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146Y1 - 조미료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146Y1
KR200280146Y1 KR2020020007113U KR20020007113U KR200280146Y1 KR 200280146 Y1 KR200280146 Y1 KR 200280146Y1 KR 2020020007113 U KR2020020007113 U KR 2020020007113U KR 20020007113 U KR20020007113 U KR 20020007113U KR 200280146 Y1 KR200280146 Y1 KR 200280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easoning
semi
cylindrical hous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탁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7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14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조미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조미료용기는 원통형 하우징과, 이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반타원형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연결부에는 구멍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의 양측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돌기를 갖는 조미료 수용부재; 절개부에 제공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 원통형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조미료 수용부재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재로 이루어진 받침대; 받침대의 삽입부와 반타원형체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에 안착되고, 일측에는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하고 관통구와 관통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제1삽입구멍과 제2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타측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제공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제1삽입구멍 및 관통구와 제2삽입구멍 및 관통구멍에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되도록 탄성부재에 힘을 인가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뚜껑이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여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미료용기{Container for storing the spice}
본 고안은 조미료를 수용할 수 있는 조미료용기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한손으로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조미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음식에 첨가되는 조미료는 조미료용기에 수용된다. 이러한 조미료용기는 조미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으로 제작되고, 하우징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막개로 폐쇄되어 있다.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조미료가 대기 또는 수분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상부에는 뚜껑이 제공된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하고 있는 사용자는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 조미료용기의 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뚜껑을 제거하여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조리하고 있는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한 후에는 역순동작에 의해 하우징의 상부를 뚜껑으로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조미료를 첨가하기 위하여 두 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음식의 양념 등이 손에 묻어 있는 경우에는 조미료용기가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하고 있는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하기 위하여 조미료용기의 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몸체 상부의 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조미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표시된 A 부분에 해당하는 조미료용기의 나머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받침대가 제거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뚜껑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미료 수용부재
12 : 원통형 하우징
14 : 반타원형체
16 : 탄성부재
20 : 받침대
24 : 연장부재
30 : 스프링
40 : 뚜껑
42 : 결합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조미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조미료용기는 원통형 하우징과, 이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반타원형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연결부에는 구멍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의 양측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돌기를 갖는 조미료 수용부재; 절개부에 제공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 원통형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조미료 수용부재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재로 이루어진 받침대; 받침대의 삽입부와 반타원형체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에 안착되고, 일측에는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하고 관통구와 관통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제1삽입구멍과 제2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타측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제공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제1삽입구멍 및 관통구와 제2삽입구멍 및 관통구멍에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되도록 탄성부재에 힘을 인가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뚜껑이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여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 구성은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100)는 조미료가 수용되는 조미료 수용부재(10)를 갖는다. 조미료 수용부재(10)는 원통형 하우징(12)과 원통형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반타원형체(14)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하우징(12)과 반타원형체(14)는 그들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원통형 하우징(12)과 반타원형체(14)의 연결부에는 소정 크기의 구멍(H)이 형성되고, 구멍(H)의 양측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돌기(18)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연결부'는 원통형 하우징(12)과 반타원형체(14)가 연속하여 연결되는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단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구멍(H)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원통형 하우징(12)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절개부에는 반타원형체(14)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 후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탄성부재(16)가 제공된다. 탄성부재(16)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공되고, 돌출부 내측에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탄성부재(16)와 원통형 하우징(12) 각각의 외측면은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100)에는 원통형 하우징(12)의 타단부 내측, 즉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갖는 받침대(20)를 갖는다. 삽입부(22)의 일측에는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H)을 관통하도록 연장하는 연장부재(24)가 제공된다. 연장부재(24)의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삽입부(22)의 상부면과 반타원형체(14)의 하부면 사이에는 스프링(30)이 제공된다. 이때, 삽입부(22)의 상부면에는 스프링(30)이 안착되는 안착대(22a)가 제공된다.
한편,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에는 뚜껑(40)이 제공된다. 뚜껑(40)의 일측에는 힌지돌기(18)의 관통구에 대응하는 제1삽입구멍(42a)과 연장부재(24)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제2삽입구멍(42b)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42)가 제공된다. 결합돌기(42)에서 제1삽입구멍(42a)은 제2삽입구멍(42b)과 비교하여 낮은 높이에서 안쪽에 위치한다. 즉, 결합돌기(42)는 뚜껑(4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제공된다. 또한, 결합돌기(42)에 대향하는 뚜껑(40)의 타측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4)가 제공된다.
따라서, 받침대(20)의 삽입부(22)가 원통형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고 연장부재(24)가 조미료 수용부재(10)의 구멍(H)에 관통한 상태에서 뚜껑(40)은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1힌지핀(46a)을 힌지돌기의 관통구와 제1삽입구멍(42a)에 삽입시키고 또한 제2힌지핀(46b)을 연장부재의 관통구멍과 제2삽입구멍(42b)에 삽입시킨다. 이때, 스프링(30)이 삽입부(22)와 반타원형체(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뚜껑(40)의 걸림돌기(44)가 탄성부재(16)의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반타원형체(14)에는 상방의 탄성력이 인가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상부개구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닫기 위한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조미료용기의 상부개구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조미료용기(100)의 조미료 수용부재(10)에 제공된 탄성부재(16)에 외부로부터 힘을 인가하여 걸림돌기(44)를 걸림홈으로부터 삽입해제시킨다. 이때, 반타원형체(14)는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원통형 하우징(12)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원통형 하우징(12)과 반타원형체(14)의 상방이동과는 반대로 받침대(20)는 하향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연장부재(24)의 상단부는 구멍(H)의 내부, 즉 수직하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힌지핀(46b)을 통해서 연장부재(2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뚜껑(40)은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는 개방된다. 한편, 원통형 하우징(12)의 외측면 하단과 받침대(20)의 외측면 상단 사이는 원통형 하우징(12)과 반타원형체(14)의 상방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 후에, 개방되어 있는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를 뚜껑(40)으로 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조미료용기(100)를 바닥에 내려놓고 스프링(30)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하향으로 인가하면, 원통형 하우징(12)이 하향이동한다. 이때, 스프링(30)은 반타원형체(14)의 누름작용에 의하여 수축되고 이와 연동하여 원통형 하우징(12)의 하단부는 삽입부(22)의 외측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활주이동한다. 그리고, 연장부재(24)의 상단부는 구멍(H)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뚜껑(40)은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제2힌지핀(46a)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돌기의 외단부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반면에 걸림돌기(44)는 하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뚜껑(40)의 걸림돌기(44)가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되어 있는 조미료 수용부재(10)의 개방상부를 닫기 위하여 사용자는 조미료용기(100)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걸림돌기(44)가 탄성부재(16)의 걸림홈에 삽입될 때까지 뚜껑(40)의 단부에 닫힘방향으로 힘을 인가한다. 이때, 뚜껑(40)은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힘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돌기(44)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돌기(42)의 외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힌지핀(46b)을 통해서 결합돌기(42)의 외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장부재(24)가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받침대(20)는 스프링(3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음식을 조리하고 있는 사용자가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하기 위하여 조미료용기(100)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엄지 손가락으로 탄성부재(16)에 힘을 인가하면 뚜껑(40)의 걸림돌기(44)가 걸림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되면서 스프링(30)의탄성력에 의해서 원통형 하우징(12)은 받침대(20)의 삽입부(22)를 따라서 활주이동한다. 이때, 뚜껑(40)은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를 개방시킨다.
상기 사용자가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한 후 조미료용기(100)를 바닥에 내려 놓으면 받침대(20)의 삽입부(22)가 원통형 하우징(1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와 연동하여 연장부재(24)의 상단부가 구멍(H)을 관통한다. 이때, 뚜껑(40)은 제1힌지핀(46a)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를 폐쇄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뚜껑(40)은 결합돌기(42)가 일측에 제공되어 있는 본체(40a)와 본체(40a)의 상부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면접촉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회전체(40b)로 구성된다. 본체(40a)에는 반타원형체(14)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조미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40b)에는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조미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미료용기(100)의 사용자는 조미료 수용부재(10)의 상부개구를 개방시키지 않고 뚜껑(40)의 회전체(40b)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리하고 있는 음식에 적정량의 조미료를 첨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조미료용기의 사용자는 조리하고 있는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하기 위하여 한 손만을 사용하여 조미료용기를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조미시간과 동선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2)

  1. 조미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조미료용기에 있어서,
    원통형 하우징과, 이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반타원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의 연결부에는 구멍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양측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힌지돌기를 갖는 조미료 수용부재;
    상기 절개부에 제공되고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반타원형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조미료 수용부재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재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삽입부와 반타원형체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상기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에 안착되고, 일측에는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하고 상기 관통구와 관통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제1삽입구멍과 제2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제공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삽입구멍 및 관통구와 제2삽입구멍 및 관통구멍에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되도록 상기탄성부재에 힘을 인가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뚜껑이 상기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여 상기 조미료 수용부재의 상부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결합돌기와 걸림돌기가 제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면접촉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소정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에는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조미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용기.
KR2020020007113U 2002-03-11 2002-03-11 조미료용기 KR200280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13U KR200280146Y1 (ko) 2002-03-11 2002-03-11 조미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13U KR200280146Y1 (ko) 2002-03-11 2002-03-11 조미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146Y1 true KR200280146Y1 (ko) 2002-07-02

Family

ID=7311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113U KR200280146Y1 (ko) 2002-03-11 2002-03-11 조미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153A (zh) * 2022-05-07 2022-08-09 陈庆 一种颗粒状调味品用大容量存放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153A (zh) * 2022-05-07 2022-08-09 陈庆 一种颗粒状调味品用大容量存放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357B1 (ko) 용기 덮개
FI112163B (fi) Valkosipulipuristin
JP2004525041A5 (ko)
JP2009544420A (ja) 食品の核を取り除くための装置
WO2005107543A3 (en) Cooker with latching drip tray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grease dispensing apertures in cooking pan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280146Y1 (ko) 조미료용기
US5842612A (en) Plugging system for liquid container
JP3820541B2 (ja) 炊飯器
KR102129033B1 (ko) 프라이팬용 덮개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100723642B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960000527Y1 (ko) 양념용기용 캡
KR102131311B1 (ko) 흡착식판
KR200280540Y1 (ko) 조미료용기
KR0131848Y1 (ko) 이쑤시개통
KR200242289Y1 (ko) 수저 케이스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JP2890294B2 (ja) 電子レンジ用卵ゆで器
CN108020015A (zh) 一种储物盒和具有该储物盒的冰箱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US11641967B2 (en) Self-serve communion containment, presentation and service device
KR200326994Y1 (ko) 캔용기의 가스배출구조
KR20000019038U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