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82Y1 -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 Google Patents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82Y1
KR200281382Y1 KR2020020010740U KR20020010740U KR200281382Y1 KR 200281382 Y1 KR200281382 Y1 KR 200281382Y1 KR 2020020010740 U KR2020020010740 U KR 2020020010740U KR 20020010740 U KR20020010740 U KR 20020010740U KR 200281382 Y1 KR200281382 Y1 KR 200281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 body
velcro
blocking
gai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학
Original Assignee
배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학 filed Critical 배재학
Priority to KR2020020010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82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 영역에 마련되는 혀와, 상기 혀와 상기 개방부를 연결하는 끈을 갖는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차단각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키면서도 개방부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목보호밴드가 채용됨으로써 이물 침투 방지의 효과와 더불어 발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shoe and leggings assembly for shoe}
본 고안은,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부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그 종류에 따라 구두나 슬리퍼, 혹은 운동화 등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끈이 마련되어 있는 것과 그러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과 더불어 신발의 사용처에 맞추어 신발을 적절하게 선택한다.
예를 들어, 끈이 존재하는 축구화와 같은 경우에는 끈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의 그 내측에는 개방부를 일시 차폐하는 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축구화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끈을 풀어 발을 삽입한 후, 끈을 다시 조임으로써 축구화가 벗겨지지 않도록 한 후, 축구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개방부가 형성된 축구화를 이용하여 축구 게임을 행할 경우,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지면에 있는 모래나 흙이 개방부를 통해 축구화 내로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운동을 하고 나면 축구화를 벗어 축구화 내로 침투한 흙이나 모래를 털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신발의 개방부 영역으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발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3-0022283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신발의 경우에는 덮개가 신발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바, 덮개의 바닥이 쉽게 마모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덮개을 축구화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축구화 전체를 감싸지지하는 덮개로 인해 축구화의 고유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려우며,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이하게 착탈시키면서도 개방부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목을 보호하는 발목보호밴드가 적용된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본체에 각반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반조립체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본체에 각반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본체 12 : 발삽입구
14 : 개방부 16 : 혀
18 : 끈 19 : 제1벨크로
20 : 이물차단각반 22 : 제1부분
24 : 제2부분 26 : 제2벨크로
28 : 벨크로부 29 : 발목보호밴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부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 영역에 마련되는 혀와, 상기 혀와 상기 개방부를 연결하는 끈을 갖는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차단각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연부면과 상기 이물차단각반 중 어는 일측에는 제1벨크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2벨크로와 착탈가능한 제2벨크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도 이물차단각반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발목은 감싸지지하는 발목보호밴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이물차단각반은 이물의 차단과 더불어 발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이물차단각반은 상기 신발본체에 발이 삽입될 경우,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양단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다리의 일부분을 완충보호하는 완충아대가 마련되어 있어 발목을 포함하여 무릎 영역을 보호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벨크로와;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마련된 제1벨크로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벨크로와 착탈가능한 제2벨크로를 구비한 이물차단각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각반조립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발목은 감싸지지하는 발목보호밴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이물차단각반은 이물의 차단과 더불어 발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삽입되는 신발본체(10)와, 신발본체(10)의 소정 영역에 결합되어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10)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차단각반(20)을 갖는다.
신발본체(10)는 발이 삽입되는 발삽입구(12)와, 발삽입구(12)와 연결되며 상부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14)와, 개방부(14) 영역의 내측에 마련되는 혀(16)와, 개방부(14) 영역을 상호 연결하여 개방부(14)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끈(18)을 갖는다.
이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끈(18)을 풀어 발삽입구(12)로 발을 삽입한 후, 끈(18)을 다시 조임으로써 신발본체(1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신발은 등산화를 포함하여, 런닝화 및 구두, 혹은 축구화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활동량이 많은 축구화를 그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외측 연부영역에는 개방부(14)를 포함하여 발삽입구(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1벨크로(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제1벨크로(19)는 별도로 마련되어 신발본체(10)에 결합될 수도 있거니와 신발본체(10)를 제조할 경우 신발본체(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물차단각반(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에 배치되어 개방부(14)를 덮는 제1부분(22)과, 제1부분(22)과 연결되어 신발본체(10)에 삽입된 발의 발목부분을 감싸는 제2부분(24)으로 나뉜다.
제1부분(22)의 둘레와 제2부분(24)의 하부에는 제2벨크로(2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분(24)의 일측면에는 제2부분(24)이 발목을 감싼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벨크로부(28)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신발본체(10)에 발을 삽입한 후, 이물차단각반(20)의 제1부분(22)에 형성된 제2벨크로(26)를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에 마련된 제1벨크로(19)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제2부분(24)의 하면에 마련된 제2벨크로(26)를 신발본체(10)의 발삽입구(12)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1벨크로(19)에 결합시킨 후, 발목을 중심으로 제2부분(24)을 감싸 제2부분의 일측에 형성된 벨크로부(28)가 타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10)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이물차단각반(20)의 제2부분(24)에는 발목은 감싸지지하는 발목보호밴드(29)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을 차폐할 수 있는 이물차단각반(20)을 마련함으로써 신발본체(10)의 개방부(14)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10)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축구화와 같이 비교적 활동이 활발한 신발에 본 고안의 사상이 적용된다면 보다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신발본체(10)에 제1벨크로(19)를 마련하고 이물차단각반(20)에 제2벨크로(26)를 마련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신발본체(10)의 제조시 제1벨크로(19)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면 제2벨크로(26)가 형성된 이물차단각반(20)만을 마련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하던 신발본체(10)에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제1벨크로(19)를 마련하여 신발본체(10)에 결합시키고,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이물차단각반(20)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때, 제1벨크로(19)와 이물차단각반(20)을 통틀어 신발용 각반조립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본체에 각반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이물차단각반(20)에는 완충아대(30)가마련되어 있다. 이 완충아대(30)는 다리의 일부분, 예를 들어, 무릎이나 무릎의 하부다리 영역을 보호한다. 따라서, 완충아대(30)가 마련된 이물차단각반(20)은 여러종류의 신발 중, 활동량이 많은 축구화 등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완충아대(30)는 이물차단각반(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거니와 별도로 탈부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벨크로(19,26)를 이용하여 이물차단각반(20)을 신발본체(10)에 착탈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암수 한 쌍을 갖는 버튼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물차단각반(20)의 제1부분(22)에 별도의 홀을 형성하여 신발본체(10)의 끈(18)이 홀을 통과하면서 이물차단각반(20)을 개방부(14) 영역에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물차단각반(20)의 재질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벨크로를 부착시키기가 편리하며, 이물차단각반(20)으로 발목 및 무릎 영역을 보호하고자 한다면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포함한 비교적 부드러운 섬유재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마모성을 좋게 하고 장기간 사용하고자 한다면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혹은 레쟈가죽 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물차단각반(20)의 제2부분(24) 역시 벨크로부(28)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역시 암수 한 쌍의 버튼식으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 타입의 결합방식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이하게 착탈시키면서도 개방부 영역을 통해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발목을 보호하는 발목보호밴드가 적용된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7)

  1. 상부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 영역에 마련되는 혀와, 상기 혀와 상기 개방부를 연결하는 끈을 갖는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차단각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연부면과 상기 이물차단각반 중 어는 일측에는 제1벨크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2벨크로와 착탈가능한 제2벨크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발목은 감싸지지하는 발목보호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각반은 상기 신발본체에 발이 삽입될 경우,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양단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다리의 일부분을 완충보호하는 완충아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벨크로와;
    상기 신발본체의 개방부 영역에 마련된 제1벨크로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신발본체 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벨크로와 착탈가능한 제2벨크로를 구비한 이물차단각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각반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각반에는 발목은 감싸지지하는 발목보호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각반조립체.
KR2020020010740U 2002-04-10 2002-04-10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KR200281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40U KR200281382Y1 (ko) 2002-04-10 2002-04-10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40U KR200281382Y1 (ko) 2002-04-10 2002-04-10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82Y1 true KR200281382Y1 (ko) 2002-07-13

Family

ID=7307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740U KR200281382Y1 (ko) 2002-04-10 2002-04-10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60A (ko) * 2003-02-27 2003-03-15 이동락 접착공정이 없는 조립식 신발 및 그 제조방법
WO2009091975A1 (en) * 2008-01-17 2009-07-23 Toms Shoes Wrap boot for a wearer's fo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260A (ko) * 2003-02-27 2003-03-15 이동락 접착공정이 없는 조립식 신발 및 그 제조방법
WO2009091975A1 (en) * 2008-01-17 2009-07-23 Toms Shoes Wrap boot for a wearer's foot
US9101172B2 (en) 2008-01-17 2015-08-11 Mycoskie, Llc Wrap boot for a wearer's fo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430A (en) Athletic shoe cover and ankle support combination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9254015B2 (en) Non-gaiter bootleg cover
US20150320139A1 (en) Barefoot shoe
US20100192337A1 (en) Shoe lace protector
KR20060048734A (ko) 구두
JPH03184502A (ja) 足首を保護するための構造を有する運動靴及び該運動靴に使用する舌片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US6785983B2 (en) Boot provided with a gaiter
JPH0678801A (ja) 内部緊締装置を備えたスポーツ靴
KR200281382Y1 (ko)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US20120198731A1 (en) Pant Leg Protector Insole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KR101280532B1 (ko)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양말
KR20160064920A (ko) 등산화용 숏 스패츠
KR20140004765U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벌목화
US20240032625A1 (en) Protective Footgear Device
KR1010758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KR102594643B1 (ko) 띠신발
KR100584012B1 (ko) 신발 방수용 착용구
US20010025438A1 (en) Open (exposed) toe walking or running shoe
KR200308062Y1 (ko)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KR200308058Y1 (ko) 신발 보호 커버
KR200453361Y1 (ko) 신발 고정구
KR101075892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