 관한 것이었다.
상기의 형강파일인발기의 작동관계를 보면, 쇠사슬(11)의 상승력에 의하여 인발압착구(13,13')는 고정봉(16)을 축점으로하여 회전하려는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 회전력에 의해 인발압착구의 톱니치부는 에이취형강파일의 중앙판면에 더욱 강하게 압접케 되어 형강파일이 뽑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형강파일 인발기는 쇠사슬의 장력에 의해 에이취빔을 뽑아내는 힘이 작용하게되며, 이에 따라 큰 힘이 요구되는 이와 같은 인발기에서는 그 안전성에 문제가 된다. 즉, 작업도중 어느 일측의 쇠사슬이 끊어지게되면 인발기 전체의 균형이 흩트러져 인발기 자체에 손상이 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에이취빔을 가압하는 인발압착구는 고정된 특정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것이 아니라, 쇠사슬을 따라 이동되므로서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되며 더우기, 에이취빔이 상당히 뽑힌 상태에서는 에이취빔 자체가 흔들리게되는 관계로 상기 인발압착구가 균등하게 에이취빔을 가압하게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보다 안전성이 우수하며 작업능이 좋은 형강파일 인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며, 이러한 수단으로서 일체화된 승강프레임을 갖추고 에이취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고정하는 방법을 자유롭게하여 작업능을 향상시킨 형강파일 인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형강파일의 인발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 단면도.
도 2 -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토건공사용 형강파일 인발기에 대한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강파일 인발기의 개략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 승강프레임의 정면도.
도 5 - 도4에 대한 일 측면도.
도 6 - 가압수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 -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형강파일 인발기로서 에이취빔을 인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고정프레임 110 : 하부판
120 : 기둥 125 : 슬라이딩가이드
130 : 유압실린더 140 : 수평바아
200 : 승강프레임 201 : 지지브라켓
210 : 고정플레이트 300 : 롤러
400 : 가압수단 410 : 회동바아
420 : 가압실린더 430 : 클램프
440 : 받침판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에이취(H)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뽑아내는 인발기에 있어서,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하부판의 일측으로는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좌우측에 돌출되는 좌우기둥의 내측부에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상기 유압실린더에 갖추어진 피스톤의 단부와 상단이 결합되어져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끼워진채로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승강프레임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롤러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가압실린더의 양단부와 체결되는 회동바아의 단부와, 상기 회동바아의 회동축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강파일과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요철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형강파일을 고정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설된 형강파일을 뽑아내도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형강파일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형강파일 인발기는 기본적으로는 유압의 힘으로서 지하에 박혀져있는 에이취빔과 같은 토목 혹은 건축공사용 부재를 뽑아내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며, 고정프레임(100), 승강프레임(200), 롤러(300) 및 가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지면과 맞닿아 설치되는 하부판(110)과 상기 하부판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120)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120)에는 슬라이딩가이드(125)가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110)의 일측으로는 수직하게 유압실린더(130)가 구비되며 여기에는 피스톤(135)이 갖추어지게된다.
승강프레임(200)은 다수의 판재를 용접결합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되며그 상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130)의 피스톤(135)과 체결된다. 그리고 하부측에는 가압수단(400)이 결합되며 중간부위에는 롤러(300)를 형성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201)이 갖추어지는 구조를 이루게된다.
상기 승강프레임(200)은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되는 피스톤(135)과 연동하여 이동되며, 이를 위해 하부판(110)에 설치되는 좌우 기둥(12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125)에 롤러가 결합됨으로서 원활하게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하로 이동될 수가 있다.
상기 가압수단(400)으로는 가압실린더(420)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실린더의 좌우단부에는 회동바아(410)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바아(410) 및 고정플레이트(210)의 전방부에는 요철부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회동바아는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에이취빔을 가압하거나 그 결합을 해제시키게된다.
본 고안에서는 매설된 에이취빔을 인발하기 위해 가압수단으로 타이트하게 에이취빔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에이취빔의 수평부와 맞닿게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와 회동바아의 단부에 구비되는 요철부가 상호 에이취빔을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표적인 형강파일로서 에이취빔은 Ⅰ자 형상을 이루게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로부터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수직부의 양단부에 평행을 이루면서 두개의 수평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어느 일측의 수평부를 가압수단으로서 고정시키거나 두개의 수평부의 단부를 동시에 가압시킨 상태로 인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형강파일 인발기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에 해당된다.
고정프레임(100)의 구성으로는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하부판(110)이 갖추어지고 그 좌우측 대략 중앙부에 기둥(120)이 설치된다. 상기 두개의 기둥(120)의 상단부는 하나의 수평바아(140)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110)의 후방측에는 두개의 유압실린더(130)가 수직하게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120)의 내측부위는 슬라이딩가이드 기능을 하게되며 ㄷ 자형의 단면형상을 갖추게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25)는 기둥자체를 ㄷ 자형으로 하여 그 자체로서 슬라이딩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보다 안정성을 높이기위해 별도의 ㄷ 자 형의 부재를 기둥에 삽입고정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판의 전방측의 경우는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제작되며, 이 부위에 에이취빔이 위치되도록 설치하게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30)에는 피스톤(13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는 하나의 샤프트에 의해서 후술할 승강프레임(200)의 상단연결부(200a)와 일체로 조립 결합된다.
다음으로 승강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다수의 판재를 용접결합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그 상단부는 상기 피스톤(135)의 단부와 연결되는 샤프트에 연결된다. 상기 도3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부는 3개소에서 샤프트와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첨부되는 도 4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5는 도4에 대한 일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200)은 크게 상단연결부(200a), 바디(200b) 그리고 하단연결부(200c)로 구분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상단연결부(200a)는 샤프트에 의해 피스톤(135)과 연결되도록 갖추어지는 부위이며, 바디(200b)는 상단연결부(200a)와 하단연결부(200c)를 연결하면서 상기 기둥(120)에 결합될 롤러(3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01)이 좌우 상하측으로 4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단연결부(200c)는 바디로부터 폭이 감소되면서 더욱 하측으로 형성되는 부위이며 여기에는 후술할 회동바아(4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21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중심부에는 에이취빔의 수평부와 맞닿게되는 받침판(440)이 설치되며 좌우측 단부는 회동바아(4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기둥(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125)에 삽입되는 롤러(300)는 금속재 혹은 플라스틱재의 원형롤러이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00b)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01)에 회전될 수 있도록 축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어서, 가압수단(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 6은 상기 가압수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에 해당된다.
상기의 가압수단(400)은 뽑아낼 대상물인 에이취빔을 타이트하게 고정시키는 부위로서, 회동바아(410)와 가압실린더(420) 그리고 요철부가 갖추어진 받침판(440)과 클램프(430)로 구성이 된다. 상기 받침판(440)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정면부에 설치되며 클램프(430)는 회동바아(4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30)의 경우 회동바아(410)의 단부 내측면 자체에 요철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회동바아의 단부에 체결시켜 요철부가 받침판과 평행을 이루면서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대략 회동바아(410)의 중간지점에 회동축(415)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갖추어지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좌우양단부에 대칭을 이루면서 결합이 된다. 상기 회동바아(410)의 후방측 단부에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이곳에는 가압실린더(420)의 일측단부와 피스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420)가 작동되면 두개의 회동바아(410)는 동시에 회동축(415)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아(410)의 전방측 단부에는 클램프(430)가 갖추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430)로서 탈부착될 수 있고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부재를 채용토록 한다. 상기 클램프(430)의 저면, 즉 에이취빔의 수평부와 맞닿게되는 부위에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40)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정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에이취빔의 수평부와 접촉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역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도6의 에이(a)는 회동바아가 열린상태, 즉 에이취빔을 고정시키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며 비이(b)는 회동바아가 닫힌상태, 즉 에이취빔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에이취빔을 뽑아내기에 앞서 대상물의 수평부에 받침판(440)을 밀착시키며 이후 회동바아(410)를 회동시켜 클램프(430)가 에이취빔의 내측 수평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가압실린더(420)의 피스톤이 최대로 전진되었을 때 클램프는 에이취빔을 고정하게되고 상기 피스톤이 후퇴되면 회동바아는 열리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430)를 회동바아(410)의 전방측 단부면에 형성시키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를 회동바아와 직각을 유지토록 설치하였으나, 여기에서는 회동바아(410) 자체 혹은 그 면상에 요철부가 갖추어진 클램프(430)를 설치토록 한다. 상기 클램프(430)는 에치취빔과 접촉되어 마모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게는 교체가 가능토록 회동바아에 볼팅시켜 고정토록 한다.
도7의 비이(b)에 보이는 것처럼, 회동바아가 닫혀 에이취빔을 고정하게되면 상기 클램프는 에이취빔의 수평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이루게된다. 상기 회동바아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서 에이취빔의 상하 수평부의 측면을 동시에 가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 타 요소들은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바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강파일 인발기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 8은 상기 인발기로서 에이취빔을 인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에 해당된다.
도8의 에이(a)는 상기 인발장치를 설치하고 가압수단으로 에이취빔을 최초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비이(b)는 에이의 상태에서 1회 인발시켰을 때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임을 나타낸다.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에이취빔의 상단부의 일측 수평부에 가압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셋팅을 실시한 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피스톤을 상승시키게된다. 상기 피스톤이 상승되면 샤프트에 결합된 승강프레임이 상승력을 받게된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기둥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점차 상승하게되며 이에 따라 에이취빔에도 상승력이 작용되어져 뽑혀져 나오게 된다. 도7의 비이와 같이 피스톤이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 승강프레임 및 가압수단 그리고 가압수단에 고정된 에이취빔은 상승하게 된다. 피스톤이 상사점에 이르게되면 반복적인 인발작업을 위해 피스톤은 하강되고 승강프레임 및 가압수단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에이취빔과의 결합이 해제된 가압수단을 재차 에이취빔에 고정시켜 동일한 작업을 반복수행하게 됨으로서 에이취빔을 손상없이 뽑아낼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형강파일 인발기에 의하게 되면 에이취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고정하는데 있어 보다 자유롭게 에이취빔의 크기나 장소에 따라 적절한 변화를 주어 셋팅이 가능함으로서 작업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프레임의 구조가 일체로 용접되어 형성됨으로서 큰 부하가 작용되는 작업에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지하에 매설되는 에이취(H)빔과 같은 형강파일을 뽑아내는 인발기에 있어서,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하부판(110)의 일측으로는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좌우측에 돌출되는 좌우 기둥(120)의 내측부에는 슬라이딩가이드(125)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유압실린더(130)에 갖추어진 피스톤(135)의 단부와 상단이 결합되어져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프레임(200)과;
    상기 승강프레임(200)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25)에 끼워진채로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승강프레임의 상하이동을 유도하는 롤러(300)와;
    상기 승강프레임(200)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가압실린더(420)의 양단부와 체결되는 회동바아(410)의 단부와, 상기 회동바아의 회동축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강파일과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요철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가압실린더(420)의 작동에 따라 형강파일을 고정시키는 가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설된 형강파일을 뽑아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파일 인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아(410)는,
    그 단부에 장축부가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되며 형강파일의 사이즈에 따라 접촉면적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볼트에 의해 조정이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구비하게됨을 특징으로하는 형강파일 인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아(410)는,
    그 단부 내측면 자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져 형강파일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파일 인발기.
KR2020020012919U 2002-04-29 2002-04-29 형강파일 인발기 KR200283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919U KR200283374Y1 (ko) 2002-04-29 2002-04-29 형강파일 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919U KR200283374Y1 (ko) 2002-04-29 2002-04-29 형강파일 인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374Y1 true KR200283374Y1 (ko) 2002-07-26

Family

ID=7312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919U KR200283374Y1 (ko) 2002-04-29 2002-04-29 형강파일 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3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9866C (en)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underground pipe ramming
JP3772657B2 (ja) スライド式山留め支保工システム
CN113120755B (zh) 一种城市盾构隧道用管片拆除装置及其拆除方法
US8556541B2 (en) Pile driver for use in a confined space with limited head room
WO2008111032A1 (en) Method of preparing a hole for a post pile cast in place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112585A1 (zh) 一种桩架及其安装方法
US5092733A (en) Tool controlling mechanisms for excavator with telescopic arm
US5040927A (en) Pressure driver for pilings
KR101878832B1 (ko) 케이싱 관입 철근망 수직 견인 크레인 기능을 갖는 트레미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철근망 수직도 유지공법
KR100992736B1 (ko) 형강파일 인발기
CN109534214B (zh) 一种可调整加载高度的门式反力架
JP4253105B2 (ja) 杭打ち機及び杭打ち方法
CN114045840A (zh) 软土深基坑组合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200283374Y1 (ko) 형강파일 인발기
KR20090003816U (ko) 형강파일 인발기
JP3797858B2 (ja) スライド式山留め支保工システムの上下スライド装置およびジャッキ装置
CN113882394B (zh) 一种深基坑加固格构柱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JP3363401B2 (ja) 立坑用内型枠装置及びその使用による立坑のモルタル類側壁の施工方法
KR20000002770U (ko) 형강파일의 인발장치
CN209890160U (zh) 一种可调整加载高度的门式反力架
US6152654A (en) Apparatus for mounting power cylinders for driving piers
JP3780833B2 (ja) 地下躯体の構築工法
CN219219009U (zh) 一种定位打桩设备
CN214359844U (zh) Pld自动提桩器
JPH07139285A (ja) 穿孔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