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33B1 - 프라이팬용 덮개 - Google Patents

프라이팬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033B1
KR102129033B1 KR1020180114708A KR20180114708A KR102129033B1 KR 102129033 B1 KR102129033 B1 KR 102129033B1 KR 1020180114708 A KR1020180114708 A KR 1020180114708A KR 20180114708 A KR20180114708 A KR 20180114708A KR 102129033 B1 KR102129033 B1 KR 10212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rying pan
wing
insertion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553A (ko
Inventor
구자동
Original Assignee
구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동 filed Critical 구자동
Priority to KR102018011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팬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200),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날개부(200)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부(300)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 되도록 형성된 개폐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리 동작시에 기름 이나 음식 따위가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및 사용 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라이팬용 덮개 {Cover for Frying Pan}
본 발명은 프라이팬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시 음식물, 기름 등이 프라이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팬 상단에 사용할 수 있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프라이팬은 식재료를 튀기거나 굽는 등의 동작을 통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프라이팬을 이용한 조리에는 기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조리 동작 중에 주변으로 기름이나 양념 등이 튀는 문제가 발생한다. 프라이팬 주변으로 기름이나 양념 등이 튀게 되면, 조리 후에 별도의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팬용 뚜껑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뚜껑은 스테인레스, 유리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것들이다. 이러한 뚜껑을 사용하면, 기름이나 양념이 프라이팬 주변으로 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연기 등은 배출되지 못한다. 수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머물게 되면 뚜껑에 김이 서리게 되고 물방울로 변해 다시 프라이팬 내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 중에 기름이나 양념 등이 프라이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되, 수증기나 연기 등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프라이팬용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부;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 되도록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막음판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음판은, 상기 제1 막음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에 상기 제3 막음판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뿔 형상의 상측이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선; 상기 제1 절개선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몸체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날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1 절개선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날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선;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절개선과 상기 제1 삽입홀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막음판의 절개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동작시에 기름이나 양념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및 사용 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의 평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조립도.
도 6 내지 도 8은 다른 방법에 의한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조립도.
도 9는 도 5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사용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조립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다른 방법에 의한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조립도이고, 도 9는 도 5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사용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이하, '덮개'라고 함)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횡단면적이 작은 측을 상단부라고 하며, 횡단면적이 넓은 측을 하단부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몸체부(100), 날개부(200), 결합부(300) 및 개폐부(400)로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두 개의 반지름과 하나의 호로 이루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부채꼴의 반지름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에 따라 덮개의 크가가 결정된다. 덮개는 적용되는 프라이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부(100)에는, 덮개 조립시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복수의 막음판(410~440)의 절개 위치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안내선(110)이 형성된다. 안내선(110)은, 몸체부(10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과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부채꼴 형상에서 일측의 반지름 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날개부(200)와 몸체부(100)가 이어지는 위치에 안내선(110)이 형성된다. 또한, 날개부(200)는 뿔 형상이 형성되도록 몸체부(100)에 결합된다. 날개부(200)에는 후술할 결합부(300)의 결합홀(360)이 형성되는데, 결합홀(360)이 형성된 단부의 폭은 날개부(2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결합부(300)는 날개부(200)가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뿔 형상을 형성하도록 몸체부(100)와 날개부(200)에 형성된다. 결합부(300)는 제1 절개선(310), 제2 절개선(320), 제1 삽입홀(330), 제2 삽입홀(340), 결합돌기(350) 및 결합홀(360)로 구성된다.
제1 절개선(310)은 날개부(200)가 연장 형성된 반지름과 다른 반지름에서 이격되어 몸체부(100)를 절개하여 슬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절개선(310)은, 몸체부(100)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며, 날개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 절개선(320)은 제1 절개선(310)에서 이격되어 몸체부(100)를 절개하여 슬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절개선(320)도 제1 절개선(310)과 같이, 몸체부(100)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며, 날개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 삽입홀(330)은 제1 절개선(310)과 제2 절개선(32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절개선(310)과 평행하도록 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삽입홀(330)은 제1 절개선(310) 및 제2 절개선(3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되, 날개부(200)의 단부의 폭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2 삽입홀(340)은 날개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몸체부(100)에서 연장되는 측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삽입홀(340)은, 날개부(200)와 몸체부(100)가 이어지는 위치에 형성된 안내선(110)으로부터, 제1 삽입홀(330)과 제1 삽입홀(330)에 인접한 몸체부(100)의 반지름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형성된다. 즉, 날개부(200)가 몸체부(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삽입홀(320)과 서로 겹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삽입홀(340)은 제1 삽입홀(33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선(310)과 제2 절개선(320)은 덮개 조립 과정에서 날개부(200)가 통과되는 곳으로서, 날개부(20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개 폭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선을 따라 몸체부(100)를 절개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삽입홀(330)과 제2 삽입홀(340)은 날개부(200)의 단부가 삽입된 후 후술할 결합돌기(350)와 결합홀(360)이 서로 결합되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돌기(350)는 제2 삽입홀(340)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 삽입홀(34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돌기(350)의 돌출 길이는 제2 삽입홀(340)의 폭과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하게 길거나 짧게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결합홀(360)은 결합돌기(35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날개부(200)의 끝단에 날개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360)은 결합돌기(35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도록 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돌기(350)와 결합홀(360)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결합돌기(350)와 두 개의 결합홀(360)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그 갯수는 두 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덮개의 크기에 따라 세 개 이상 또는 한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의 상단부를 필요에 의해 개폐하는 것으로서, 몸체부(100)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제1 막음판(410), 제2 막음판(420), 제3 막음판(430) 및 제4 막음판(440)을 갖는다. 제1 내지 제4 막음판(410,420,430,440)은 몸체부(100)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홀(411)이 제1 막음판(410)을 관통하여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홀(411)에는 제3 막음판(43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개폐부(400)가 폐쇄 되도록 한다.
고정홀(411)이 형성된 제1 막음판(410)과 고정홀(411)에 삽입되는 제3 막음판(430)을 제외한 제2 막음판(420)과 제4 막음판(440)의 단부는 절삭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제2 막음판(420) 및 제4 막음판(440)의 단부를 절삭할 경우, 개폐부(400)가 개방된 후 개방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막음판(410)에 고정홀(411)이 형성되고, 제3 막음판(43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막음판 중 하나의 막음판에 고정홀(411)이 형성되고, 맞은 편에 위치한 막음판의 단부가 고정홀(411)에 삽입되어 덮개의 상단부를 폐쇄할 수만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막음판이 네 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덮개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막음판과 안내선의 갯수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덮개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와 같이 덮개에 개폐부(400)를 형성함으로써, 덮개 사용 중에 필요에 의해 내부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막음판을 위에서 누르는 동작만으로 개폐부(4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동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날개부(200), 결합부(300) 및 개폐부(400)로 구성된 덮개는 프라이팬의 뚜껑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는 사용자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에서 일부분을 잘라내는 것만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덮개를 조립하는 방법과 사용 방법에 관하여 서술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덮개를 조립하는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두 지름이 서로 맞닿도록 모아 뿔 형상을 만들어준다. 이때, 날개부(200)가 몸체부(100)를 덮을 수 있도록 날개부(200)를 젖혀서 모아야 한다. 그리고 날개부(200)를 방향 A를 따라 뿔 형상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2 절개선(320)에 삽입한다. 이후에 날개부(200)가 외부로 다시 나오도록 방향 B로 제1 절개선(310)에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삽입홀(330)과 제2 삽입홀(340)이 서로 겹치는 위치까지 날개부(200)를 제1 절개선(310)에 통과시켜야 한다. 날개부(200)를 제1 절개선(310) 및 제2 절개선(320)을 통과시키는 동작까지 수행하면, 뿔 형상이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뿔 형상 외부로 나와있는 날개부(200)의 단부를 방향 C에 따라 제1 삽입홀(330) 및 제2 삽입홀(340)에 동시에 삽입하여 결합돌기(350)가 결합홀(360)에 결합되도록 한다. 해당 동작까지 완료하면 날개부(200)가 접혀 몸체부(100) 표면에 돌출되도록 조립된다.
이처럼, 돌출된 날개부(200)는 손잡이로 사용이 가능하여 덮개를 프라이팬에 올리거나 제거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날개부(200)와 몸체부(100)의 조립 동작이 완료되면 개폐부(400) 조립을 수행한다. 우선 제2 막음판(420) 및 제4 막음판(440)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은 후에 제3 막음판(430)의 단부를 제1 막음판(410)에 형성된 고정홀(411)에 삽입한다. 사용자는 개폐부(40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덮개 조립을 시작하기 전에 막음판을 미리 접어서 접는 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개폐부(400) 조립까지 완료되면 덮개 조립이 완료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100) 및 날개부(200) 조립을 먼저 수행하고 개폐부(400) 조립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덮개를 조립하는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한다. 두 번째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처음 몸체부(100)를 뿔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동작과 날개부(200)를 몸체부(100)에 결합시키는 방법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사용자는 첫 번째 방법과 같이 몸체부(100)의 두 지름이 서로 맞닿도록 모아 뿔 형상을 만들어주되, 몸체부(100)가 날개부(200)를 덮도록 모아준다. 그리고 뿔 형상의 내부에 위치한 날개부(200)를 방향 D를 따라 뿔 형상 외부로 나오도록 제1 절개부(310)에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삽입홀(330)과 제2 삽입홀(340)이 서로 겹치는 위치까지 날개부(200)를 제1 절개부(310)에 통과시킨다.
이후의 동작은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게 날개부(200)의 단부를 방향 E에 따라 제1 삽입홀(330) 및 제2 삽입홀(340)에 동시에 삽입하여 결합돌기(350)가 결합홀(36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부(400)를 조립한다.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이 완료된 덮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을 굽거나 튀기는 등의 조리를 할때 덮개를 프라이팬의 상단을 덮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중에 상황에 따라 덮개의 일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개폐부(400)를 아래 방향(F)으로 눌러 개방할 수 있다. 개폐부(40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개방할 수도 있으며, 젓가락, 스틱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눌러 개방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개폐부(400)를 한 번의 동작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동작이 간단하고 쉬워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는, 실내에서 조리를 할때 프라이팬의 상단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기름이나 양념 등이 프라이팬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개폐부(4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나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증기나 연기가 개방된 개폐부(4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된 연기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안내선
200 : 날개부 300 : 결합부
310 : 제1 절개선 320 : 제2 절개선
330 : 제1 삽입홀 340 : 제2 삽입홀
350 : 결합돌기 360 : 결합홀
400 : 개폐부 410 : 제1 막음판
411 : 고정홀 420 : 제2 막음판
430 : 제3 막음판 440 : 제4 막음판

Claims (7)

  1.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200);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날개부(200)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부(300);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이 형성되는 개폐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날개부(200)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선(310); 및
    상기 날개부(2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절개선(310)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부(100)의 지름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선(3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막음판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막음판(410,420,430,4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막음판(410)은, 상기 제1 막음판(4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411);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411)에 상기 제3 막음판(43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뿔 형상의 상측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절개선(310)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홀(330); 및
    상기 몸체부(100)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날개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삽입홀(340);
    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200)가 상기 제1 절개선(310)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삽입홀(330) 및 상기 제2 삽입홀(340)에 동시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2 삽입홀(34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350); 및
    상기 결합돌기(350)가 삽입되도록 상기 날개부(200)의 일측에 상기 날개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3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선(310)과 상기 제1 삽입홀(330)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막음판의 절개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선(11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용 덮개.
KR1020180114708A 2018-09-27 2018-09-27 프라이팬용 덮개 KR10212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08A KR102129033B1 (ko) 2018-09-27 2018-09-27 프라이팬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08A KR102129033B1 (ko) 2018-09-27 2018-09-27 프라이팬용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53A KR20200035553A (ko) 2020-04-06
KR102129033B1 true KR102129033B1 (ko) 2020-07-01

Family

ID=7028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08A KR102129033B1 (ko) 2018-09-27 2018-09-27 프라이팬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74B1 (ko) * 2020-04-02 2021-11-15 윤형빈 기름 비산 방지용 캡
KR102152100B1 (ko) * 2020-04-17 2020-09-04 주식회사 미래팩키지 프라이팬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65B1 (ko) * 2014-10-14 2015-12-10 구대운 기름 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646A (ja) * 1996-10-29 1998-05-19 Ueroku Insatsu Kk 箱の底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65B1 (ko) * 2014-10-14 2015-12-10 구대운 기름 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53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033B1 (ko) 프라이팬용 덮개
US9504355B2 (en) Foldable splatter screen
US6065394A (en) Easily cleanable folding pan
CA2621715A1 (fr) Appareil de cuisson et d'egouttage d'aliments contenus dans un liquide comprenant des perforations d'evaporation et des perforations d'egouttage
JP5374274B2 (ja) トレー機能を有するまな板
US20060283334A1 (en) Multipurpose waffle iron set
KR102278573B1 (ko) 프라이팬용 덮개
DE3309534C2 (de) Gefäß, insbesondere zum Kochen von Lebensmitteln
JP4468479B1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402638B1 (ko) 기름튀김방지덮개
KR102094602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230151230A (ko)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JP4065095B2 (ja) 割卵器
KR20220119997A (ko) 프라이팬 덮개 및 이에 사용되는 손잡이 홀더
JP2005218482A (ja) 蓋体の閉塞構造を備えた鍋
KR200207257Y1 (ko) 프라이팬 뚜껑
KR102172341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프라이팬
US884718A (en) Cooking utensil.
KR20230000914U (ko) 조리기구용 덮개
JP3224380U (ja) 中蓋及び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EP3880041B1 (de) Topfdeckel
KR200282429Y1 (ko) 후라이팬
KR200402426Y1 (ko) 양면 프라이팬
JP6179781B2 (ja) 特に食品用の容器
KR200349561Y1 (ko) 생선 구이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