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186Y1 - 중성펜 - Google Patents

중성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186Y1
KR200280186Y1 KR2020020008460U KR20020008460U KR200280186Y1 KR 200280186 Y1 KR200280186 Y1 KR 200280186Y1 KR 2020020008460 U KR2020020008460 U KR 2020020008460U KR 20020008460 U KR20020008460 U KR 20020008460U KR 200280186 Y1 KR200280186 Y1 KR 200280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k
pen
ti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광주
조병관
Original Assignee
천광주
조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광주, 조병관 filed Critical 천광주
Priority to KR2020020008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186Y1/ko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성펜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10)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심지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된 캡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간부(11)가 관통지게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는 내측에 걸림부(12)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부(13)와 배출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심지부재(20)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부(13)와 배출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재(22)가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선단에 단턱지게 형성된 걸림부(12)를 통하여 심지부재(20)의 선단에 구비된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재(22)를 단속하게 되므로써, 하우징(100)의 외경을 슬림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부(13) 및 배출부(14)를 통하여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재(22)를 밀착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에 심지부재(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공정의 축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 생산성 향상에 따른 중성펜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되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중성펜{NEUTRON PEN}
본 고안은 중성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지부재의 고정을 하우징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중성펜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슬림형으로 이룰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흑연과 같은 천연광물을 통하여 필기를 수행하는 연필과, 크롬강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단단하고 작은 볼이 지면과의 마찰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잉크를 뽑아내어 볼에 묻은 잉크가 종이에 전사되는 방식으로 볼의 회전에 의해 잉크를 배출하는 볼펜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볼펜도 잉크의 종류에 따라 유성펜, 수성펜, 중성펜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 구분은 기름의 함유여부 및 잉크의 점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유성잉크를 사용하는 유성펜은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잉크의 보존성이 양호하고 필기감이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으나, 잉크의 윤활작용에 의하여 적당한 정도의 필압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수성펜은 필압에 의하여 선의 굵기를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고 필기감도 유성펜보다는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볼타입 대신에 다공성 세라믹 촉을 사용해야 하므로 촉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세라믹 촉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잉크조성성분이 휘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 잉크를 담지하고 탈수할 수 있는 별도의 다공성 매질을 갖추어야 하므로 잉크의 사용효율이 높지 않고 사용수명이 유성펜에 비하여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성펜은 유성의 볼펜과 수성펜이 가지는 장점만을 겸비한 것으로, 그구성은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로는 공간부(110)가 관통지게 형성되고, 그 선단 외측으로는 나사부(13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공간부(100)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잉크가 수납되고, 일측 단부에는 잉크배출부재(210)가 부착된 심지부재(200)와, 상기 나사부(130)에 착탈되어 고정되며, 상기 심지부재(200)의 선단이 출, 입 가능하도록 그 단부에는 관통부(310)이 형성된 고정구(300)와, 상기 고정구(300)의 타측에 설치된 캡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부재(400)는 잉크의 잔존여부에 따라 심지부재(200)의 교체가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 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성펜에는 외출시 주머니 등에 꽂아 휴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관통부(310)을 통하여 하우징(10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잉크배출부재(2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에 클립이 구비된 뚜껑부재 설치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성펜을 통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필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중성펜은, 유성펜과 수성펜의 장점만을 겸비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필기수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중성펜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기호는 파지하기가 간편한 슬림형의 중성펜을 요구하고 있는데, 종래의 중성펜 구조로는 이러한 소비자의 기호을충족시킬 수 없었다.
이는,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심지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하우징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이 공간부에 위치된 심지부재를 단속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고정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이 고정구가 하우징에 조립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나사부가 하우징의 선단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심지부재를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하우징의 외경을 슬림화시킬 수 없으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슬림형의 중성펜을 생산하기가 요원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성품을 생산하는 데 따른 공정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를 통해, 중성펜의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폐단으로 이어져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중성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의 간소화에 따른 공정의 축소로 인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중성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성의 향상을 통하여 생산단가를 낮추는 것에 의해 가격경쟁력을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중성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중성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중성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중성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공간부
12 - 걸림부 13 - 관통부
14 - 배출부 20 - 심지부재
21 - 연결부재 22 - 잉크배출구
30 - 캡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심지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된 캡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관통지게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는 내측에 걸림부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심지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부와 배출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 및 잉크배출부재가 구비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에 심지부재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심지부재의 선단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잉크배출부재가 하우징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관통부와 배출부의 내경에 밀착된 후 걸림부에 의해 단속되게 된다.
그러므로, 심지부재의 안정적인 고정과 더불어, 하우징의 외경을 슬림화시켜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중성펜의 형상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하우징, 심지부재, 캡부재의 형상 및 조립순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중성펜의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위치고정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단속되는 심지부재의 선단 구성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중성펜을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하게 슬림화시키는 것을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심지부재(20)와, 상기 심지부재(20)를 하우징(10) 내에서 고정시키는 캡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심지부재(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가 관통지게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는 내측에 걸림부(12)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이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관통부(13)와 배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12)는 관통부(13)와 배출부(14)의 단턱진 부위에 형성된 제 1걸림턱(12a)과 상기 관통부(13)와 공간부(11)의 단턱진 부위에 형성된 제 2걸림턱(12b)으로 구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의 내측에 수납되는 심지부재(20)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부(13)와 배출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재(22)가 구비된다.
즉,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심지부재(20)의 일측 단부에는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부(13)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21)의 일측 단부에는 배출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으며, 볼의 회전에 의해 심지부재(2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잉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잉크배출부재(2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지부재(20)를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이 심지부재(20)의 선단에 설치된 잉크배출부재(22)는 공간부(11)를 통과한 후 배출부(13)와 밀착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배출부재(22)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재(21)는 관통부(12)와 밀착된 상태에서 그 일측 단부가 제 1걸림턱(12a)에 의해 단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1)의 상부에 구비된 심지부재(20)는 제 2걸림턱(12b)에 일측 단부가 단속된 상태로 공간부(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22)는 각각 하우징(10)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부(13)와 배출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기 수행시 하우징(10)과 심지부재(20)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과 심지부재(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캡부재(30)를 하우징(10)의 상부에 장착하여 상기 심지부재(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심지부재(20)의 내부에 수납된 잉크의 소모가 완료되게 되면, 상기 캡부재(30)를 하우징(10)으로부터 탈거시킨 후 또 다른 심지부재(20)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심지부재(2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0)의 외경을 효율적으로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슬림형의 중성펜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부와 배출부를 통하여 심지부재의 선단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잉크배출부를 단속하게 되므로써,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도록 중성펜을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중성펜의 구성의 간소화하는 데 따른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중성펜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되므로써, 가격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가 중공된 하우징(10)과;
    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잉크가 수납된 심지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된 캡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간부(11)가 관통지게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는 내측에 걸림부(12)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부(13)와 배출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심지부재(20)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부(13)와 배출부(1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21) 및 잉크배출부재(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펜.
KR2020020008460U 2002-03-21 2002-03-21 중성펜 KR200280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60U KR200280186Y1 (ko) 2002-03-21 2002-03-21 중성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60U KR200280186Y1 (ko) 2002-03-21 2002-03-21 중성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186Y1 true KR200280186Y1 (ko) 2002-07-02

Family

ID=7307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60U KR200280186Y1 (ko) 2002-03-21 2002-03-21 중성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1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186Y1 (ko) 중성펜
US3402008A (en) Writing instrument
KR102435971B1 (ko) 잉크공급용 심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JP3806997B2 (ja) シャ−プペンシルの芯タンクのキャップ
KR100283740B1 (ko) 손가락 착탈식 필기구
JP2007331364A (ja) 竹ペン
JP2002059682A (ja) ボールペンレフィルのインキ収容量の管理方法及びボールペンレフィル
JP2003127580A (ja) 油性ボールペン
JP2002293084A (ja) ボールペン
JPH0939470A (ja) 筆記具
JP3112497U (ja) ノック式筆記具
CN212148125U (zh) 一种组合毛笔
JP4848544B2 (ja) インキ補充用具
KR200342337Y1 (ko) 슬림형 미니볼펜
US5709491A (en) Pencil-like eraser
JP2003291582A (ja) ボール式直液筆記具
JP2007144967A (ja) 消しゴム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JP4241749B2 (ja) シャ−プペンシルの芯タンクとキャップとの取り付け構造
KR200182843Y1 (ko) 볼펜 머리에 끼워 쓰는 지우개
JP3130468U (ja) 消しゴム付き鉛筆
JP2008114432A (ja) 異軸ペンの快速組み立て構造
KR200391850Y1 (ko) 지우개가 내장된 샤프
KR200319184Y1 (ko) 볼펜지우개가 구비된 볼펜
KR200351049Y1 (ko) 몽당 연필 사용이 가능한 볼펜 몸체 구조
JP4764533B2 (ja) 多芯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