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967Y1 -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 Google Patents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67Y1
KR200281967Y1 KR2019980022394U KR19980022394U KR200281967Y1 KR 200281967 Y1 KR200281967 Y1 KR 200281967Y1 KR 2019980022394 U KR2019980022394 U KR 2019980022394U KR 19980022394 U KR19980022394 U KR 19980022394U KR 200281967 Y1 KR200281967 Y1 KR 20028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dulator
valve cap
pump chamber
bra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00U (ko
Inventor
성 준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22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67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펌프의 아웃렛밸브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씰링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는 블록(100) 내부에 펌프실(61)이 보어가공되어 피스톤(62)과 인렛밸브(63) 및 아웃렛밸브(64) 등이 설치되는데, 아웃렛밸브(64)의 밸브캡(65)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씰링홈(6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펌프실(61)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도록 억지끼움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캡(65)의 억지끼움시 모듈레이터 블록(100) 일부가 씰링홈(653) 내부로 소성변형됨으로써, 별도의 씰링부재 없이도 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부품삭제로 인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레이터 블록에 내장되는 펌프의 아웃렛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진보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륜과 후륜에 각각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드럼 또는 캘리퍼식의 유압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브레이크패달의 답력에 의해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하도록 배력장치와 오일저장탱크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 등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각 브레이크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는데, 이것은 입구측에 배치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와 출구측에 배치되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별되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때, 콘트롤러는 전륜과 후륜에 마련된 휠센서를 통해 차속을 감지하고, 각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륜측과 후륜측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의 하류에는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가 설치되어 감압모드시 브레이크측으로부터 토출된 오일을 일시 저장한다. 또한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의 후방에 제1,제2고압어큐뮤레이터가 설치되며, 이들 사이에 한쌍의 제1,제2펌프가 마련되어 이의 구동시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에 있는 저압상태의 오일이 가압 제1,제2고압어큐뮤레이터로 펌핑된다.
이러한 제1,제2펌프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제1,2저압어큐뮤레이터와 제1,제2펌프, 모터, 제1,제2고압어큐뮤레이터 및 솔레노이드밸브 등은 알류미늄합금재의 모듈레이터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듈레이터 블록(1)에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모터(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모터(2)에 의해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며 구동되는 제1펌프(10)와 제2펌프(미도시)가 좌우 대칭되게 내장되어 있다.
펌프(10)는 모듈레이터 블록(1) 내부에 보어가공되며 흡입포트(3)와 토출포트(4)를 가지는 펌프실(5), 펌프실(5) 내부에서 모터(2)구동시 좌우로 진퇴운동하는 피스톤(6), 펌프실(5)을 흡입포트(3)측과 토출포트(4)측으로 양분하도록 피스톤(6), 양분된 펌프실(5)을 연통하도록 피스톤(6)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흡입유로(6a), 피스톤(6)의 위치에 따라 흡입유로(6a)와 토출포트(4)를 상반되게 개폐하는 인렛밸브(7)와 아웃렛밸브(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흡입포트(3)는 펌프실(5)과 저압어큐뮤레이터(미도시)를 연계시키고, 토출포트(4)는 펌프실(5)과 고압어큐뮤레이터(미도시)를 연통시키는 오일통로이다.
인렛밸브(7)는 피스톤(6)의 바깥측단부에 설치되는데, 흡입유로(6a)의 단부에 밀착되는 강구체(7a), 이를 지지하는 리테이너(7c)와 스프링(7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웃렛밸브(8)는 펌프실(5)의 외측부위에 마련되어 피스톤(6)의 바깥측 펌프실(5)을 토출포트(4)가 있는 측과 없는 측으로 구획하는데, 이를 위해 중심부위에 토출홀(8b)이 형성된 밸브시트(8a), 토출홀(8b)의 우측에 근접설치되는 구체(8c)와 이것이 토출홀(8b)이 밀착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8d), 스프링(8d)이 안착지지되며 펌프실(5)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밸브캡(9)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밸브캡(9)에는 선단 중심부위에 스프링(8d)이 수용되는 수용공간(9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홀(8b)과 토출포트(4)를 연통시키는 토출유로(9b)가 마련된다. 또한, 밸브캡(9)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9c)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펌프실(5)의 개구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5a)가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캡(9)의 중심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9d)이 구성되고, 여기에 탄성재질의 오링(9e)이 끼워져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9f는 밸브캡(9)을 조일 수 있도록 조립용공구가 맞물리는 면취부이다. 따라서 밸브캡(9)을 펌프실(5)의 개구단부에 가조립한 후, 면취부(9f)에 조립용공구 즉, 렌치(wrench)를 맞물리고 밸브캡(9)을 완전하게 조이게 되면 오링(9e)이 펌프실(5) 내주면에 압착되어 누유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렛밸브(7)와 아웃렛밸브(8)는 피스톤(6)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펌프실(5) 압력에 의해 서로 상반되게 개폐됨으로써, 오일이 펌프실(5)로 유입 가압되면서 토출유로(9b)와 토출포트(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피스톤(6)이 모터(2)의 편심회전축(2a)에 의하여 우측으로 밀리면 피스톤(6)의 바깥측에 있던 유체가 압축 유압이 상승됨으로써, 인렛밸브(7)의 구체(7a)는 흡입유로(6a) 단부에 밀착되어 흡입유로(6a)를 폐쇄한다. 이와 동시에 아웃렛밸브(8)의 구체(8c)는 스프링(8d)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깥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토출홀(8b)이 개방된다. 따라서 펌프실(5)에서 가압된 유체는 개구된 토출홀(8b)과 토출유로(9b)를 통해 고압어큐뮤레이터(미도시) 측으로 공급되고 압력맥동이 감쇄된 상태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라인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아웃렛밸브(8)의 밸브캡(9)이 조립용공구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펌프실(5)의 개구단부에 암나사(5a)를 밸브캡(9)에 수나사(9c)를 각각 가공해야함으로써, 이의 제조와 조립 공정이 난해하게 된다. 아울러 밸브캡(9)이 나사부(5a,9c)를 통해 이물림결합되기 때문에 오일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캡(9) 외주면에 탄성재질의 오링(9e)이 별도로 추가되어, 이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웃렛밸브의 토출홀을 개폐하도록 구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보어가공된 펌프실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는 밸브캡을 억지끼움함으로써 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밸브캡 외주면에 블록일부가 소성변형되면서 유입되도록 씰링홈을 형성하여 오링없이도 씰링이 완전하게 이루어져 부품삭제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내장된 펌프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레이터 블록의 내부구조를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따른 아웃렛밸브의 밸브캡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펌프실 62..피스톤 63..인렛밸브
64..아웃렛밸브 641..밸브시트 642..토출홀
643..구체 644..스프링 65..밸브캡
651..수용공간 652..토출유로 653..씰링홈
654..테이퍼면 655..단차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압상태의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포트와 고압상태의 오일이 토출되는 토출포트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펌프실이 보어가공된 모듈레이터 블록, 모듈레이터 블록의 중심부에 내장되어 증압제동 또는 압력유지 제동작용시 구동되는 모터, 모터 구동에 따라 펌프실 내부에서 좌우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피스톤, 피스톤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진퇴운동시 흡입포트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유로, 흡입유로를 피스톤의 진퇴운동에 따라 개폐하는 인렛밸브, 인렛밸브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인렛밸브를 통해 토출되어 가압된 오일이 상기 토출포트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아웃렛밸브, 아웃렛밸브의 토출홀을 개폐하는 구체, 구체를 토출홀 측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선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펌프실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밸브캡을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밸브캡 외주면에는 밸브캡의 억지끼워 맞춤시 펌프실의 개구단부 내주면 일부가 소성변형되면서 유입되어 밸브캡 외주면이 씰링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씰링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계통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레이터 블록의 내부구조와 인렛밸브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FR,FL)과 후륜(RR,RL)에 각각 설치된 브레이크(26,27,28,29)와 운전석 일측에 마련된 브레이크패달(20), 패달(20)의 작동에 의해 배력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제동유압이 발생되도록 배력장치(21)와 오일저장탱크(23)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22)가 구성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26,27,28,29)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입구측에 설치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와 출구측에 마련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3,34,35)로 구별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밸브는 전륜(FR,FL)과 후륜(RR,RL)에 마련된 휠센서(25)를 통해 차량속도를 감지하는 콘트롤러(24)를 통해 각각 제어된다.
전륜(FR,FL)측과 후륜(RR,RL)측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의 토출구측과 마스터실린더(22)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는 제1저압어큐뮤레이터(40)와 제2저압어큐뮤레어터(41) 및 압력 맥동을 줄이기 위한 일종의 댐핑쳄버인 제1고압어큐뮤레이터(80)와 제2고압어큐뮤레이터(8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감압제동에 따른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의 개방작동시 전륜(FR,FL)측과 후륜(RR,RL)측 브레이크(26,27,28,29)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이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40,41)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저압어큐뮤레이터(40,41)와 고압어큐뮤레이터(80,81) 사이에 마련된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제1,제2펌프(60,70)가 작동되어 제1저압어큐뮤레이터(40)에 저장된 오일은 가압되어 제1고압어큐뮤레이터(80)로 토출 저장되며, 제2저압어큐뮤레이터(41)에 저장된 오일도 가압되어 역시 제2고압어큐뮤레이터(81)로 토출 저장된다.
계속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80,81)에 저장된 오일은 유압라인을 따라 다시 브레이크(26,27,28,29) 측으로 전달되거나 마스터실린더(22)로 복귀된다.
이러한 것은 모듈레이터 블록(100)에 내장된 하나의 모터(50)와 제1,2펌프(60,70)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의 구조를 도 3과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알류미늄 합금재로 이루어진 모듈레이터 블록(100)에는 저압상태의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포트(611)와 고압상태의 오일이 토출되는 토출포트(6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중심부에는 편심 회전축(51)이 마련된 모터(5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면서 구동되는 제1펌프(60)와 제2펌프(70)가 좌우 대칭되게 장착된다.
펌프(60)는 모듈레이터 블록(100)의 측방향으로 보어가공된 펌프실(61), 펌프실(61) 내부에서 좌우로 진퇴운동가능하는 피스톤(62), 피스톤(62) 운동에 따라 흡입유로(621)와 토출포트(612)를 상반되게 개폐하는 인렛밸브(63)와 아웃렛밸브(6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62)은 펌프실(61)을 흡입포트(611) 측과 토출포트(612)측으로 양분하며, 이의 내부에 양분된 펌프실(61)을 연통하도록 흡입유로(621)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렛밸브(63)는 피스톤(62)의 바깥측단부, 즉 흡입유로(621)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흡입유로(621)를 개폐하는 구체(631), 구체(631)가 흡입유로(621)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633)와 스프링(632)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웃렛밸브(64)는 이러한 인렛밸브(63)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며 가압된 오일이 토출포트(612)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데, 이를 위해 펌프실(61)의 개구단부에 안착되며 중심부위에 토출홀(642)이 천공되어 있는 밸브시트(641), 오일압력에 의해 토출홀(642)을 개폐하는 구체(643), 구체(643)를 토출홀(642)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644) 및 펌프실(61)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는 밸브캡(6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캡(65)은 스프링(644)과 구체(643)가 안착 설치되도록 선단 중심부에 수용공간(65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씰링홈(653)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를 억지끼워 맞춤시 모듈레이터 블록(100) 일부가 이 내부로 소성변형되어 씰링이 이루어지는데,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밸브캡(65)은 펌프실(61)의 개구단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데, 오일누유를 방지하기 위해서 외주면에 소정깊이의 씰링홈(65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씰링홈(653)의 전방부위 외주면에는 잉여로 남는 모듈레이터 블록(100) 일부가 밀려 들어가도록 단차홈(65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억지끼움시 발생되는 블록조각이 고립됨으로써 오일에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밸브캡(65)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밸브캡(6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이의 결합시 블록 조각발생을 방지하도록 테이퍼면(654)이 마련되는데, 이것은 선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게 이루어진다. 즉, 밸브캡(65)의 외주면에 테이퍼면(654)과 단차홈(655) 그리고 씰링홈(653)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은 밸브캡(65) 외주면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에 각각 구성된다.
따라서 밸브캡(65)의 수용공간(651)에 구체(643)와 스프링(644)을 안착시키고 이것을 펌프실(61)의 개구단부에 삽입 후 억지끼우게 되면, 알류미늄재의 모듈레이터 블록(100) 일부가 씰링홈(653) 내부로 소성변형되면서 강제적으로 밀려들어와 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밸브캡(65) 선단부는 테이퍼면(654)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의 초기 삽입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블록조각의 발생이 최소로 된다. 아울러 밸브캡(65)의 억지끼움시 발생되는 블록 조각들은 밀리면서 단차홈(655) 내주로 유입 고립됨으로써, 오일에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미설명부호 652는 밸브캡(65)에 형성되어 토출포트(612)를 연계시키는 토출유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렛밸브(63)와 아웃렛밸브(64)는 모터(50)의 편심 회전축(51)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62) 위치에 따라 서로 상반되게 개폐됨으로써, 유체가 펌프실(61)로 유입되어 가압되면서 토출포트(6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피스톤(62)이 편심 회전축(51)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면 피스톤(62) 바깥측에 있던 유체가 압축되어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인렛밸브(63)의 구체(631)는 흡입유로(621)의 저부에 밀착되어 흡입유로(621)를 폐쇄하고, 아웃렛밸브(64)의 구체(643)는 스프링(644)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깥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토출홀(642)에서 이격 이것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펌프실(61)에서 가압된 유체는 개구된 토출홀(642)과 토출유로(652)를 통해 고압어큐뮤레이터(80)로 유입되고, 계속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라인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피스톤(62)이 좌측으로 밀리면 인렛밸브(63)의 구체(631)가 흡입유로(621)의 저부에서 이격되어 저압상태의 오일이 유입됨으로써, 지속적인 펌핑작동이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반적인 제동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자동차의 주행중이거나 정지상태에서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상태 유지를 위해 브레이크패달(20)을 밟게 된다. 이에 따라 배력장치(21)에서 입력보다 증폭된 배력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마스터실린더(22)에서는 상당한 압력의 제동유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동유압은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를 통해 전륜(FR,FL)과 후륜(RR,RL)에 마련된 각 브레이크(26,27,28,29)로 전달됨으로써, 제동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20)에서 조금씩 또는 완전하게 발을 떼면, 각 브레이크(26,,27,28,29) 내의 오일압력은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를 통해 다시 마스터실린더(22)로 복귀되어 제동력이 감소되거나 제동작용이 완전히 해제된다.
한편, 차량 주행중에 감속 또는 정지를 목적으로 제동력 증가 / 유지상태로 제어하는 중에 운전자가 제동압력을 노면상태보다 크게 하거나 노면조건이 변화되어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브레이크(26,27,28,29)에서의 마찰력이 차량의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게 되면 차량의 바퀴는 노면에서 미끄러져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차량은 조향력을 상실하고 제동거리가 증가함은 물론이며, 차량이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ABS제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ABS는 증압, 감압, 유지 등 3가지 모드로 제어되며, 각각의 제어상태는 차량의 바퀴 4개에 모두 같은 상태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고 노면조건과 ABS 제어상태에 따라 별개로 제어, 즉 3가지 모드가 섞여서 제어된다.
먼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감압작동을 설명한다. 제동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26,27,28,29) 내의 제동압력을 노면조건보다 크면 적정압력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24)에서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3,34,35)를 개방 작동시킴으로써, 전륜(FR,FL)측과 후륜(RR,RL)측의 브레이크(26,27,28,29)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은 제1저압어큐뮤레이터(40)와 제2저압어큐뮤레이터(41)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 때, 각각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3,34,35)의 개방작동은 동시 또는 각각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륜(FR,FL)과 후륜(RR,RL)측에 장착된 브레이크(26,27,28,29)의 압력이 낮아져서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증압작동은 다음과 같다. ABS 제어중 ABS 감압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차량이 진행되어 노면의 마찰계수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 브레이크(26,27,28,29) 내에 있는 제동압력으로 제동을 할 수 있는 것보다 차량 타이어와 노면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차량 제동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휠센서(2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콘트롤러(24)에서 상황을 판단, 브레이크(26,27,28,29) 내의 제동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터(50)를 구동 제1,제2펌프(60,7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ABS감압작동시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40,41)에 저장된 오일은 흡입포트(611)를 통해 펌프실(61) 내로 유입 가압되고, 토출포트(612)를 통해 고압어큐뮤레이터(80,81)로 공급된다. 계속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80,81)에서 압력 맥동이 저감된 오일은 개방작동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를 통해 브레이크(26,27,28,29)로 전달됨으로써, 제동유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ABS 제어 중에서 브레이크(26,27,28,29)내의 압력이 최적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최적의 압력에 이르거나, ABS 제어중에서 파생되는 차량의 공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압력을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작동상태가 필요한데,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유지작동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전륜(FR,FL)과 후륜(RR,RL)에 장착된 브레이크(26,27,28,29) 내의 압력변화를 없게하는 압력유지상태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 중에서 압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브레이크(26,27,28,29) 측의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31,32)를 폐쇄작동시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고압어큐뮤레이터(80,81)의 오일압력은 마스터실린더(22)측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제2저압어큐뮤레이터(40,41)에 저장된 저압상태의 오일은 제1펌프(60)와 제2펌프(70)를 통해 펌핑 가압되고, 제1,제2고압어큐뮤레이터(80,81)로 전달되어 유속차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마스터실린더(22) 및 브레이크(26,27,28,29)측으로 다시 공급된다.
이 때, 펌프(60)는 인렛밸브(63)와 아웃렛밸브(64)의 상반되는 개폐작동에 의해 오일이 가압 토출되는데, 펌프실(61)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는 아웃렛밸브(64)의 밸브캡(65)이 억지끼움됨으로써 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밸브캡(65)의 외주면에 테이퍼면(654)과 단차홈(655) 및 씰링홈(653) 등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억지끼워맞춤시 모듈레이터 블록(100) 일부가 씰링홈(653)과 단차홈(655) 내부로 강제적으로 소성변형되어 씰링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는 블록 내부에 펌프실이 보어가공되어 피스톤과 인렛밸브 및 아웃렛밸브 등이 설치되는데, 아웃렛밸브의 밸브캡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씰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펌프실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도록 억지끼움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캡의 억지끼움시 모듈레이터 블록 일부가 씰링홈 내부로 소성변형됨으로써, 별도의 씰링부재 없이도 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부품삭제로 인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저압상태의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포트(611)와 고압상태의 오일이 토출되는 토출포트(612)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펌프실(61)이 보어가공된 모듈레이터 블록(100), 상기 모듈레이터 블록(100)의 중심부에 내장되어 증압제동 또는 압력유지 제동작용시 구동되는 모터(50), 상기 모터(50) 구동에 따라 상기 펌프실(61) 내부에서 좌우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피스톤(62), 상기 피스톤(62)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진퇴운동시 상기 흡입포트(611)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유로(621), 상기 흡입유로(621)를 상기 피스톤(62)의 진퇴운동에 따라 개폐하는 인렛밸브(63), 상기 인렛밸브(63)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렛밸브(63)를 통해 토출되어 가압된 오일이 상기 토출포트(612)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아웃렛밸브(64), 상기 아웃렛밸브(64)의 토출홀(642)을 개폐하는 구체(643), 상기 구체(643)를 상기 토출홀(642) 측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44)이 선단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실(61)의 개구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밸브캡(65)을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65)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캡(65)의 억지끼워 맞춤시 상기 펌프실(61)의 개구단부 내주면 일부가 소성변형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밸브캡(65) 외주면이 씰링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씰링홈(65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65)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캡(65)의 억지끼움시 상기 밸브캡(6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테이퍼면(65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65)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캡(65)의 억지끼움시 발생되는 상기 모듈레이터 블록(100) 조각이 고립되도록 상기 씰링홈(653)과 상기 테이퍼면(654)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단차홈(655)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KR2019980022394U 1998-11-17 1998-11-17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KR20028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394U KR200281967Y1 (ko) 1998-11-17 1998-11-17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394U KR200281967Y1 (ko) 1998-11-17 1998-11-17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00U KR20000010200U (ko) 2000-06-15
KR200281967Y1 true KR200281967Y1 (ko) 2002-09-19

Family

ID=6971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394U KR200281967Y1 (ko) 1998-11-17 1998-11-17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00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7332B1 (en) Vehicle anti-skid braking systems
KR200281967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KR200286155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어큐뮤레이터
KR200286152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KR10041331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어큐뮤레이터
KR100379920B1 (ko) 중압어큐뮬레이터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장치
KR200270854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KR200286151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100612739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어큐뮬레이터
KR200270855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100413316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어큐뮤레이터
KR10042673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오일 댐핑장치
KR100437211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44471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437212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96170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96168Y1 (ko) 차량용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KR10035294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38269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200267457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KR200270852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100808011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KR10033165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H0585325A (ja) 車輪制動制御装置
KR20020009023A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어큐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