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63Y1 -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63Y1
KR200270363Y1 KR2020010032285U KR20010032285U KR200270363Y1 KR 200270363 Y1 KR200270363 Y1 KR 200270363Y1 KR 2020010032285 U KR2020010032285 U KR 2020010032285U KR 20010032285 U KR20010032285 U KR 20010032285U KR 200270363 Y1 KR200270363 Y1 KR 200270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pening
container
ja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진
안종원
Original Assignee
최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진 filed Critical 최희진
Priority to KR202001003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63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있어서 액체 화장품의 토출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회전압출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서 주로 고가인 고기능성 화장품 용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화장품 용기는 용기 몸통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조립되며 내면에 나선요홈을 갖는 원통부를 일체로 구비한 회전체의 회전으로 나선요홈에 돌기가 끼워진 압축부재가 주름구조의 내용물 수용용기를 밀어 올리리게 되면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으로 탄지된 개폐판이 열리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고 회전체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개폐판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내용물 토출공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용기내부는 항시 에어리스상태가 되어 내용물의 부패나 변질을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s case with Rotate pressing out structure}
본 고안은 크림상태의 액체 화장품이 수용된 용기 내부로는 근본적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압출구조에 의하여 필요량 만큼의 내용물만 토출된 다음 자동적으로 개폐변에 의하여 토출공이 차단되도록 하는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화장품이 수용된 용기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화장품을 변질되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고기능성의 화장품일 경우 외부공기의 유입은 빠른 시간 내에 화장품을 변질 되게 하는 것이다. 고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순수자연물질을 주 원료로 제조되고 있으며 방부제등의 사용이 극히 제안됨으로서 고기능성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기밀성이 떨어지거나 화장품이 토출이나 유출될때 외부공기가 쉽게 유입되거나 이물질의 침입이 쉽게 이루워지게 됨으로 변질의 우려가 높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압축펌핑작용에 의한 에어리스 타입의 화장품용기가 많이 알려지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 마모나 수축에 의하여 기밀성이 떨어짐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이나 이물질의 침투로인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야기시키고 펌핑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정량이 토출되도록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필요이상의 량이 토출되었을 경우 버려야 하며 적은량이 토출되었을 경우 다시 토출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화장품 용기의 토출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필요한 량 만큼의 내용물을 임의로 토출시킬 수가 있으며 내용물을 토툴시키기 위한 조작이 끝나면 즉시 개편판이 토출구를 폐쇄시키므로서 공기의 유입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되게 하는 것과 용기내부에는 에어리스 상태가 완벽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며 구조의 간소화와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요홈 (120)돌출턱
(130) 돌출턱 (140) 내통 (150)(150') 가이드통로
(200) 고정부재 (210) 상향단관 (220) 돌출턱
(300) 내부캡 (310) 호형요입면 (320) 내용물 토출공
(320) 개폐면 (330) 하향단관
(400) 회전체 (410) 나선요입홈 (420) 원통부
(500) 내용물 수용용기 (510) 주름구조 (520) 호형융출부
(600) 압축부재 (610) 호형받침면 (620)(620') 돌기
(700) 개폐판 (710) 조립턱 (720) 내용물 유출통로
(730) 연결대 (740) 개폐면
(800) 받침부재 (810) 조립턱 (820) 내용물유출통로 (830) 유출통로(900) 코일스프링
상부주벽 상하부에 고정부재와 내부캡이 조립되는 요홈(110)과 돌출턱(120) 및 하부주벽에는 회전체를 조립하는 돌출턱(130)이 돌설되며 내측으로는 대향되는 방향에 압축부재의 가이드통로(150)(150')가 형성된 내통(140)을 구비한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요홈(110)에 조립되며 중앙부에 돌출된 상향단관(210)과 주벽에 내부캡 조립돌출턱(220)을 돌설한 고정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돌출턱(120)과 고정부재의 돌출턱(220)에 조립되며 상면부가 호형요입면(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요입면 중앙부에는 경사진 개폐면(320')을 갖는 내용물 토출공(320)이 천공되며 중앙부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00)에 형성된 단관(210)과 결합되는 하향단관(330)을 갖는 내부캡(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주벽 돌출턱(130)에 조립되며 내면에 나선요입홈 (410)이 형성된 원통부(420)가 상기 하우징(100)의 벽체와 내통(140)으로 끼워지는 회전체(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과 고정부재(200)의 플렌지 사이에 고정되며 주벽이 신축가능토록 주름구조(510)를 가지며 저면에 내측을 향해 호형융출부 (520)가 형성된 내용물 수용용기(500)와 상기 내용물 수용용기(500)의 저면에 형성된 호형융출부(520)를 받쳐주는 호형받침면(6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로 (150)(150')에 끼워지는 돌기(620)(620')와 대향되게 형성된 압축부재(600)와 상기 내부캡 (300)의 화장품토출공(320)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받침부재 조립턱(710)이 형성되고 내용물 유출통로(720)를 갖는 다수의 연결대(730)와 하부주벽이 경사진 개폐면(740)을 형성한 개폐판(700)과 상기 개폐판(700)의 연결대(730)에 형성된 조립턱(710)에 결합되는 조립턱(810)을 갖는 연결대(830) 사이에 내용물유출통로 (820)가 형성된 받침부재(800)의 주벽에 개폐판 폐쇄기능을 갖는 코일스프링(900)을 탄지하여 개폐판 (700)의 연결대(730)에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000)은 내부캡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의 상태는 내용물 수용용기(500)에 액상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며 내부캡(300)의 중앙부에 천공된 내용물 토출공(320)에 받침부재(800)와 조립되어 장착된 개폐판(700)의 개폐면(740)이 내용물 토출공(320)의 개폐면(320')에 코일스프링(900)의탄발력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로 폐쇄되어 공기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며 토출공(320)의 개폐면(320') 개폐판(700)의 개폐면(74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폐쇄시에 밀착면적이 넓어서 폐쇄효과가 높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자 할 때는 회전체(400)의 하부주벽을 잡고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400)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부(412)가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통부(412) 내면에 형성된 나선요입홈(410)에 가이드 통로(150)(150')를 관통하여 삽입된 압축부재(600)의 돌기(620) (620')가 나선요입홈 (410)에 의해 압축부재(600)와 함께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내용물수용용기(500)를 밀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부재(600)의 상승압력에 의해 내용물 수용용기(500)의 주름구조(510)가 수축되면서 압력을 받은 내용물이 개폐판의 내용물 유출통로(720)와 받침부재의 내용물 유출통로(820)를 통과하면서 개폐판(700)에 압력을 가해 개폐판 (700)이 도 2의 상태로 열리면서 개폐판(700)의 개폐면(740)과 내용물 토출공(320)의 개폐면(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내용물이 토출되며 필요한 량 만큼의 내용물이 토출된 후 회전체(40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내용물의 토출이 중단됨과 동시에 받침부재(800)의 상승으로 수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900)이 탄발되면서 개폐판(700)이 다시 내용물 토출공(320)을 폐쇄시키므로서 내부캡(300)의 평면부에 형성된 호형요입면(310)에 토출된 내용물이 모이게 되어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체(4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토출량의 과다로 인한 손실을 막을 수가 있으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용기(500)가 주름구조(510)로 형성되어 있어서 수축작용이 원활하며 내용물 수용용기(500)의 안쪽으로 돌출된 호형융출부(520)의 저면에 형성된 호형받침면(610)이 밀착되어 있어서 안정된 상태로 내용물 수용용기(50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압축부재(600) 양쪽에 형성된 돌기(620)(620')가 가이드 통로(150)(150')를 통해 나선요입홈(41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회전체(400)가 회전되지 않는한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 내용물이 필요없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 본 고안은 개폐판이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내용물 토출공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므로서 외부공기나 이물질의 칩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용기내부가 항시 에어리스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용물의 부패나 변질을 막을 수가 있게 되어 고기능성의 화장품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며 회전체를 회전시켜 내용물 수용용기의 수축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됨으로 회전체의 회전 정도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을 임으로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내용물의 낭비가 없어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주벽 상하부에 고정부재와 내부캡이 조립되는 요홈(110)과 돌출턱(120) 및 하부주벽에는 회전체를 조립하는 돌출턱(130)이 돌설되며 내측으로는 대향되는 방향에 압축부재의 가이드통로(150)(150')가 형성된 내통(40)을 구비한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요홈(110)에 조립되며 중앙부에 돌출된 상향단관 (210)과 주벽에 내부캡 조립 돌출턱(220)을 돌설한 고정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돌출턱(120)과 고정부재의 돌출턱(220)에 조립되며 상면부가 호형요입면(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요입면 중앙부에는 경사진 개폐면 (320')을 갖는 내용물 토출공(320)이 천공되며 중앙부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 (200)에 형성된 단관(210)과 결합되는 하향단관(330)을 갖는 내부캡(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주벽 돌출턱(130)에 조립되며 내면에 나선요입홈 (410)이 형성된 원통부(420)가 상기 하우징(100)의 벽체와 내통(140)으로 끼워지는 회전체(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과 고정부재(200)의 플렌지 사이에 고정되며 주벽이 신축가능토록 주름구조(510)를 가지며 저면에 내측을 향해 호형융출부 (520)가 형성된 내용물 수용용기(500)와 상기 내용물 수용용기(500)의 저면에 형성된 호형융출부(520)를 받쳐주는 호형받침면(6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로 (150)(150')에 끼워지는 돌기(620)(620')와 대향되게 형성된 압축부재(600)와 상기 내부캡 (300)의 화장품토출공(320)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받침부재 조립턱(710)이 형성되고 내용물 유출통로(720)를 갖는 다수의 연결대(730)와 하부주벽이 경사진개폐면(740)을 형성한 개폐판(700)과 상기 개폐판(700)의 연결대(730)에 형성된 조립턱(710)에 결합되는 조립턱(810)을 갖는 연결대(830) 사이에 형성되고 내용물유출통로(820)가 형성된 받침부재(800)의 주벽에 개폐판 폐쇄기능을 갖는 코일스프링 (900)을 탄지하여 개폐판 (700)의 연결대(730)에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10032285U 2001-10-23 2001-10-23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7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85U KR200270363Y1 (ko) 2001-10-23 2001-10-23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85U KR200270363Y1 (ko) 2001-10-23 2001-10-23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224A Division KR100435793B1 (ko) 2001-10-23 2001-10-23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63Y1 true KR200270363Y1 (ko) 2002-04-03

Family

ID=7305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85U KR200270363Y1 (ko) 2001-10-23 2001-10-23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94A2 (ko) * 2011-05-25 2012-11-29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94A2 (ko) * 2011-05-25 2012-11-29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WO2012161494A3 (ko) * 2011-05-25 2013-03-21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KR101259624B1 (ko) 2011-05-25 2013-04-29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JP3635594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用ディスペンサー
EP1407976B1 (en) Container-applicator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WO2005087618A1 (en) Dispenser with sealed dispensing valve unit
RU2001105944A (ru) Клапан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20030033438A (ko)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94064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RU2225817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KR20090003810U (ko) 액상화장품용기
KR200270363Y1 (ko)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30102280A (ko)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20120077852A (ko) 튜브배출구내 공기역류방지기능을 갖춘 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200297638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KR200242036Y1 (ko) 회전식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KR200288441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451865B1 (ko) 에어리스 펌프타입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구조
JPH05170256A (ja) 容器の注出口構造
KR102222292B1 (ko)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102387917B1 (ko) 회전 개폐식 밀폐 구조를 갖는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KR102592674B1 (ko) 체크 밸브형 노즐헤드 구조의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