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38Y1 -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38Y1
KR200297638Y1 KR2020020020036U KR20020020036U KR200297638Y1 KR 200297638 Y1 KR200297638 Y1 KR 200297638Y1 KR 2020020020036 U KR2020020020036 U KR 2020020020036U KR 20020020036 U KR20020020036 U KR 20020020036U KR 200297638 Y1 KR200297638 Y1 KR 200297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ontainer
discharge structure
contents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20020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38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조작 노브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 사용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1)를 구성하되, 용기본체(10)내에 피스톤(40)을 내장하고, 상기 피스톤(40)을 나사관(26)으로 회전시켜 내용물(2)을 상기 나사관(26)의 배출통로(21)와 상부 캡(30)의 배출구(31)를 통해 배출시키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으로는 연결편(12)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캡(30)과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관(26)의 상부에는 회전체(20)를 구성하는 조작 노브(22)를 형성하여서 된 구성이다.

Description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receptacle having discharge structure of rotary type}
본 고안은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에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조가 설치되며, 이러한 배출구조는 용기 안에 담겨진 내용물을 펌핑하여 일정량씩 용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배출구조로는 용기의 상부로 위치된 상부 캡을 누르는 방식이 대부분이고, 이 상부 캡의 누름 조작에 의해 지지체 내부의 실린더에 설치된 피스톤이나 용기본체 내부의 나 사관에 설치된 피스톤 조작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상부 캡의 누름식 배출장치의 경우에는 실린더 내부나 용기본체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조작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한 항상 상부 캡을 눌러 내용물을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배출 누름 동작이 불편하고 원활하지 못하다는 구조상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노브를 간편하게 돌려주는 것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배출 조작되도록 한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예의 회전식 배출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3은 도1의 III-III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회전식 배출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 반 단면도;
도5는 도4의 V-V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회전체 조작용 커버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1: 하부 캡 12: 연결편
20: 회전체 21: 배출통로
22: 조작 노브 23: 미끄럼 방지돌기
24: 지지단관 26: 나사관
30: 상부 캡 31: 배출구
40: 피스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기술적 특징은,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되, 용기본체내에 피스톤을 내장하고, 상기 피스톤을 나사관으로 회전시켜 내용물을 상기 나사관의 배출통로와 상부 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으로는 연결편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관의 상부에는 회전체를 구성하는 조작 노브를 형성하여 된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의 조작 노브 외주 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의 조작 노브와 연결편의 외주 면으로 상기 조작 노브의 미끄럼 방지돌기와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내주 면으로 형성된 회전체 조작용 커버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회전식 배출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1)의 조립 측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품 내용물(2)이 담겨지고 하단부가 하부 캡(11)으로 밀폐되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상부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상부로 연결설치되는 상부 캡(30) 및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조작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 면을 따라 이동 조작되는 피스톤(40)으로 구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부로는 상기 상부 캡(30)을 연결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편(1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20)의 내부 중앙으로는 배출통로(21)가 구비되고, 상부의 원통형의 조작 노브(22)로는 미끄럼 방지돌기(23)가 외주면 전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 상면으로는 상부 캡(30)의 중앙 내 측으로 삽설 지지되는 지지단관(2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피스톤(40)이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관(2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돌기(23)는 그 기능상 톱니 형태이거나 또는 래칫 형태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회전 조작시 조작 노브(22)와 접촉되는 손가락과의 마찰이 발생되어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부 캡(30)으로는 내용물을 최종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통로(31)는 도1과 같이 용기본체(10)의 연결편(12)과 회전체(20)의 상부로 연결 설치될 때 회전체(20)의 배출통로(21)와 상호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용기본체(10)의 연결편(12)은 도3과 같이 대향 형성하고 그 사이에 원통형의 조작 노브(22)가 위치되도록 하여 내용물(2)의 배출 조작시 조작 노브(22)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조작 노브(22)의 회전 조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를 도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한 손으로 잡고 그 상부로 설치된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를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주면 이와 동시에 그 하부로 연장 형성된 나사관(26)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고, 나사관(26)의 회전 조작에 의해 피스톤(40)이 용기본체(10)의 내주 벽면을 타고 점진적으로 하강 이동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2)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40)의 압축 이동에 의해 내용물(2)은 회전체(20)의 배출통로(21)와 상부 캡(30)의 배출공(31)을 통해 외부로 배출 조작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용기본체(10)의 내주벽면과 피스톤(40)은 타원체 이거나 아니면 나사관(26)의 회전 조작시 피스톤(40)이 함께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회전체(20)의 회전 조작시 이의 상부로 설치된 상부 캡(30)은 용기본체(10)의 상면으로 형성된 연결편(12)에 연결 지지되고, 그 내부 중앙으로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상면으로 형성된 지지단관(24)이 회전 가능하게 유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연결 지지되고, 또한 배출구(31)는 상시 회전체(20)의 배출통로(21)와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20)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용기본체(10)의 내용물(2)이 피스톤(40)의 이동에 의해 용기 외부로 배출 조작되는 것이며, 회전체(20)의 회전을 멈추면 피스톤(40)의 이동이 정지되어 내용물(2)은 배출이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4 내지 도6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와 비교할 때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외주 면으로 별도의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구성의 차이가 없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의 내주 면으로는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외주 면으로 형성된 톱니 또는 래칫 형태의 미끄럼 방지돌기(23)와 동일한 형태의 걸림돌기(123)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는 탄력적인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며, 타원형 형태로 자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연한 합성수지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도5와 같이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외주 면으로 설치되는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는 중앙의 원통형 조작 노브(22)를 중심으로 양측의 연결편(12)에 대하여 타원형태로 설치되고 그 내주 면의 걸림돌기(123)는 조작 노브(22)의 중앙 센터부분의 미끄럼 방지돌기(23)와만 상호 걸림 조작되어 회전체(20)를 회전 조작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4와 같이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외주 면으로 타원 설치된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를 일 방향으로 돌려주면 그 내주 면의 걸림돌기(123)가 조작 노브(23)의 해당 미끄럼 방지돌기(23)와 상호 걸림되어 회전체(2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회전 조작되는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는 양측의 연결편(12)에 가이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체(20)의 회전 조작으로 하부의 나사관(26)이 회전되고 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나사 결합된 피스톤(40)이 용기본체(10)의 내주 벽면을 티고 점진적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2)을 압축하게되고, 피스톤(40)의 압축력에 의해 내용물(2)이 회전체(20)의 배출통로(21)와 상부 캡(30)의 배출구(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며,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의 회전 조작을 정치하면 회전체(20)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내용물(2)의 배출 조작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장품 내용물의 배출구조를 종래 누름식에서 회전식으로 개선함으로서 배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내용물의 배출 조작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회전식 배출구조는 용기본체(10)의 내부로는 나사관(26)의 회전 조작시 피스톤(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스톤 회전 방지봉이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1)를 구성하되, 용기본체(10)내에 피스톤(40)을 내장하고, 상기 피스톤(40)을 나사관(26)으로 회전시켜 내용물(2)을 상기 나사관(26)의 배출통로(21)와 상부 캡(30)의 배출구(31)를 통해 배출시키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으로는 연결편(12)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캡(30)과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관(26)의 상부에는 회전체(20)를 구성하는 조작 노브(22)를 형성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 외주 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돌기(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의 조작 노브(22)와 연결편(12)의 외주 면으로 상기 조작 노브(22)의 미끄럼 방지돌기(23)와 대응하는 걸림돌기(123)가 내주면으로 형성된 회전체 조작용 커버(122)를 더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20020036U 2002-07-03 2002-07-03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97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36U KR200297638Y1 (ko) 2002-07-03 2002-07-03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36U KR200297638Y1 (ko) 2002-07-03 2002-07-03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38Y1 true KR200297638Y1 (ko) 2002-12-12

Family

ID=7312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036U KR200297638Y1 (ko) 2002-07-03 2002-07-03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3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99B1 (ko) 2009-04-30 2011-05-27 (주)연우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200455996Y1 (ko) 2009-10-16 2011-10-07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WO2012026626A1 (ko) * 2010-08-23 2012-03-01 (주)연우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200459841Y1 (ko) * 2010-07-09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101399651B1 (ko) 2012-03-07 2014-05-27 (주) 이루팩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CN110123016A (zh) * 2019-05-27 2019-08-16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按压液体化妆品容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99B1 (ko) 2009-04-30 2011-05-27 (주)연우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200455996Y1 (ko) 2009-10-16 2011-10-07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0459841Y1 (ko) * 2010-07-09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WO2012026626A1 (ko) * 2010-08-23 2012-03-01 (주)연우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101399651B1 (ko) 2012-03-07 2014-05-27 (주) 이루팩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CN110123016A (zh) * 2019-05-27 2019-08-16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按压液体化妆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4189B2 (ja) 物質特に液体リップスティックをパッケージングし分与する装置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US7309184B2 (en) Dispenser for fluid materials
KR200416565Y1 (ko) 겔상 화장조성물 용기
CN2210160Y (zh) 流体容器塞子
KR200297638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2004043023A (ja) 収容および分与装置に取り付けるための、可動性カニューレを備えた分与キャップ
KR200370575Y1 (ko)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US20110033222A1 (en) Tube type cosmetics case
US20120085788A1 (en) Vacuum Cream Container that is Operable by Rotation to Squeeze Cream Outward
KR200288441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18017691A1 (en) Telescoping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 product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0435793B1 (ko)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200439643Y1 (ko)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JP2001299445A (ja) クリーム押出容器
KR200388109Y1 (ko)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구조
KR200367724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KR101026270B1 (ko) 펌핑 잠금장치
US6655550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KR200242036Y1 (ko) 회전식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KR200288440Y1 (ko)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KR930005398Y1 (ko) 화장용 크림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