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00Y1 -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00Y1
KR200280800Y1 KR2020020010038U KR20020010038U KR200280800Y1 KR 200280800 Y1 KR200280800 Y1 KR 200280800Y1 KR 2020020010038 U KR2020020010038 U KR 2020020010038U KR 20020010038 U KR20020010038 U KR 20020010038U KR 200280800 Y1 KR200280800 Y1 KR 20028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ptical cable
hole
connector
rub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건설화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화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설화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0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00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외관의 선단이 절취되어 다수개인 내관의 선단이 돌출된 광케이블 보호관과,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연결캡과, 연결캡 외측에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끼움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고무패킹과, 원형관체로 내측에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결합공을 갖는 연결구 및 연결구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갖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연결구 내측에서 선단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바와, 연결구의 체결공 연장선상 고무패킹에 형성된 볼트공과, 고무패킹 볼트공의 연장성상의 연결캡에 형성된 통공과, 연결캡의 통공에 끼워져 고무패킹의 볼트공을 거쳐 연결구 체결바의 체결공에 완강히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원형판체로 내측이 절곡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연결캡과 고무패킹 사이에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이탈방지와셔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coupling of optical cable protecting tube}
본 고안은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구의 결합공을 다소 크게 하여 내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공을 위한 별도의 공구기구가 필요치 않으며, 기온변화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내관이 수축되어 빠지거나 연결구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로 고무패킹을 압착하여 완전 수밀이 보장되며 체결볼트를 풀어서 손쉽게 재시공을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보호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나선형의 주름관인 외관 내측에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대수개의 내관에는 광케이블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런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관 내측에 내관이 일체로 꽉 차게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에 차량이 지나가도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지니게 된다.
도 3은 이런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로, 이런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관이음시에는 별도의 절단공구(도시않음)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일측 선단부를 내관(44)만 남긴 채 외관(42) 일부를 절취시키고, 외관(42)이 절취된 내관(44)에 내관(44)의 갯수만큼의 관통공(32')이 형성된 원형판상의 연결캡(30') 일측단을 삽입시킨다.
연결캡(30')을 결합후 내관(44) 외측에 내관(44)의 갯수만큼 끼움공(22')이 형성된 고무패킹(20')을 삽입하고, 끼움 결합된 고무패킹(20')에서 돌출된 내관(44)에 내관(44) 갯수만큼의 결합공(12')을 갖는 연결구(10')의 결합공(12') 내측에 끼움 결합시키면 된다.
연결구(10')의 타측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시키면 된다.
두개의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이 연결구(10')에 의해 연결되면 그 외측에 반원형의 커버(50) 두개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하여 연결구(10')의 외측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는 연결구(10')의 결합공(12')에 내관(44)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그 끼움 작업이 어렵고 별도의 연결공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온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내관(44)이 수축하여 연결구(10')의 결합공(12')에서 이탈되어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재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구의 결합공을 다소 크게 하여 내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공을 위한 별도의 공구기구가 필요치 않으며, 기온변화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내관이 수축되어 빠지거나 연결구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로 고무패킹을 압착하여 완전수밀이 보장되며 체결볼트를 풀어서 손쉽게 재시공을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관의 선단이 절취되어 다수개인 내관의 선단이 돌출된 광케이블 보호관과,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연결캡과, 연결캡 외측에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끼움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고무패킹과, 원형관체로 내측에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결합공을 갖는 연결구 및 연결구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갖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연결구 내측에서 선단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바와;
연결구의 체결공 연장선상 고무패킹에 형성된 볼트공과;
고무패킹 볼트공의 연장성상의 연결캡에 형성된 통공과;
연결캡의 통공에 끼워져 고무패킹의 볼트공을 거쳐 연결구 체결바의 체결공에 완강히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원형판체로 내측이 절곡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연결캡과 고무패킹 사이에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이탈방지와셔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3은 이런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케이블 보호관 관이음구 10,10' : 연결구
12,12' : 결합공 14 : 체결바
16 : 체결공 20,20' : 고무패킹
22,22' : 끼움공 24 : 볼트공
30,30' : 연결캡 32,32' : 관통공
34 : 통공 40,40a : 광케이블 보호관
42,42a : 외관 44,44a : 내관
50 : 커버 60 : 이탈방지와셔
62 : 이탈방지부 70 : 체결볼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1)는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이 위치되고 체결공(16)을 갖는 체결바(14)가 형성된 연결구(10)와, 끼움공(22)과 볼트공(24)을 갖는 고무패킹(20)과, 관통공(32)과 통공(34)을 갖는 연결캡(30)과, 연결캡(30)과 고무패킹(20)을 거쳐 연결구(10)의 체결공(12)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70)와, 내측에 이탈방지부(62)를 갖고 연결캡(30)과 고무패킹(20) 사이에 위치되는 이탈방지와셔(60)와, 커버(50)로 구성된다.
연결구(10)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관체로, 양단이 개방되어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이 위치되는 것으로, 내관(44) 갯수만큼의 결합공(12)이 형성되어 내관(44)이 끼워지고, 타측에는 선단에 체결공(16)을 갖는 체결바(14)가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무패킹(20)은 고무재질의 원형판체로,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 갯수만큼의 끼움공(22)이 형성되고 연결구(!0) 체결바(14)의 체결공(16) 연장선상에 볼트공(24)이 형성되어 연결구(10)를 선단에서 수밀시킨다.
연결캡(30)은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판체로,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 갯수만큼의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연결구(10) 체결바(14)의 연장선상에 통공(34)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체결볼트(70)를 지지한다.
체결볼트(70)는 좁은 공간에서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머리 중심에 렌치가 끼워지는 렌치타입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연결캡(30)의 통공(34)에끼워져 고무패킹(20)의 볼트공(24)을 거쳐 연결구(10) 체결바(14)의 체결공(16)에 완강히 나사결합되는 바, 연결구(10)에 고무패킹(20)과 연결캡(30)을 완강히 밀착시켜 연결구(10)를 수밀시키는 것이다.
이탈방지와셔(60)는 금속재질의 원형판체로, 내측에는 절곡된 이탈방지부(62)가 형성되어 연결캡(30)과 고무패킹(20) 사이에서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 외주연에 끼워져 광케이블 보호관(40)의 내관(44)이 외부영향 및 충격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관(42)과 다수개의 내관(44)으로 구성된 광케이블 보호관(40)의 선단에서 외관(42)의 일정 길이를 별도의 절단공구(도시않음)를 사용하여 절단하여 내관(44)만이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이렇게 외부로 돌출된 내관(44) 외주연에 통공(34)을 결합시켜 연결캡(30)을 끼운 후, 내관(44) 외주연의 3내지 4cm지점에 이탈방지부(62)가 연결구(10)방향을 향하도록 이탈방지와셔(60)를 끼운다.
그 다음 내관(44)에 고무패킹(20)의 끼움공(22)을 끼운 후, 연결구(10)의 결합공(12) 내측에 내관(44)의 선단을 끼워 넣고, 연결캡(30)의 통공(34)에 체결볼트(70)를 넣어서 그 선단이 고무패킹(20)의 볼트공(24)을 거쳐 연결구(10) 체결바(14)의 체결공(16)에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70)를 렌치나 그 외의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완강히 나사 체결시키면 된다.
연결구(10)의 타측도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면 된다.
연결구(10)의 양측에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내관(44)(44a)이 체결볼트에 의해 완강히 체결 고정된 후에는, 연결구(10) 외측에 금속재질의 커버(50)를 덮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외관(42)(42a)과 내관(44)(44a)사이를 수밀시키면 된다.
이러한 본 고안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관이음구(1)는 연결구(10)의 결합공(12)을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내관(44)(44a) 직경보다 약간 크게 제작하여 내관(44)(44a)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기구 없이도 시공이 강할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와셔(60)를 사용하여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내관(44)(44a)이 수축 등에 의해 빠지거나 외관(42)(42a) 속 깊이 함몰되는 부작용을 배제할 수 있고, 체결볼트(70)로 조여진 연결캡(30)으로 고무패킹(20)을 압착하여 완전수밀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재시공을 요하는 경우에는 체결볼트(70)만 풀어주면 가능하여 그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의 결합공을 다소 크게 하여 내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공을 위한 별도의 공구기구가 필요치 않으며, 기온변화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내관이 수축되어 빠지거나 연결구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로 고무패킹을 압착하여 완전수밀이 보장되며 체결볼트를 풀어서 손쉽게 재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외관의 선단이 절취되어 다수개인 내관의 선단이 돌출된 광케이블 보호관과,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연결캡과, 연결캡 외측에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끼움공을 갖는 원판형상의 고무패킹과, 원형관체로 내측에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관이 억지 끼움되는 결합공을 갖는 연결구 및 연결구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갖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연결구(10) 내측에서 선단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체결공(16)이 형성된 체결바(14)와;
    연결구(10)의 체결공(16) 연장선상의 고무패킹(20)에 형성된 볼트공(24)과;
    고무패킹(20) 볼트공(24) 연장성상의 연결캡(30)에 형성된 통공(34)과;
    연결캡(30)의 통공(34)에 끼워져 고무패킹(20)의 볼트공(24)을 거쳐 연결구(10) 체결바(14)의 체결공(16)에 완강히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70) 및
    원형판체로 내측이 절곡된 이탈방지부(62)가 형성되어 연결캡(30)과 고무패킹(20) 사이에서 광케이블 보호관(40)(40a)의 내관(44)(44a)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이탈방지와셔(60)를 구비함읕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KR2020020010038U 2002-04-03 2002-04-03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KR20028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38U KR200280800Y1 (ko) 2002-04-03 2002-04-03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38U KR200280800Y1 (ko) 2002-04-03 2002-04-03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00Y1 true KR200280800Y1 (ko) 2002-07-06

Family

ID=7312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038U KR200280800Y1 (ko) 2002-04-03 2002-04-03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4496T3 (es) Elemento de acoplamiento
US7504582B1 (en) Retaining joint for fixing cable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JP639871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R2528533A1 (fr) Raccord traversant a ecrou tournant pour gaine exterieurement spiralee
KR200280800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US20060144611A1 (en) Retaining joint of a cable
JP3298004B2 (ja) ケーブル固定金具
JP2563063B2 (ja) ケーブル固定金具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JP4082554B2 (ja) 管継手用押輪および管継手
JP2011062052A (ja) ケーブルグランド用ナットカバー
US7077955B1 (en) Joint used in one of a water inlet or water outlet of a filter cylinder or a filter casing
EP2353211B1 (en) Cable joint protector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960006573Y1 (ko) 지중전선관용 방수연결구
KR200174468Y1 (ko) 전선 인입구용 방수캡
JP3030508B1 (ja) 可撓管継手用閉塞具
KR200179917Y1 (ko) 나선관 밀폐구
KR200231636Y1 (ko) 관연결구
KR200220138Y1 (ko) 배관 연결용 이음관
KR920005027Y1 (ko) 호오스밴드 보호용 캡
KR910004771Y1 (ko) 가스호오스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