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34Y1 - 복합 보온병 - Google Patents

복합 보온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34Y1
KR200281334Y1 KR2020020009830U KR20020009830U KR200281334Y1 KR 200281334 Y1 KR200281334 Y1 KR 200281334Y1 KR 2020020009830 U KR2020020009830 U KR 2020020009830U KR 20020009830 U KR20020009830 U KR 20020009830U KR 200281334 Y1 KR200281334 Y1 KR 200281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hermos
lid
compound
different solu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필
Original Assignee
손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필 filed Critical 손영필
Priority to KR2020020009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3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용액을 보온할 수 있고, 간단히 그 내용물을 확인 할 수 있는 복합 보온병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서로 다른 용액이 분활되어 저장되도록 분할판이 내측에 설치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서로 다른 용액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배출장치가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서로 다른 용액을 하나의 보온병에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의 종류와 저장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보온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보온병{compound thermos bottle }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용액을 보온할 수 있고, 그 내용물을 간단히 확인 할 수 있는 복합 보온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용액의 보온이 가능하고, 용기안 내용물의 종류와 현재 저장되어 있는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는 복합 보온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온병은, 용기내에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보온하면서 보관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이 세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병 또는 용기의 개구부를 견고히 틀어 막게 되어 있었으며,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을 인출시킬 경우에는 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용기를 사용할 때 마다 뚜껑을 일일히 열어야 하고, 사용후에는 다시 뚜껑을 용기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 뚜껑을 용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그 밀폐가 완전하게 되지 못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폐단이 있고, 그 조작성에 있어 불편이 많이 발생하고, 매번 물을 인출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야 함으로 개봉시에 빠져나가는 열손실 또한 크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내용물의 전체량을 알아보거나 내용물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온병 전체를 흔들어 보거나 직접 뚜껑을 열어 보아 내용물을 확인 해야만 했다. 그러나 보온병을 흔드는 과정에서 보온병에 손상이 가거나, 직접 열어 확인하기 위해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보온효과가 그만큼 떨어지고, 설사 확인한다하더라도 보온병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량을 정확하게 알기에는 매우 난해한 점이 발생하였다.
더하여, 종래의 보온병은 한 용기에 한가지 종류의 액체만을 담을 수 밖에 없어, 부득이 이질의 액체를 보온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용기가 필요하여서 운반상에서나 보관상에서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보관상, 사용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를 분할 하여 다수의 저장공간을 형성시켜 이질의 용액도 한 용기 안에서 보온 가능토록 하고, 용기 내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의 종류와 현재의 량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복합 보온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온병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온병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온병을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온병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온병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온병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뚜껑 130...버튼
140...마개 160...배출구
200...용기 230...분할판
240...표시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질의 용액이 저장되도록 분할판이 내측에 설치되어 분할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이질의 용액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토록 배출장치가 내측에 설치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한 용기에 다수의 이질 용액을 저장하여 보온할 수 있는 복합 보온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배출장치는, 이질의 용액을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에 연결되어 원터치에 의해 상,하 이동이 고정되는 노크장치 및 상기 노크장치를 작동토록 압지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용기에는, 내용물의 종류와 저장량을 알 수 있도록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표시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뚜껑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상기 분할판을 압입하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 부재가 하부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뚜껑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하나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부 일측에 하나의 배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뚜껑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의 배출로를 따라 배출되도록 상부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용액를 분할 하여 보온할 수 있는 용기(200)와, 이 용기(200)와 결합되어 서로 다른 용액을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 시키는 배출장치(150)가 내측으로 설치되는 뚜껑(100)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용기(200)는, 안에 넣은 물 등과 같은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유리 이중벽 중간에 공기를 빼어 공기에 의한 열전도를 방지토록 진공으로 하고, 그 이중벽의 내벽을 방사에 의한 열전도를 방지토록 도금으로 형성된다. 이로인해 전열 및 대류를 방지하고, 복사열을 방지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온도가 높을 때에는 외계로부터의 복사를 반사하여 이 열의 흡수를 감소시키고 외계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내용물에서의 복사를 반사하여 내부로 되돌려 보내 외부로 방사선의 형태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20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용기(200)내에 저장된 내용물의 종류 및 내용량을 알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표시창(240)이 형성된다. 이 표시창(240)은 최소한의 면적을 갖으면서 각각의 용액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용기(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0)에는, 분할판(230)에 의해 분활되어 서로 다른 용액을 담을 수 있는 제1수납부(210)와 제2수납부(220)가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판(230)은, 분할 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용기(200)의 내측에 용기(200)의 내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200)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100)과 회전 결합 가능토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100)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뚜껑(100)은, 상기 용기(200)의 상부 나사산에 맞물리며 회전결합되고, 상기 용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서로 다른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150)가 내부에 이질의 용액에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출장치(150)에 의해 용기(200)속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60)가 외측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도 4 또는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하나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부 일측에 하나의 배출구(160)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에는, 서로 다른용액이 각각의 배출로 따라 배출되도록 상부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출구(160)가 형성되어도 좋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0)에는 다수의 다른 용액을 저장가능토록 다수개의 분할판(230)에 의해 분할 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각각의 배출장치(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160)는, 하나의 배출구(160)을 통해 배출토록 하여도 좋고, 각각의 배출장치(150)에 연결된 다수개의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토록 구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배출장치(150)는, 하나의 배출장치(150)와 두개의 배출구(160)를 갖는 뚜껑(100)으로 구성시에는, 상기 하나의 배출장치(150)를 개방하고 일측의 배출구(160)를 통해 하나의 용액을 방출토록 기울이면, 저장되어 있던 타측 용액의 수면층이 타측의 배출구(160)를 넘어서게 됨으로 원하는 용액과 함께 다른 용액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일측의 용액을 방출시에는 타측의 용액을 막을 수 있도록 각각의 배출장치(150)가 상기 뚜껑(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배출장치(150)는, 마개(140)와 노크장치(120) 및, 버튼(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마개(140)는 용기(200)속에 저장되어 있는 용액을 개폐가능토록 상기 노크장치(120)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130)은 손가락에 의해 압지 가능토록 상기 뚜껑(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노크장치(120)을 작동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크장치(120)는, 뚜껑(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내돌기(123)와 상기 안내돌기(123)를 따라 이동하는이동부재(124)와 작동부재(125)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안내돌기(123)는, 제1 안내돌기(123a)와 제2 안내돌기(123b)로 구성되는데, 제1 안내돌기(123a)는 외통의 내면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안내돌기(123b)는 상기 제1 안내돌기(123a)보다 폭이 일정간격 늘어나고 길이는 소정길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100)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소정 개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안내돌기(1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124)는, 하부 외주연으로 상기 안내돌기(1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124a)가 형성되며, 저단에는 상기 안내돌기(123)와 동일한 갯수의 삼각형상의 톱니(126a)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126a)는 삼각형상의 꼭지점이 상기 제1 안내돌기(123a)와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24)의 이동돌기(124a) 중심선이 상기 톱니(126a)의 중심선과 소정의 편심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125)는, 상기 안내돌기(123)의 톱니(126a)와 접하도록 상단에 톱니(126b)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안내돌기(123) 갯수의 반에 해당하는 갯수의 노크돌기(125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100)의 저부에 형성되는 회전부재(170)는, 상기 뚜껑(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판(230)과 밀착 고정되어 회전가능토록 스프링(180)을 개재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회전부재(170)와 분할판(230)이 탄성 압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170)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100)을 용기(200)에서 분리하여 서로 다른 용액을 용기(200)내에 형성된 분할 공간에 각각 저장하고, 뚜껑(100)을 용기(200)와 회전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용기(200)의 내측에 형성된 분할판(230)이 상기 뚜껑(100)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70)와 맞물리면서 압입되어 밀착토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뚜껑(100)과 용기(200)가 회전결합되는 끝단부와 회전부재(170)에는 용액이 외부로 유출 되지 않토록 패킹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 용액과 접하여 뚜껑(100)이나 외부로 용액이 유출 가능한 부분에는 패킹처리가 선택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용기(200)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질의 용액을 인출하고 싶을 때에는, 인출하고 싶은 용액을 상기 용기(200)의 일측에 형성된 표시창(240)을 보고 확인한후, 상기 뚜껑(100)의 상단에 설치된 버튼(130)을 누르면 배출장치(150)에 의해 마개(140)가 열리어 개방되는 상태가 되어 원하는 용기를 인출하고, 인출 후에는 상기 버튼(130)을 재차 누름으로써 상기 마개(14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밀폐상태로 전환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한 가지 용액 뿐 아니라 이질의 다양한 용액을 보관 및 보온하여 필요시 이 용액을 표시창(240)을 보고 확인하여 간편하게 누르는 동작으로 인출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보온병에 서로 다른 용액을 보온할 수 있고 보온병 속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종류와 현재량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간편한 조작으로 수용된 용액을 인출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이질의 용액이 저장되도록 분할판(230)이 내측에 설치되어 분할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200)와,
    상기 용기(200)의 상부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용기(200)에 저장된 이질의 용액이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토록 배출장치(150)가 내측에 설치되는 뚜껑(1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150)는, 이질의 용액을 개폐하는 마개(140)와 상기 마개(140)에 연결되어 원터치에 의해 상,하 이동이 고정되는 노크장치(120) 및 상기 노크장치(120)를 작동토록 압지되는 버튼(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0)에는, 내용물의 종류와 내용량을 알 수 있도록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표시창(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에는, 용기(200)내 이질의 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70)가 스프링(180)을 개재하여 분할판(230)과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하나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부 일측에 하나의 배출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의 배출로를 따라 배출되도록 상부 외측 둘레에 다수개의 배출구(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온병.
KR2020020009830U 2002-04-02 2002-04-02 복합 보온병 KR200281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30U KR200281334Y1 (ko) 2002-04-02 2002-04-02 복합 보온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30U KR200281334Y1 (ko) 2002-04-02 2002-04-02 복합 보온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928A Division KR20030079122A (ko) 2002-04-02 2002-04-02 복합 보온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34Y1 true KR200281334Y1 (ko) 2002-07-13

Family

ID=7307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30U KR200281334Y1 (ko) 2002-04-02 2002-04-02 복합 보온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872A (zh) * 2018-09-25 2021-03-23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试验方法、分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872A (zh) * 2018-09-25 2021-03-23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试验方法、分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11B1 (ko) 토출용기
TWM517558U (zh) 分離容納多種霜類化妝品之具備多層隔室之化妝品容器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KR200281334Y1 (ko) 복합 보온병
KR20030079122A (ko) 복합 보온병
KR100602418B1 (ko) 용기마개
EP2841885B1 (en) Dosing device
KR20040074164A (ko) 내용물 배출구조를 개선시킨 자동혼합 화장품 용기
KR102079732B1 (ko) 기능성 용기
RU2276049C2 (ru) Пробка пам - прибор автономного миксинга
CN214216775U (zh) 一种瓶盖
CN216036362U (zh) 定量盖及包装瓶
KR102567570B1 (ko) 화장품 용기
KR970005291Y1 (ko) 조미료 용기
CN210094659U (zh) 一种旋转开合的管状瓶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336419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KR890004737Y1 (ko) 이종 내용물 수장용기의 뚜껑
KR200387252Y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용기
KR200270363Y1 (ko)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51956Y1 (ko) 공기통로가 형성된 용기
JP2008074442A (ja) 分包容器
JP4013039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KR860000881Y1 (ko) 액체용기의 배출장치
KR200210014Y1 (ko) 액상 내용물 일시 저장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