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623Y1 -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 Google Patents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623Y1
KR200281623Y1 KR2020020008688U KR20020008688U KR200281623Y1 KR 200281623 Y1 KR200281623 Y1 KR 200281623Y1 KR 2020020008688 U KR2020020008688 U KR 2020020008688U KR 20020008688 U KR20020008688 U KR 20020008688U KR 200281623 Y1 KR200281623 Y1 KR 200281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gate
advertising
advertisement
unit
adverti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신필기
Original Assignee
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욱 filed Critical 전정욱
Priority to KR2020020008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62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역 및 경전철역에 설치되어 승객의 출입을 체크하는 개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개찰구(1)의 상단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3)의 좌우에는 한 쌍의 세로 광고부(4)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에는 한 쌍의 가로 광고부(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가 제공된다.
마그네틱 패스를 인식한 후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찰구의 상면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 주위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도록 광고부를 구비한 지하철이나 경전철의 개찰구가 제공됨으로서, 승객이 개찰구를 출입할 때마다 개찰구의 상면에 게재된 광고스티커를 주시하게 함에 의해 광고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Ticket gate with advertisement part}
본 고안은 지하철역이나 경전철역에 설치되어 승객의 출입을 체크하는 개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찰구 상단에 위치한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의 마그네틱 패스의 인식 부위 주변에 광고스티커를 부착하여 개찰구에 선명하고 확실한 광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부가 구비된 개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개찰구는 승객이 밀고 지나가는 젖힘식 개찰구 및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찰구가 사용되고 있다.
지하철역 개찰구에 광고 효과를 주기 위한 여러 가지 고안들이 제안되었다. 즉, 회전식 개찰구의 120도씩 회전하는 가이드 바에 광고지가 내장된 투명파이프를 설치하거나 인쇄된 광고지가 부착되고 그 위로 전면에 걸쳐 에폭시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등 가이드 바가 광고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 승차권 투입구의 주변에 광고문구나 광고로고를 부착하여 광고 효과를 갖도록 한 것, 그리고 개찰구의 앞면과 뒷면을 구성하는 개찰구커버 전면에 걸쳐 광고스티커를 부착하여 광고 효과를 갖도록 한 것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개찰구를 구성하는 특정부위를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으나, 가이드 바의 경우에는 광고장치를 설치하는데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가이드 바의 굵기가 더 두꺼워지게 되어 승객의 출입에 거부감을 주게 되며, 승차권 투입구의 여백 부분의 광고효과는 그 여백 부분이 매우 협소하여 광고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개찰구 앞면과 뒷면을 구성하는 개찰구 커버 전면에 걸쳐 광고 스티커를 부착한 경우에는 광고면이 바닥에 가깝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지 않으며 승차권을 투입구에 집어넣는 일에 집중하고 있는 승객에게 전혀 광고효과를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사용되고 있는 교통카드와 같은 마그네틱 패스를 사용하는 대상층이 인텔리층일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점점 증가하며 간편한 사용 및 마일리지 적용으로 승차권 투입구의 여백에 대한 광고 효과보다는 자동 개찰구의 상단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 부위를 활용한 광고 효과가 더욱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틱 패스를 인식한 후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찰구의 상면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 주위에 광고를 게재하여, 승객이 개찰구를 출입할 때마다 개찰구의 상면에 게재된 광고스티커를 주시하게 함에 의해 광고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부를 구비한 지하철이나 경전철의 개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의 상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개찰구에 구비되는 광고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개찰구 2 : 가이드 바
3 :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 4 : 세로 광고부
5 : 가로 광고부 10, 20 : 광고부재
11 : 광고지 12 : 롤러
21 : 각기둥 22 : 회전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지하철역 및 경전철역에 설치되어 승객의 출입을 체크하는 개찰구에 있어서, 상기 개찰구의 상단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의 좌우에는 한 쌍의 세로 광고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에는 한 쌍의 가로 광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세로 광고부 및 가로 광고부는, 광고스티커일 수도 있고, 투명 재질로 제작된 커버 속에 광고지를 끼워 넣은 광고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로 광고부 및 가로 광고부는, 상기 개찰구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덮개의 하방, 즉 개찰구 내부에 광고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광고부재는, 광고 내용이 표면에 인쇄된 무단의 광고지를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광고부 및 가로 광고부는, 상기 개찰구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덮개의 하방, 즉 개찰구 내부에 광고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부재는, 각기둥의 표면에 광고 내용을 인쇄한 후 상기 각기둥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개찰구(1)는 120도씩 회전하는 가이드 바(2)를 승객이 밀고 들어가는 회전식 개찰구이지만, 본 고안은 자동 개폐식 개찰구 등 다른 어떤 개찰구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찰구(1)의 상단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3)의 좌우에는 한 쌍의 세로 광고부(4)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에는 한 쌍의 가로 광고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로 광고부(4) 및 가로 광고부(5)는 예를 들어 광고스티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스티커를 개찰구(1) 상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3)가 가려지거나 오인되지 않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로 광고부(4) 및 가로 광고부(5)는 상기된 광고스티커 이외에도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커버 속에 광고지를 끼워 넣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는 광고스티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필요에 따라 광고 내용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2 및 도 3은 개찰구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고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상기 광고부는, 상기 개찰구 상면의 세로 광고부(4) 혹은 가로 광고부(5)가 위치된 위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덮개의 하방, 즉 개찰구 내부에 도 2 혹은 도 3에 도시된 형상의 제1 및 제2 광고부재(10, 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2의 제1 광고부재(10)는 광고 내용이 표면에 인쇄된 종이 혹은 천과 같은 광고지(11)를 복수개의 롤러(12)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롤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2개의 롤러를 사용하거나, 3개 이상의 롤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 도 2에서는 광고지(11)가 직사각형상의 개구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광고지와 롤러가 구성되어 있지만, 광고지가 직사각형상의 개구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광고지와 롤러를 구성하여도 좋다. 즉, 광고지가 회전하는 방향에 의해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의 제2 광고부재(20)는 각기둥(21; 도 3에서는 삼각기둥)의 표면에 광고 내용을 인쇄한 후 상기 각기둥을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마그네틱 패스를 인식한 후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찰구의 상면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 주위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도록 광고부를 구비한 지하철이나 경전철의 개찰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승객이 개찰구를 출입할 때마다 개찰구의 상면에 게재된 광고스티커를 주시하게 함에 의해 광고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지하철역 및 경전철역에 설치되어 승객의 출입을 체크하는 개찰구에 있어서,
    상기 개찰구(1)의 상단에 위치한 마그네틱 패스 인식부(3)의 좌우에는 한 쌍의 세로 광고부(4)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에는 한 쌍의 가로 광고부(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광고부(4) 및 가로 광고부(5)는,
    광고스티커 및 투명 재질로 제작된 커버 속에 광고지를 끼워 넣은 광고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광고부(4) 및 가로 광고부(5)는,
    상기 개찰구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덮개의 하방, 즉 개찰구 내부에 광고부재(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부재(10)는, 광고 내용이 표면에 인쇄된 무단의 광고지(11)를 복수개의 롤러(12)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광고부(4) 및 가로 광고부(5)는,
    상기 개찰구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덮개의 하방, 즉 개찰구 내부에 광고부재(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부재(20)는, 각기둥(21)의 표면에 광고 내용을 인쇄한 후 상기 각기둥을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구.
KR2020020008688U 2002-03-23 2002-03-23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KR200281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88U KR200281623Y1 (ko) 2002-03-23 2002-03-23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88U KR200281623Y1 (ko) 2002-03-23 2002-03-23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623Y1 true KR200281623Y1 (ko) 2002-07-13

Family

ID=7311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88U KR200281623Y1 (ko) 2002-03-23 2002-03-23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6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9821A (en) Method of forgery-protecting a data carrier, a forgery-protected data carrier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processing and monitoring the data carrier
KR200281623Y1 (ko) 광고부를 구비한 개찰구
CN213681859U (zh) 一种自动闸机
KR100956175B1 (ko) 슬림형 자동집·개표기
US60023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200031918A (ko) 선거벽보 보호용 포장지
WO2000004511A1 (de) Durchgangskontrolleinrichtung für berührungslose datenträger
US20220268076A1 (en) Access control device and pedestrian gate for same
CN214475206U (zh) 一种进行人员管理的区域用通道闸机
KR200355455Y1 (ko) 자동 개집찰 장치
KR200224715Y1 (ko) 지하철 개찰구의 광고장치
KR100486616B1 (ko) 무인자동개찰기의 광고기능을 가지는 오작동방지장치
KR200287354Y1 (ko) 개찰구 주위 바닥에 설치되는 광고구조
KR100962224B1 (ko)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KR100787882B1 (ko) 유기기(遊技機)
KR101200520B1 (ko) 슬림 자동집?개폐기용 광고장치
CN217810656U (zh) 一种广告人行通道闸机
CN218214217U (zh) 一种地铁防逃票电子报警装置
JP5487244B2 (ja) 自動改札装置及び自動改札方法
JP2023176494A (ja) 自動改札機
US20020184807A1 (en) Ready Swipe
CN219162750U (zh) 一种具备语音识别的通行管理设备
CN213328789U (zh) 一种新型双向摆闸闸机
JP3149211U (ja) 自動改札装置
JP5459687B2 (ja) 自動改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