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062Y1 -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 Google Patents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062Y1
KR200308062Y1 KR20-2002-0034551U KR20020034551U KR200308062Y1 KR 200308062 Y1 KR200308062 Y1 KR 200308062Y1 KR 20020034551 U KR20020034551 U KR 20020034551U KR 200308062 Y1 KR200308062 Y1 KR 200308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s
calf
ankle
cover
calf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길
Original Assignee
김원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길 filed Critical 김원길
Priority to KR20-2002-0034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류 중에 한 종류인 부츠에 있어서, 한 켤레의 부츠를 롱부츠(long boots) 및 앵클부츠(ankle boots)로 선택하여 신을 수 있는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바닥과 접하는 밑창(113)과, 발등과 발목을 덮으며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118)가 형성된 발목커버(115) 및,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밑창(113)의 밑면에 고정된 굽(119)을 구비한 부츠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발목커버(115)의 삽입구(118)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딴지커버부(140, 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는 한 켤레의 부츠로 장딴지커버부를 착용 또는 미착용함에 따라 롱부츠 또는 앵클부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두부와 장딴지커버부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Boots separated the calf cover}
본 고안은 신발류 중에 한 종류인 부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한 켤레의 부츠를 롱부츠(long boots) 및 앵클부츠(ankle boots)로 선택하여 신을 수 있는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 여성은 롱부츠 또는 앵클부츠를 신는다. 대부분 롱부츠는 스커트를 입은 여성이 신으며, 앵클부츠는 바지를 입은 여성이 주로 신는다. 이와 같이, 스커트를 입었을 때에 롱부츠를 신는 이유는 스커트를 입으면 장딴지가 노출되어 피부가 거칠어질 수 있으므로, 노출된 장딴지를 덮어 보온할 수 있는 롱부츠를 신는다. 하지만 바지를 입은 상태에서 롱부츠를 신게 되면, 바지와 롱부츠가 간섭되어 옷맵시가 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지를 입었을 경우에는 앵클부츠를 신는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롱부츠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부츠(1)는 발바닥과 접하는 밑창(3)과, 발등 및 발목을 덮는 발목커버(5) 및 발목커버(5)로부터 연장되어 장딴지를 감싸는 장딴지커버부(7)를 포함하며, 밑창(3)에는 굽(9)이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밑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런 롱부츠는 발뿐만 아니라 장딴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롱부츠를 신고 다님에 있어 다리를 보온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앵클부츠는 발등과 발목을 덮는 발목커버와 밑창 및 굽으로 형성된다. 이런 앵클부츠는 바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고 다니기에적합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은 옷 또는 날씨의 조건에 따라 롱부츠 및 앵클부츠를 선택하여 신기 위해서는 롱부츠와 앵클부츠를 따로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롱부츠와 앵클부츠를 모두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구매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두 켤레의 부츠를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른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장의 수납공간이 협소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롱부츠는 그 장딴지커버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한 켤레의 부츠로 롱부츠 및 앵클부츠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장딴지커버부가 분리 가능하여 부츠의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롱부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가 결합된 부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가 결합된 부츠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200 : 부츠 3, 113 : 밑창
5, 115 : 발목커버 7, 140, 240 : 장딴지커버부
9, 119 : 굽 110 : 구두부
120, 160, 260 : 슬라이드파스너 118 : 삽입구
280 : 밴드 283 : 벨크로파스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바닥과 접하는 밑창과, 발등과 발목을 덮으며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발목커버 및,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밑창의 밑면에 고정된 굽을 구비한 부츠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발목커버의 삽입구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딴지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장딴지커버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부위가 형성되고, 그 절단된 부위를 상호 체결 및 분리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장딴지커버부는 그 일단부에 양단부가 각각 연장된 밴드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의 중간부는 절단되어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각각 부착수단이 고정되어 상기 밴드의 자유단부를 상호 부착 고정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가 결합된 부츠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00)는 크게 장딴지커버부(140)와 구두부(110)로 구분된다. 구두부(110)는 앵클부츠와 같은 형태로서, 발바닥과 접하는 밑창(113)과, 발등과 발목을 덮으며 발 삽입구(118)가 형성된 발목커버(115) 및 밑창(113)의 밑면에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 굽(119)을 포함한다.
그리고 장딴지커버부(140)는 발목 상부에서부터 무릎 밑까지를 감싸는 구조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발목커버(115)의 삽입구(118)를 감싸는 원주길이를 가지며, 이런 일단부의 반대쪽인 타단에서 일단부 쪽으로 일직선으로 절단된다.
여기에서 장딴지커버부(140)와 발목커버(115)는 일반적으로 피혁재 또는 인조피혁재로 제작되고, 밑창(115)과 굽(119)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한편, 구두부(110)와 장딴지커버부(140)에는 슬라이드파스너(120, 160)가 각각 고정되어 착용자가 구두부(110) 및 장딴지커버부(140)를 편리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게 구성된다.
장딴지커버부(140)에 고정된 제1슬라이드파스너(160)는 장딴지커버부(140)의 절단된 부위의 길이를 따라 재봉 고정되는 두 파스너(164a, 164b)와 이런 파스너(164a, 164b)를 따라 이동하면서 두 파스너(164a, 164b)를 체결 및 분리하는 슬라이더(162)를 포함한다. 즉 제1슬라이드파스너(160)는 장딴지커버부(140)를 착용하였을 때에 제1슬라이드파스너(160)는 착용자의 다리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파스너(160)의 슬라이더(162)가 상부방향 즉 무릎방향으로 두 파스너(164a, 164b)를 따라 이동하면 두 파스너(164a, 164b)는 체결되고, 슬라이더(162)가 하부방향 즉 발목방향으로 미끄러지면 두 파스너(164a, 164b)는 분리되어 장딴지커버부(140)는 벌어진다.
한편, 구두부(110)에 설치된 제2슬라이드파스너(120)는 발목커버(115)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슬라이드파스너(120)의 위치는 한 켤레의 구두부(110)에 있어 마주하는 안쪽면에 형성되되, 발목커버(115)의 상단 즉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118)에서 하부방향으로 밑창(113)이 부착된 부위까지 형성된다.
이런 제1, 제2슬라이드파스너(160, 120)의 체결 및 분리에 의해 착용자는 장딴지커버부(140) 및 구두부(110)를 편리하게 착용 및 벗을 수 있다.
한편, 장딴지커버부(140)의 하단의 원주길이는 발목커버(115)의 상단의 원주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장딴지커버부(140)의 하단이 발목커버(115)의 상단 즉 발 삽입구(118)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장딴지커버부(140)에 있어서, 두 파스너(164a, 164b) 중에 어느 한 쪽 파스너(164a)에는 장딴지커버부(140)의 안쪽면에 그 파스너(164a)의 길이방향으로 보호편(170)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보호편(170)은 두 파스너(164a, 164b)가 체결되었을 때에 두 파스너(164a, 164b)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폭을 갖고 있어, 슬라이더(162)가 이동함에 따라 장딴지의 피부가 두 파스너(164a, 164b)의 사이에 끼거나, 또는 다리의 털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부(110)에도 장딴지커버부(140)와 동일한 보호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착용관계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착용자가 본 고안의 부츠(100)를 앵클부츠의 형태로 신기 위해서는 구두부(110)의 슬라이더(122)를 하부방향을 이동시켜 발목커버(115)를 벌린 후에 발을 발목커버(115)의 삽입구(118)에 삽입한다. 그리고, 완전히 구두부(110)를 신은 후에 슬라이더(122)를 상승시켜 두 파스너(124a, 124b)를 체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부츠를 앵클부츠의 형태로 신고 다닐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부츠(100)를 롱부츠처럼 착용하기 위해서는 구두부(110)를 착용하기에 앞서 장딴지커버부(140)를 먼저 착용한다. 착용자는 우선 장딴지커버부(140)의 슬라이더(162)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딴지커버부(140)를벌린다. 그리고, 벌어진 장딴지커버부(140)에 발을 삽입하여 장딴지커버부(140)가 장딴지를 감싸도록 위치한 후에 슬라이더(162)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두 파스너(164a, 164b)를 체결한다. 그러면, 장딴지커버부(140)는 구두부(110)의 상부에 장딴지를 감싸 위치한다.
다음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두부(110)를 착용하고, 장딴지커버부(140)를 하부방향 즉 구두부(1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장딴지커버부(140)의 하단이 구두부(110)의 상단부를 감싸 위치하면서 장딴지를 감싼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를 상술한 제1실시예의 부츠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2실시예에서는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를 결속하는 밴드가 더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 및 그 유기적 결합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 및 그 결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그 구성요소에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의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딴지커버부와 구두부가 결합된 부츠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딴지커버부(240)의 하단부에는 밴드(2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밴드(280)의 양단부는 장딴지커버부(240)의 하단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밴드(280)의 중간부는 절단되어 자유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밴드(280)의 자유단부에는 벨크로파스너(283)가 각각 재봉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벨크로파스너(283)를 상호 부착하여 절단된 부분을 상호 연결한다.
아래에서는 밴드가 형성된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를 착용관계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장딴지커버부(240)를 착용한다. 그러기 위해서 착용자는 제1슬라이드파스너(260)의 슬라이더(262)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딴지커버부(240)를 벌린다. 그리고, 장딴지커버부(240)의 중공으로 발을 삽입한 후에 장딴지커버부(240)가 장딴지를 감싸도록 위치한 후에 슬라이더(262)를 상승하여 두 파스너(264a, 264b)를 체결한다. 그러면 장딴지커버부(240)는 장딴지를 감싸며, 밴드(280)는 발바닥에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벨크로파스너(283)에 의해 상호 연결된 밴드(280)의 중간부를 분리한다.
그런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두부(110)를 신는다. 그리고 밴드(280)가 구두부(110)의 밑창(113)을 감싸도록 자유단부에 고정된 벨크로파스너(283)를 상호 부착한다. 이와 같이, 밴드(280)가 구두부(110)의 밑창(113)을 감싸 고정됨으로써, 장딴지커버부(240)가 무릎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의 밴드는 중간부가 절단되고, 절단된 단부 즉 자유단부에는 벨크로파스너가 고정되어 상호 부착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중간부가절단되지 않은 밴드가 장딴지커버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는 한 켤레의 부츠로 장딴지커버부를 착용 또는 미착용함에 따라 롱부츠 또는 앵클부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는 구두부와 장딴지커버부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발바닥과 접하는 밑창과, 발등과 발목을 덮으며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발목커버 및, 발뒤꿈치와 대응하는 밑창의 밑면에 고정된 굽을 구비한 부츠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발목커버의 삽입구에 결합 및 분리되는 장딴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딴지커버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부위가 형성되고, 그 절단된 부위를 상호 체결 및 분리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딴지커버부는 그 일단부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중간부는 절단되어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각각 부착수단이 고정되어 상기 밴드의 자유단부를 상호 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KR20-2002-0034551U 2002-11-19 2002-11-19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KR200308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551U KR200308062Y1 (ko) 2002-11-19 2002-11-19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551U KR200308062Y1 (ko) 2002-11-19 2002-11-19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062Y1 true KR200308062Y1 (ko) 2003-03-19

Family

ID=4940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551U KR200308062Y1 (ko) 2002-11-19 2002-11-19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0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7311A2 (en) * 2010-08-26 2012-03-01 Linda Faye Moore Two-piece transformable boot
KR20220033114A (ko) * 2020-09-09 2022-03-16 한윤철 부츠 착탈형 롤러 스케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7311A2 (en) * 2010-08-26 2012-03-01 Linda Faye Moore Two-piece transformable boot
WO2012027311A3 (en) * 2010-08-26 2012-05-31 Linda Faye Moore Two-piece transformable boot
US8863406B2 (en) 2010-08-26 2014-10-21 Linda Faye MOORE Two-piece transformable boot
KR20220033114A (ko) * 2020-09-09 2022-03-16 한윤철 부츠 착탈형 롤러 스케이트
KR102395330B1 (ko) * 2020-09-09 2022-05-10 한윤철 부츠 착탈형 롤러 스케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646B2 (en) Athletic shoe cover
US9254015B2 (en) Non-gaiter bootleg cover
US4516336A (en) Protective overshoe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4745693A (en) Shoe with detachable sole and heel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KR100719159B1 (ko) 슬리퍼 겸용 샌들
US20040231197A1 (en) Footwear
KR200411392Y1 (ko) 덧신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US20080092408A1 (en) Two-use-shoes
US5813149A (en) Boot with rear expansion flap
KR100989358B1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200308062Y1 (ko) 장딴지커버부 분리형 부츠
KR100533544B1 (ko)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
EP0358691A1 (en) MOLDED SPORTS SHOE.
KR102430973B1 (ko) 기능성 라이너 부츠
KR200432925Y1 (ko) 덧버선
US4099341A (en) Foot warmer
KR200281382Y1 (ko) 신발 및 신발용 각반조립체
US20010025438A1 (en) Open (exposed) toe walking or running shoe
KR200156876Y1 (ko) 신발
KR200364776Y1 (ko) 신발커버
KR0134891Y1 (ko) 샌들
WO2002076254A1 (en) Overshoe structure useable in combination with a liner of a sports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