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230A -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 Google Patents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230A
KR20230151230A KR1020220050641A KR20220050641A KR20230151230A KR 20230151230 A KR20230151230 A KR 20230151230A KR 1020220050641 A KR1020220050641 A KR 1020220050641A KR 20220050641 A KR20220050641 A KR 20220050641A KR 20230151230 A KR20230151230 A KR 2023015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body portion
cover
w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5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230A/ko
Publication of KR2023015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64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non-integrated lid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rying-p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는 날개부;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부;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 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 동작시에 기름이나 음식 따위가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의 청결을 유 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 밀착 및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팬은 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은 두텁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향할수 록 두께가 얇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플랜지와 본체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두께가 두텁고 하 부면이 평탄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라이팬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기울기에 의하여 프라이팬의 뚜껑이 올바르게 밀착될 수 있 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고, 분리형 프라이팬 손잡이의 사용 시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Frying pan cover with improved packing adhesion}
본 발명은 프라이팬의 상단 플랜지 구조를 개선하여 덮개와의 밀착면을 증강시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조리시간 단축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프라이팬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에 관한 것이다.
프라이팬은 식재료를 튀기거나 굽는 등의 동작을 통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프라이팬을 이용한 조리에는 기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조리 동작 중에 주변으로 기름이나 양념 등이 튀는 문제가 발생한다. 프라이팬 주변으로 기름이나 양념 등이 튀게 되면, 조리 후에 별도의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프라이팬으로 덮개 없이 음식을 요리하거나 생선을 굽게 되면 국물이나 흘러나오거나 기름이 밖으로 튀어나오면서 가스레인지나 그 주변의 벽면에 달라붙어 청소하기가 번거롭거나 비산되는 뜨거운 기름 에 요리하는 사람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팬용 뚜껑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뚜껑은 스테인레스, 유리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것들이다. 이러한 뚜껑을 사용하면, 기름이나 양념이 프라이팬 주변으로 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연기 등은 배출되지 못한다. 수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머물게 되면 뚜껑에 김이 서리게 되고 물방울로 변해 다시 프라이팬 내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덮개의 구성을 살펴보면, 프라이팬에 내용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 여 내열성 유리로 덮개 본체가 형성되고, 내열성 유리의 균열방지와 내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덮개 본체의 테두리에 금속테가 씌워져 있다.
금속테는 구조적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상향으로 올라갈 수밖에 없고, 프라이팬의 상부 플랜지는 수평으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팬의 상부에 덮개를 덮게 되면, 내측 일부분만 닿고 나머지 대부분은 벌려질 수밖에 없다.
그러면, 밀폐력이 낮기 때문에 음식을 요리하거나 생선을 굽게 되면 프라이팬의 상부 플랜지와 덮개 본체의 테 두리에 금속테 사이로 국물이나 흘러나오거나 기름이 밖으로 튀어나오면서 가스레인지나 그 주변의 벽면에 달라 붙게 되는 관계로 주변을 오염시키고 열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10-2011-0047553 A (박길자) 2011.05.09 10-2014-0001083 B1 (이기태 외 2명) 2014.06.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팬 본체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프라이팬의 뚜껑이 바람직하게 맞물려 접촉면적을 넓게하고,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팬 본체와 가스레인지가 올바르게 밀착됨에 따라 수평을 유 지하게되어 사용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리 중에 기름이나 양념 등이 프라이 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되, 수증기나 연기 등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은 두텁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플랜지와 본체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두께가 두텁고 하부면이 평탄 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상 기 몸체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부;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막음판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막음판은, 상기 제2 막음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4 막음판의 단부가 상기 고 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뿔 형상의 상측이 폐쇄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날개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지름 방향 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반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날개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삽입홀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홀이 상기 제2 삽입홀보다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삽입홀에는, 상기 원뿔 형상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삽입홀에는, 상기 원뿔 형상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 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날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면 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는 프라이팬 본체 상단에 형성된 플렌지를 외측은 두텁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프라이팬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기울기에 의하여 프라이팬의 뚜껑이 올바르게 밀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고, 분리형 프라이팬 손잡이의 사용 시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와 프라이팬의 뚜껑이 맞닿는 면적이 넓어짐에 의하여 밀폐력이 향상되어 프라이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 게 되므로, 높은 온도에서 단시간에 요리를 할 수 있게 되어 요리 시 영양소의 파괴가 최소화 된 영양가 높은 음식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플랜지의 두께를 두텁게 형성함으로써, 프라이팬이 열에 의하여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은 프라이팬 본체 하단의 면을 돌출하여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스레인지에 올려 사용 시 하단 면과 가스레인지의 거치면이 올바르게 밀착되어 기울어짐 없이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돌출되어 두텁게 형성된 프라이팬 하단 면이 열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게 되어 요리된 음식을 장시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을 굽거나 튀기는 등의 조리를 할 때 프라이팬용 덮개를 프라이팬의 상단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주방 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에서 조리를 할 때 프라이팬의 상단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기름이나 양념 등이 프라이팬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중에도 개폐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연기 및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의 평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날개부를 결합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1의 개폐부의 조립도.
도 8은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부분을 단면화하여 특징부를 나 타낸 단면도.
도 10은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사용한 상태를 단면화하여 특징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용 덮 개의 평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날개부를 결합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도 1의 개폐부의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프라이팬용 덮개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팬용 덮개(이하, '덮개'라고 함)(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 어 조립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횡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횡단면적 이 작은 측을 상단부라고 하며, 횡단면적이 넓은 측을 하단부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100)는, 몸체부(110), 날개부(120), 결합부(130), 개폐부(140)로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두 개의 반지름과 하나의 호로 이루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부채꼴의 반지 름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에 따라 덮개(100)의 크기가 결정된다.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10)는, 두 개 의 반지름이 위치한 일측과 타측이 서로 접하도록 말려 뿔 형상을 형성한다.
이때, 일측과 타측이 서로 면접하여 안정적으로 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연장부
(112)가 형성된다. 연장부(112)는,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이 면접하여 뿔 형상을 형성한 후, 형상을 안정적 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부(112)의 상단부에는 후술할 막음판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0)에는, 사용자가 덮개(1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표식(111)을 도시할 수 있다. 안 내표식(111)은, 날개부(120)가 결합부(130)에 결합되는 방향 표시, 덮개(100)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120)는, 몸체부(110)의 부채꼴 형상에서 일측의 반지름 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날개 부(12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부(112)와 연결되며 몸체부(1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 이때, 몸체부(110)의 지름 방향으로 날개부(120)의 길이, 즉 날개부(120)의 폭은, 몸체부(110)의 반지름보 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몸체부(110)에서 연장 형성된 날개부(120)는, 결합부(130)에 삽입 되어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가 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날개부(120)에는, 안내선(121)과 결합홀(122)이 형성된다. 안내선(121)은 결합부(130)에 결합된 후 날 개부(120)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점선의 가이드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122)은 후술할 결합돌기(1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이다. 결합홀(122)은, 안내선
(121)과 접하여 형성되어, 날개부(120)가 결합부(130)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결합부(130)는, 날개부(12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몸체부(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홀(131), 제2 삽입 홀(132) 및 결합돌기(133)로 구성된다.
제1 삽입홀(131) 및 제 삽입홀(132)은 몸체부(110)의 지름 방향으로 몸체부(110)를 절개하여 슬릿으로 형성된다.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132)은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삽입홀(131)이 제2 삽입홀(132)보다 몸체부(110)의 타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때,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
(132) 사이의 거리는, 날개부(120)가 몸체부(110)의 일측 반지름과 접하는 단부에서부터 안내선(121)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삽입홀(131)과 제2 삽입홀(132)은 날개부(120)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12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결합돌기(133)는, 날개부(120)의 결합홀(12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2 삽입홀(132)에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 기(133)는, 결합홀(12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결합홀(1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날개부(120)가 제2 삽입 홀(1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날개부(120)는 도 2 및 3을 기준 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제2 삽입홀(132)에 삽입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33)는 제2 삽입홀(132)에 오 른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결합돌기(133)를 날개부(1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경우, 날개부(120)가 제2 삽입홀(13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홀(122)과 결합돌기(133)가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40)는, 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100)의 상단부를 필요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부(110) 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제1 막음판(141), 제2 막음판(142), 제3 막음판(143) 및 제4 막음판(144)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막음판(141,142,143,144)은 몸체부(110)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막음판(142)을 관통하여 홀 형상의 고정홀(145)이 형성된다. 고정홀(145)에는 제4 막음판(144)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개폐부(140)가 폐쇄되도록 한다.
고정홀(145)이 형성된 제2 막음판(142)과, 고정홀(145)에 삽입되는 제4 막음판(144)을 제외한 제1 막음판(141) 및 제3 막음판(143)의 단부는 절삭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제1 막음판(141) 및 제3 막음판(143)의 단부를 절삭 할 경우, 개폐부(140)가 개방된 후 개방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막음판(142)에 고정홀(145)이 형성되고, 제4 막음판(144)의 단부가 고정홀(145)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막음판(141,142,143,144) 중 어느 하 나에 고정홀(145)이 형성되고, 맞은 편에 위치한 다른 막음판의 단부가 고정홀(145)에 삽입되어 덮개(100)의 상 단부를 폐쇄할 수 만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막음판이 네 개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덮개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100)에 개폐부(140)를 형성함으로써, 덮개(100)의 사용 중에 필요에 의해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폐쇄되도록 막음판을 조립하여 사용 중에도, 위에서 막음판을 주르는 동작만 으로 개폐부(140)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동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날개부(120), 결합부(130) 및 개폐부(140)로 구성된 덮개(100)는, 프라이팬의 뚜껑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쉬운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조립 전의 형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덮개(100)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덮개(100)를 조립하는 방법과 사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몸체부(110)의 반지름이 서로 맞닿도록 모아 뿔 형상을 만들어 준다. 이때, 날개부(120)가 뿔 형상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고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모아야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
(120)의 단부를 방향 A를 따라 제1 삽입홀(131)에 삽입하여 날개부(120)가 뿔 형상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20)의 단부를 방향 B를 따라 제2 삽입홀(132)에 삽입하여 날개부
(120)가 뿔 형상의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몸체부(110)의 연장부(112)가 제1 삽입홀
(131)과 맞닿을 때까지 날개부(120)를 당겨 제1 삽입홀(131) 및 제2 삽입홀(132)을 통과시킨다. 이때, 날개부 (120)는, 연장부(112)보다 몸체부(110)의 반지름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부(112)가 제1 삽입홀
(131)과 맞닿으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덮개(10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부(112)에 의해 제1 삽입홀(131)에 삽입되는 날개부(120)의 길이를 한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립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 자는 날개부(120)를 당겨질 때까지 당겨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잘못된 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부(112)가 몸체부(110)의 타측을 덮어서 면접하도록 함으로써, 뿔 형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프라이팬에 올려 사용했을 때,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이 만나는 지점으 로 기름, 음식물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덮개(100)의 사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날개부(120)를 결합부(130)에 삽입하는 동작까지 완료하고 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 (133)가 결합홀(122)에 제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후, 날개부(120)를 안내선(121)에 따라 접어준다. 즉, 날개 부(120)의 단부가 연장부(112)를 향하도록 접어준다. 이처럼, 날개부(120)를 한번 접어주면 날개부(120)의 단부 는, 뿔 형상의 옆면과 접촉되지 않고, 덮개(100) 하단부의 지름 방향을 향해 세워진다.
이렇듯 세워진 날개부(120)의 단부는 사용자가 덮개(100)를 사용하는 동안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어, 덮개(10 0)를 프라이팬에 올리거나 제거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날개부(120)와 몸체부(110)의 조립을 완료하여 뿔 형상을 완성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140)를 조립할 수 있다. 먼저, 고정홀(145)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막음판(141)과 제3 막음판(143)을 먼저 접 어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홀(145)이 형성된 제2 막음판(142) 및 제4 막음판(144)을 접고, 제4 막음판(144)의 단부를 제2 막음판(142)에 형성된 고정홀(145)에 삽입한다. 사용자는 덮개(100)의 조립을 시작하 기 전에 막음판(141,142,143,144)을 미리 접어서 접는 선을 형성하여 개폐부(14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덮개(100)는, 날개부(120)를 제1 삽입홀(131) 및 제2 삽입홀(132)에 모두 통과시켜 결합시 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제1 삽입홀(131)에는 삽입시키지 않고, 제2 삽입홀(132)에만 삽입시켜 조립시킬 수 도 있다. 즉, 날개부(120)의 단부를 뿔 형상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도록 제2 삽입홀(132)에만 통과시킨 후, 결합 돌기(133)를 결합홀(12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뿔 형상의 덮개(100)를 조립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이 완료된 덮개(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을 굽거나 튀기는 등의 조리를 할 때 덮개(100)를 프라이팬의 상단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주방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그리고, 조리 중에 덮개의 일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개폐부(140)를 아래 방향(F)으로 눌러 개방할 수 있 다. 개폐부(14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개방할 수 있으며, 젓가락, 스틱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눌러 개방 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 중에 다시 폐쇄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다시 막음판을 접고 제3 막음판(143)의 단부 를 살짝 눌러 고정홀(145)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처럼, 조리 중에도 개폐부(1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 로써, 직관적인 동작으로 사용할 수 있어 덮개(100)의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100)는, 실내에서 조리를 할 때 프라이팬의 상단에 올려 사용함으로써 기름이 나 양념 등이 프라이팬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냄새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에 의해 개폐부(1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리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나 연기가 덮개(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증기나 연기가 덮개(100)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개방된 개폐부(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수분으로 변해 다시 요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에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본체
2 : 플랜지
3 : 돌출부
4 : 프라이팬 뚜껑
100 : 프라이팬용 덮개
110 : 몸체부
112 : 연장부
121 : 안내선
130 : 결합부
132 : 제2 삽입홀
140 : 개폐부
142 : 제2 막음판
111 : 안내표식
120 : 날개부
122 : 결합홀
131 : 제1 삽입홀
133 : 결합돌기
141 : 제1 막음판
143 : 제3 막음판

Claims (3)

  1.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20);
    상기 몸체부(110)와 날개부(120)가 결합되어, 횡단면적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뿔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결 합부(130); 및
    상기 뿔 형상의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막음판;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날개부(12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10)를 절개하여 형성 되는 제2 삽입홀(132);
    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지름 방향 길이가 상기 몸체부(110)의 반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막음판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막음판(141,142,143,144);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막음판(142)은, 상기 제2 막음판(14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145);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제4 막음판(144)의 단부가 상기 고정홀(14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뿔 형상의 상측이 폐쇄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에 형성된 금속테의 기울기를 갖는 면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프라이팬 상단에 위치한 플랜지의 경사진면을 따라 유도되어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며 밀폐력을 높여 프라이팬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 형 프라이팬 손잡이로 프라이팬을 파지하는 경우 분리형 프라이팬 손잡이가 플랜지의 외측 하부면에 걸리게 되 어 프라이팬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프라이팬의 무게 중심을 아래쪽으로 낮추어 프라이팬이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가해진 열을 장시 간 머금을 수 있게 프라이팬의 벽면보다 프라이팬 본체의 하단이 돌출되어 두께가 두껍고 하부면이 평탄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밀착 및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팬.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KR1020220050641A 2022-04-25 2022-04-25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KR20230151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41A KR20230151230A (ko) 2022-04-25 2022-04-25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41A KR20230151230A (ko) 2022-04-25 2022-04-25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230A true KR20230151230A (ko) 2023-11-01

Family

ID=8874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641A KR20230151230A (ko) 2022-04-25 2022-04-25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2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53A (ko) 2009-10-30 2011-05-09 박길자 프라이팬 외주덮개
KR20140001083A (ko) 2011-01-27 2014-01-06 창저우 펭유안 인바이런먼털 프로텍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합성과정에서 배출되는 타르 폐기물로부터 톨루엔디아민(tda)을 회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53A (ko) 2009-10-30 2011-05-09 박길자 프라이팬 외주덮개
KR20140001083A (ko) 2011-01-27 2014-01-06 창저우 펭유안 인바이런먼털 프로텍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합성과정에서 배출되는 타르 폐기물로부터 톨루엔디아민(tda)을 회수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260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US20170071406A1 (en) Method of Cooking Utilizing a Splatter Shield
EP3406165A1 (en) Energy-saving safety pot having no steam outlet
US6029652A (en) Cover hood for frying or cooking utensils
WO2015161041A1 (en) Grill having multi-piece drip pan
US20060027575A1 (en) Splatter guard
US7316180B2 (en) Fry pot splatter shield
US20220304503A1 (en) Handling device for fried food
US925781A (en) Domestic baker and steamer.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KR20230151230A (ko) 패킹 밀착력이 향상된 프라이팬 덮개
KR102129033B1 (ko) 프라이팬용 덮개
KR101402638B1 (ko) 기름튀김방지덮개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KR102278573B1 (ko) 프라이팬용 덮개
US2702143A (en) Cover for cooking utensils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US884718A (en) Cooking utensil.
KR200407505Y1 (ko) 육류 구이판
KR20220119997A (ko) 프라이팬 덮개 및 이에 사용되는 손잡이 홀더
KR200171229Y1 (ko) 조리용 기름비산방지판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US1491654A (en) Chimney peotectok
KR20150123116A (ko) 조리용기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