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39Y1 - 조리용 구이기구 - Google Patents

조리용 구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39Y1
KR200281739Y1 KR2020020012185U KR20020012185U KR200281739Y1 KR 200281739 Y1 KR200281739 Y1 KR 200281739Y1 KR 2020020012185 U KR2020020012185 U KR 2020020012185U KR 20020012185 U KR20020012185 U KR 20020012185U KR 200281739 Y1 KR200281739 Y1 KR 20028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infrared
infrared ray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금란
Original Assignee
권금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금란 filed Critical 권금란
Priority to KR2020020012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39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육류 등 조리물이 과열로 인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용 구이 기구가 개시된다. 그러한 조리용 구이 기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조리물이 얹혀지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적외선에 의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투명한 조리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용 구이기구{BROILING DEVICE FOR USE IN COOKING}
본 고안은 조리용 구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을 열원으로 하고, 표면처리된 반사판을 사용함으로써 적외선의 조리물에 대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의 조리판을 사용함으로써 잠열의 축적으로 인하여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구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식생활의 개선으로 육류의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조리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육류의 조리방법을 열원에 의하여 분류하면 숯불을 열원으로 하여 구이하는 방법과, 히터에 의하여 구이하는 방법과, 가스불에 의한 방법등 다양한 조리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에 있어서, 숯불을 열원으로 하는 방법은, 숯불을 아래측에 위치시키고, 이 숯불의 위쪽으로 적쇠등을 위치시키고 그 위에 육류를 얹어서 상승하는 열로 구이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방법은, 육류가 숯불에 의해 구워질 때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 성분이 적쇠의 틈새를 통하여 아래측으로 떨어지면서 숯불로 들어가게 되므로, 숯불의 화염이 급속히 커져 육류까지 휩싸게 된다. 즉, 육류로부터 나오는 기름 성분에 의해 화염이 커지면서 육류를 휩싸게 되는데, 이때 화염에 의해 육류는 그슬려지고, 또 기름 성분의 화염에 의해 휩싸여지는 육류의 표면은 그슬려진 기름이 묻게 된다. 따라서 육류의 맛이 떨어지고, 또 구이를 하는 사람은 화상을 당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한 히터 혹은 가스불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열원을 위치시키고, 케이스의 상부에 조리판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열원과 조리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대류방법에 의하여 상승하게 됨으로, 이 과정에서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1차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판에 도달한 열은 전도에 의하여 조리판 전체로 퍼짐으로써 조리판을 2차적으로 가열시킴으로써 육류를 조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열원이 공급되는 한, 공기층이 지속적으로 가열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잠열이 축적되어 조리판이 과열된다. 또한, 상기 조리판은 직접적으로 전도된 열에 의하여 가열되고, 부차적으로 잠열에 의하여도 가열된다. 그리고, 과도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별도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과열상태가 지속됨으로써 조리물이 타버릴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지속적으로 조리물을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외선을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도나 대류가 아닌 방사에 의하여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용 구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사판의 표면을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적외선의 반사효율을 높여 가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용 구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판을 투명재질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적외선이 이 조리판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내부공간에 잠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구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조리용 구이기구의 측단면도.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조리용 구이기구의 적외선 발생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 는 도2 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조리물이 얹혀지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적외선에 의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조리용 구이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 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부에 장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며,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적외선 램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은 전해연마 가공법에 의하여 처리된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표면에 양극산화처리법에 의하여 생성된 피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판은 투명한 재질의 내열강화유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조리용 구이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 구이기구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부(3)와, 상기 적외선 발생부(3)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기가 얹혀지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3)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판(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조리용 구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통형상이며 그 상부 테두리부에는 홈이 형성된 기름받이(7)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판(5)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혹은 액체를 저장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생부(3)는 상기 케이스(1)의 상부 내부에 장착되는 반사판(9)과, 상기 반사판(9)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램프(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판(9)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외선 램프(11)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반사하게 된다.
이러한 반사판(9)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플레이트(15)와,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15)의 상면에 생성된 광후피막(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15)는 순도 99.8%이상의 공업용 알루미늄을 통상적인 전해연마 가공법(Electrolytic polishing)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희박 수용액이 저장된 전해연마장치의 양극에 위치시키고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15)의 표면에 미소돌기가 용출되도록 함으로써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전해연마 가공법에 의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트(15)의 내식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상기한 전해연마 가공법 이외에도 통상적인 화학연마 가공법에 의해서도 처리가능하다. 즉, 이 경우는 전해연마 가공법에 비하여 전류를 쓰지 않고 금속을 함유한 질산연마액 중에서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일정시간 처리함으로써 전해연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플레이트(15)는 전해연마 가공법 혹은 화학연마가공법에 의하여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광택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알루미늄 이외에도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해연마 가공법에 의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1차 표면처리한 후, 그 표면에 광후피막(13)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광후피막(13)은 상기 적외선 램프(11)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등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양극 산화처리법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생성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매우 활성이고 반응성도 강하여 자연적으로도 그 표면에 엷은 산화피막이 생겨서 내부를 보호한다. 그러나, 자연적인 산화피막은 매우 엷으므로 인공적으로 두껍고 강고한 산화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플레이트(15)의 표면에 마이크로적 피막(13)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극 산화처리법(anodic oxidation anodizing method)을 시행하게 된다.
즉,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15)를 황산 또는 크롬산 등의 산(Acid)중에 담가서 직류 또는 교류와 직류의 조합으로 전류를 흘리면 일정시간 후 알루미늄 플레이트(15)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성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막의 두께는 0.01-0.05μm 범위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해연마 가공법 및 양극산화 처리법에 의하여 처리된 반사판(9)은 적외선 등에 대한 반사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램프(11)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적외선이 상기조리판(5)에 집중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외선 램프(11)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램프(Halogen Lamp)를 포함하며, 전원 공급시 일정 파장의 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이러한 적외선 램프(11)는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회 이상 굴곡된 "S"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ㅡ"자 형에 비하여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범위가 넓고, 단위 시간당 방사량이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램프(11)는 "S" 자 형상 뿐만 아니라, "O" 자형, "U" 자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램프(11)는 스위치부(17;도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17;도1)를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파장범위의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으며, 그 세기 또한 조절가능하다.
이러한 적외선은 방사에 의하여 조리물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즉, 적외선은 전도나 대류의 방법이 아닌 방사에 의하여 조리물에 전달되며, 조리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고유 진동과 거의 같은 정도의 진동범위를 갖기 때문에 조리물에 부딪히면 조리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와 전기적인 공진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조리물은 일정 온도의 적외선 열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조리된다.
또한, 이러한 적외선은 방사에 의하여 진행함으로, 적외선 램프(11;도2)와 조리판(5;도2) 사이 내부공간(19)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매체에는 열적인 영향이 없이 직접 조리물에 전달되어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육류의 조리에는 3㎛ 내지 5㎛ 범위의 파장을갖는 적외선이 적당하다.
다시,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판(5)은 돔(Dome) 형상으로써 케이스(1)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육류 등의 조리물이 얹혀진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판(5)은 투명한 재질의 내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램프(11)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투명한 재질의 조리판(5)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리판(5)은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이 조리판(5)에 도달하여 조리물에만 직접적으로 방사되고, 그 외의 적외선은 조리판(5)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퍼짐으로써, 조리물만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은 방사에 의하여 진행함으로, 조리판(5)과 반사판(9)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19)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물에 도달하여 조리물만을 가열하게 된다.
반면에, 가스불과 같은 열원을 사용하고, 또한 철 등의 일반 재질의 조리판을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내부공간(19)에 채원진 공기층을 대류에 의하여 진행함으로써 조리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열이 내부공간(19)의 공기를 1차적으로 가열하여 내부공간(19)의 온도를 상승시켜 조리판(5)이 과열될 수 있으며, 또한, 조리판에 도달한 열은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조리판을 통하여 조리판 전체에 전도됨으로써 조리판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조리판에 얹혀진 육류등의 조리물은 과열됨으로써 타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에서는 적외선을 열원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판(5)은 그 중간부가 소정 곡률을 갖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조리물로부터 발생한 기름 등의 액체가 용이하게 곡면을 따라 흘러 상기 기름받이(7)로 집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판(5)은 투명재질 뿐만 아니라 반투명 재질로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조리용 구이기구를 이용하여 육류 등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스위치부(17)를 조작하여 적외선 램프(11)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된 적외선 램프(11)는 일정 파장의 적외선을 방사하게 되며, 이러한 적외선은 적외선 램프(11)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중 상향으로 진행한 적외선은 투명한 조리판(5)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퍼지게 되고, 그 일부는 조리판(5)에 얹혀진 조리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측방 및 하방으로 진행한 적외선은 반사판(9)에 의하여 반사되어 조리판(5)으로 집중된 후, 투명한 조리판(5)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퍼지거나 조리물에 방사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9)은 마이크로적 피막(13)이 생성되어 있음으로 적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판(5)에 집중된 적외선은 투명한 조리판(5)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퍼지거나 육류 등의 조리물에 방사된다. 이때, 적외선은 방사에 의하여 진행하게 됨으로 조리판(5)과 반사판(9)이 이루는 내부공간(19)의 공기를 데우지않고 직접 조리물에 방사되어 조리물만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대류에 의하여 내부공간(19)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전도에 의하여 조리판(5)을 가열시키지 않음으로써, 조리판(5)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과열로 인한 잠열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판(5)의 상면에 얹혀진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적외선에 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중에, 스위치부(17)를 조작함으로써 적외선 램프(11)의 방사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리용 구이기구는 주로 음식점등의 업소에 사용되지만, 가정에서도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구이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열원으로써 적외선을 사용함으로, 가열과정에 있어서, 대류나 전도에 의하지 않고 방사에 의하여 진행함으로써 내부공간의 공기 가열로 인한 잠열축적을 방지하여 조리기구가 과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투명재질의 조리판을 사용함으로써, 조리물에 방사된 적외선만이 조리물을 가열시키고, 그 외의 적외선은 조리판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퍼지게 함으로써, 내부공간에 잠열이 축적됨이 없이 조리에 필요한 열만이 조리물에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반사판의 표면을 전해연마 및 양극산화처리법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적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스위치부에 의하여 적외선의 방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온도를 적절하게 조리함으로써 육류를 맛좋게 구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7)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조리물이 얹혀지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적외선에 의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조리용 구이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부에 장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조리용 구이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전해연마 가공법에 의하여 처리된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표면에 양극산화처리법에 의하여 생성된 피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용 구이 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램프는 가열면적을 증대하기 위하여 "S"자 형상, "O" 자 형상, "U" 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할로겐 램프를 포함하는 조리용 구이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기름받이가 제공되는 조리용 구이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은 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구이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은 투명 혹은 반투명의 어느 한 재질로 된 내열 강화유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구이기구.
KR2020020012185U 2002-04-22 2002-04-22 조리용 구이기구 KR20028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85U KR200281739Y1 (ko) 2002-04-22 2002-04-22 조리용 구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85U KR200281739Y1 (ko) 2002-04-22 2002-04-22 조리용 구이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971A Division KR100514950B1 (ko) 2002-04-22 2002-04-22 조리용 구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39Y1 true KR200281739Y1 (ko) 2002-07-13

Family

ID=731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85U KR200281739Y1 (ko) 2002-04-22 2002-04-22 조리용 구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KR100677739B1 (ko) 주사형 광파 오븐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0833966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EP2392242A1 (en) Two-way heating cooker
CN101969822B (zh) 便携式烹饪装置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JP2004192980A (ja) 電磁調理器用プレート
KR100514950B1 (ko) 조리용 구이기구
KR100526776B1 (ko) 할로겐히터 조리기
KR200281739Y1 (ko) 조리용 구이기구
CN101696810B (zh) 光波炉
JP3115765B2 (ja) 加熱調理器
KR200441881Y1 (ko)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101840688B1 (ko)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JPH02152187A (ja) 加熱用調理器
KR200264475Y1 (ko) 근적외선 방사열을 이용한 조리기구
JP2000002425A (ja) 加熱調理器
JP2003307319A (ja) 加熱こんろ
RU2681128C1 (ru) Способ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556803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JP2001346695A (ja) 加熱調理器具
JP3212861B2 (ja) 電気炊飯器
JP2023107614A (ja) 加熱調理方法および加熱調理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