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40Y1 -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40Y1
KR200288440Y1 KR2020020007599U KR20020007599U KR200288440Y1 KR 200288440 Y1 KR200288440 Y1 KR 200288440Y1 KR 2020020007599 U KR2020020007599 U KR 2020020007599U KR 20020007599 U KR20020007599 U KR 20020007599U KR 200288440 Y1 KR200288440 Y1 KR 200288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tation
container body
cont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20007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40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본체나 피스톤의 구조변경 없이 나사관의 회전 조작으로 이동조작되는 피스톤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내용물의 압축 조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물(102)이 담겨지는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 조작하기 위한 배출장치(120)와, 상기 용기본체(110) 내부로 연장 설치된 나사관(122)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 조작되면서 내용물(102)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13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로는 상기 나사관(122)의 회전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피스톤(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이 설치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rotation from piston in cosmetic dispenser}
본 고안은 액상 또는 겔 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압출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나사관을 따라 이동될 때 이의 유동 및 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에 담겨진 액상 또는 겔 상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사용된다. 이러한 피스톤은 배출장치의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배출 조작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압축시키거나 또는 화장품 용기 내부에 직접 설치되어 배출 조작시 나사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용기의 내벽 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용기 내부에 피스톤을 직접 설치하여 나사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압축시키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압출이 용이하고 확실하지만 피스톤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서, 그 예를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용기본체(10)에 누름식 배출장치(20)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1)의 일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내부에 담겨진 내용물(2)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30)이 배출장치(20)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연계 설치된 나사관(22)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화장품 용기(1)의 경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배출장치(20)를 누름 조작하면 나사관(22)이 회전 조작되고 동시에 이에 장착된 피스톤(30)이 나사관(22)의 회전 조작에 의해 하강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압축 시키게되고, 이 피스톤(30)의 압축력에 의해 용기본체(10) 내의 내용물(2)이 나사관(22)과 배출장치(20)의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 조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화장품 용기(1)의 경우, 피스톤(30)이 나사관(22)의 회전 조작에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용기본체(10)의 내 벽면과 피스톤(30)이 모두 원형일 경우에는 피스톤(30)이 나사관(2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어서 내용물(2)의 압축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종래에는 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 벽면과 피스톤(30)의 형상을 정 원형으로 하지 않고 회동 방지면(12)(32)을 대응 형성하여 내용물(2) 배출 조작시 피스톤(30)이 나사관(22)을 따라 함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용기본체(10)와 피스톤(30)에 회동 방지면(12)(32)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은 매우 정밀한 작업으로 제품의 원가의 상승을 가져올 뿐 아니라 피스톤(30)의 유동이나 회전을 확실하게 잡아주기도 힘들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본체나 피스톤의 구조변경 없이 나사관의 회전 조작으로 이동 조작되는 피스톤의 유동이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내용물의 압축 조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
도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예의 피스톤 회전방지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발췌 사시도;
도5는 도3의 V-V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피스톤 회전방지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화장품 용기 102: 내용물
110: 용기본체 112: 하부 캡
113: 커버판 120: 배출장치
122: 나사관 130: 피스톤
140: 피스톤 회전 방지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부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 조작하기 위한 배출장치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연장 설치된 나사관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 조작되면서 내용물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는 상기 나사관의 회전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피스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피스톤 회전 방지봉을 설치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회전 방지봉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방지구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로서, 화장품 용기(100)의 용기본체(110)의 상부로는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102)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00)에 적용되는 배출장치(120)는 용기본체(110)내의 내용물(102)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특정의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름식 구조이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식 배출장치의 사용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용기본체(110)의 내부로는 배출장치(120)와 연계되어 회전 조작되는 나사관(122)이 연장되어 있고, 이 나사관(122)으로는 내용물(102)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130)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용기본체(110)의 내주 벽면과 피스톤(130)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회동 방지면을 갖는 것이 아니라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나사관(122)에 결합된 피스톤(130)은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설치된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바, 여기서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사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은 나사관(122)에 결합된 피스톤(130)이 나사관(122)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되지 않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5와 같이 나사관(122)을 중심으로 어느 일 측으로만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을 설치하더라도 나사관(122)의 회전 조작시 피스톤(130)은 해당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다수 개를 균등 설치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도4와 같이 피스톤(130)으로는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의 결함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공(132)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용기본체(110)의 하단을 밀폐하는 하부 캡(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도6과 같이 도3의 하부 캡(112)과는 별도로 하부 캡(112)에 관통공(112a)을 형성하고 이에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을 관통 설치하며, 커버판(113)으로 받침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10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의 내용물(102)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 사용하기 위하여 도3과 같이 용기본체(110) 상부로 설치된 배출장치(120)를 누르면 이 배출장치(12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용기본체(110) 내부로 연장 설치된 나사관(122)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
그리고 나사관(122)의 회전에 의해 이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130)이 서서히 하강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압축시키게 되는 데 이 때 피스톤(1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에 관통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관(122)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에 의해 원통형의 용기본체(110) 내주 벽면을 따라 수직적으로만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본체(110)의 내주벽면과 피스톤(130)이 원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더라도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에 의해 피스톤(130)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내용물(102)의 압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나사관(122)을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130)은 용기본체(110)의 내용물(102)을 압축시키기 위하여 도3과 같이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을 따라 하강 이동가능 함은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용기본체(110)의하부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승강 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피스톤(130)의 승강 구조의 경우에는 단순히 하강 구조에 적용되는 나사관(122)의 나선 방향만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면 되고 나사관(122)의 상단부에 내용물(102)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 만을 형성하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본체나 피스톤을 원형 형태로 제조하더라도 피스톤이 나사관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3)

  1. 내용물(102)이 담겨지는 용기본체(110)와, 이 용기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 조작하기 위한 배출장치(120)와, 상기 용기본체(110)내부로 연장 설치된 나사관(122)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 조작되면서 내용물(102)을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13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로는 상기 나사관(122)의 회전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피스톤(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을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 캡(112)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회전 방지봉(140)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부 캡(112)에 대하여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커버판(113)에 의해 받침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KR2020020007599U 2002-03-14 2002-03-14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KR200288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99U KR200288440Y1 (ko) 2002-03-14 2002-03-14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99U KR200288440Y1 (ko) 2002-03-14 2002-03-14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40Y1 true KR200288440Y1 (ko) 2002-09-10

Family

ID=7307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599U KR200288440Y1 (ko) 2002-03-14 2002-03-14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31B1 (ko) * 2017-12-13 2018-07-06 임방빈 화장품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31B1 (ko) * 2017-12-13 2018-07-06 임방빈 화장품 용기
CN109907467A (zh) * 2017-12-13 2019-06-21 株式会社 Lg 生活健康 化妆品容器
US11103044B2 (en) 2017-12-13 2021-08-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CN109907467B (zh) * 2017-12-13 2022-10-04 株式会社 Lg 生活健康 化妆品容器
US11497291B2 (en) 2017-12-13 2022-11-1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1844412B2 (en) 2017-12-13 2023-12-1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4189B2 (ja) 物質特に液体リップスティックをパッケージングし分与する装置
US6655525B2 (e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mixing two substances together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US4854478A (en) Tablet dispenser
KR200391579Y1 (ko) 여러 종류의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0370575Y1 (ko)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AU720194B2 (en) Dispensing cartridge
KR950700128A (ko) 각 패턴에 대해 자동조절되는 최적 펌프 행정으로 액체를 상이한 스프레이 패턴으로 스프레이하기 위해 복수 오리피스를 이용하는 스프레이 펌프 패키지(spray pump package employing multiple orifices for dispensing liquid in different spray patterns with automatically adjusted optimized pump stroke for each pattern)
JP2009543742A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288440Y1 (ko)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회전 방지구조
WO2018017691A1 (en) Telescoping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 product
KR200297638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88109Y1 (ko)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구조
KR200288441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73375B1 (ko) 화장품 용기용 캡
JP5108657B2 (ja) 繰り出し容器
KR200277208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100832554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362416Y1 (ko)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242026Y1 (ko) 회전식 배출 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88434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압출장치
CN219057153U (zh) 一种具有发泡功能的泵头结构
RU2401784C2 (ru) Колпачок "пинт"
KR200371240Y1 (ko)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JPH079803Y2 (ja) 分与量可変の改良された分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