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602Y1 -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602Y1
KR200279602Y1 KR2020020008662U KR20020008662U KR200279602Y1 KR 200279602 Y1 KR200279602 Y1 KR 200279602Y1 KR 2020020008662 U KR2020020008662 U KR 2020020008662U KR 20020008662 U KR20020008662 U KR 20020008662U KR 200279602 Y1 KR200279602 Y1 KR 200279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necklace
spring
main body
spr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일
Original Assignee
공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종일 filed Critical 공종일
Priority to KR2020020008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60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빈을 구비하고, 이 보빈의 중앙에 스프링이 내설되는 스프링박스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타단부는 스프링박스에 고정되어 그 탄성력으로 스프링박스를 회동시켜 보빈이 회전하도록 하되, 본체의 상면에 목걸이 줄이 출납되는 출납구를 좌우측 각각에 형성하여 목걸이 줄이 상기 스프링박스를 중심으로 보빈의 양측 각각에 권취되도록 하는 것으로,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작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도 권취가 용이하도록 하며, 권취된 목걸이 줄을 빼내기가 용이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grabb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hanger string}
본 고안은 핸드폰 목걸이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용 목걸이 줄이 꼬임 없이 권취가 가능하고, 핸드폰 줄의 보관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핸드폰 목걸이 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은 현대의 필수품이라 할 만큼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핸드폰은 그 보급과 더불어 휴대 및 장식용으로 여러 형태의 줄이 부과적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특히 목걸이 줄의 경우 핸드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고, 악세사리용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핸드폰 목걸이 줄의 경우 핸드폰을 목에 건 상태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목에 걸지 않고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혹은 손에 쥐고 다니는 경우에는 목걸이 줄의 길이가 너무 길어 오히려 불편함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통상의 목걸이 줄은 그 길이가 제한되어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서는 너무 길거나, 짧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걸이 줄을 권취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13795호를 들 수가 있다.
이 실시예는 태엽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쏠림 압력을 받도록 본체에 내장된권취판에 장척의 목줄을 감아 본체에 수납하고 본체의 목줄 출입구 부근에는 목줄 잠금구를 장착하며 본체의 저점에는 고리걸이를 형성하고 덮개의 지점에는 상기 고리걸이의 앞가림용 가림판을 형성하여 고리걸이에 걸친 휴대폰 연결용 링을 안정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목걸이 줄은 목걸이 줄 하단으로 부터 상단이 하나의 권취판에 권취됨으로씨 서로 꼬이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양쪽으로 포개된 두겹의 줄을 태엽이 당기게 됨으로써 탄성력이 큰 스프링을 사용해야 하며, 권취과정에서 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얇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줄이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제품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한편 상기한 장치에서 목걸이 줄의 중심부에는 줄이 본체의 내부로 완전히 권취되는 일이 없도록 매듭 혹은 별도의 뭉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는 사용자의 목을 압박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빈의 중앙에 스프링박스를 구비하고, 이 스프링박스 중심으로 그 양측 보빈에 목걸이 줄이 감기도록 하여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작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도 권취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프링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제품 전체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핸드폰용 목걸이 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듭이 없어도 목걸이 줄이 본체 내부로 수납되는 일이 없으며, 권취된 목걸이 줄을 빼내기가 용이하고, 선택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용 목걸이 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걸이 줄이 장치 내부로 완전히 권취됨에 따라 핸드폰의 휴대가 간편한 핸드폰용 목걸이 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빈을 구비하고, 이 보빈의 중앙에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박스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타단부는 스프링박스에 고정되어 그 탄성력으로 스프링박스를 회동시켜 보빈이 회전하도록 하되, 본체의 상면에 목걸이 줄이 출납되는 출납구를 좌우측 각각에 형성하여 목걸이 줄이 상기 스프링박스를 중심으로 보빈의 양측 각각에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 권취장치의 전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권취장치에 적용되는 스프링박스를 절개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권취장치에 적용되는 보빈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권취장치에 목걸이 줄이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 권취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드폰 10: 목걸이 줄
100: 권취장치 101: 본체
110: 회전축 111: 고정보울트
120: 단턱 121: 출납구
130: 요입부 140: 보빈
150: 스프링박스 160: 스프링
170: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전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권취장치에 적용되는 스프링박스를 절개한 단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권취장치에 적용되는 보빈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권취장치(100)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 줄(10)과, 함체형의 본체(101)와, 이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140)과, 상기 보빈(140)과 일체로 구비된 스프링박스(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1)는 장방형의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품화 과정에서는 각종 모형 및 다양한 캐릭터 등의 형태로 제품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벽면에 회전축(110)이 구비되어 상기 보빈(140)이 이 회전축(110)에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보빈(140)은 양측 플랜지(140a)의 중앙을 연결하는 내,외측관(141)(142)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관(141)은 그 중앙이 관통되어 축공(143)이 형성되고, 이 축공(143)을 중심으로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내,외측관(141)(142)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들 사이에는 공간(144)이 형성되어 목걸이 줄이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측관(142)의 좌우측 연부에는 목걸이 줄(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1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목걸이 줄(10)의 끝단에 매듭을 지어 통공(145)에 끼워넣어 그 매듭이 공간(144)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목걸이 줄(10)이 권취과정에서 매듭에 걸려 꼬이는 일이 없도록 하며, 용이한 권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목걸이 줄(10)은 매듭이 아니 별도의 고정뭉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140)의 중앙에는 스프링박스(150)가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박스(150)는 도면과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박스(150)의 내부 수용공간(151)에는 코일 스프링(160)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나사부(1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박스(150)는 그 일부가 본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조립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박스(150)의 외측면에는 나사부(15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나사부(15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프링 박스(15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고, 동시에 본체에 설치된 스토퍼(170)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170)는 본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프링박스(150)의 직하부측에 위치하고, 본체(101)에 형성된 안내공(171)을 따라 이동하며 그 끝단이 스프링박스(150)의 나사부(152)를 걸어 스프링박스(15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물론 상기 스토퍼(170)는 그 내측면에 안내판(172)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공(17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박스(150)의 내측에 탄력 설치되는 스프링(160)은 상기 회전축(110)과 고정봉(153)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먼저 내측단은 상기 회전축(11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은 스프링박스(150)의 내측벽 상부에 돌출된 고정봉(153)에 끼워져 그 탄발력으로 스프링박스(150)를 회전시켜 이와 일체로 형성된 보빈(14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본체(101)의 저부에는 고리(180)가 형성되어 연결줄(2)에 의해핸드폰(1)과 연결되도록 하며, 일측면에는 집게(20)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집게(20)는 권취장치(100)가 흔들려 활동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목에 가해지는 핸드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상면에는 좌우측으로 단턱부(120)가 형성되고, 이 양측 단턱부(120) 사이에 요입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20)에는 목걸이 줄(10) 출납구(12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목걸이줄의 좌우측 각각이 출납하며, 보빈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목걸이 줄(10)이 보빈(140)의 양측에 각각 감기게 되면, 이 줄은 도 5 와 같이 목걸이 줄(10)의 중앙은 요입부(130)를 중심으로 양측 단턱(120)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요입부(130)에 손가락을 목걸이 줄을 빼내게 된다.
첨부된 도 6 은 본 고안 권취장치(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보빈(140)을 분리 제작하되, 하나의 보빈(140)에는 스프링박스 본체부(150a)가 그리고 다른 하나의 보빈에는 상기 스프링박스의 벽면(150b)을 일체로 성형한 구성이다.
이러한 권취장치(10)는 먼저 회전축(110)에 일측 본체부가 갖추어진 보빈(140)의 일측을 끼운 다음, 스프링(160)을 회전축(110)과 고정봉(153)에 걸어 설치하고, 분리된 다른 스프링박스(150)의 측벽을 끼워 조립한 다음, 고정 보울트(111)를 본체(101)의 외부에서 회전축(110) 중앙에 형성된 암나수부(111a)에 체결하는 것으로 조립을 완료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예이고, 다른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목걸이 줄(10)의 좌우측이 스프링박스(150)를 중심으로 좌우측 보빈(140)에 각각 감기게 됨으로써 줄이 꼬이거나 스프링의 탄발력에 무리가 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즉 상기 목걸이 줄(10)의 좌우측 단부는 출납구(121)를 통과한 상태에서 그 끝단이 보빈(140)의 외측관(142)에 형성된 통공(145)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때 줄(10)의 단부는 매듭 혹은 별도의 고정뭉치에 의해 내,외측관(141)(142) 사이의 공간(14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보빈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프링박스(150)의 나사부(152)를 걸고 있는 스토퍼(170)를 밀어 걸림을 해제하고, 요입부(130)에 손가락을 넣어 줄을 당기게 되면 보빈(140)과, 스프링박스(150)가 회전하며 줄(10)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그와 동시에 스프링박스(150)에 내설된 스프링(160)이 감기면서, 점차 스프링박스(150)를 탄압하여 차후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 사용자는 줄(10)이 원하는 길이 만큼 빠져나온 상태에서 스토퍼(170)를 밀어 스프링박스(15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목걸이 줄(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줄(10)을 되감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170)를 밀어 나사부(152)의 걸림을 해제하면, 스프링박스(150)는 스프링(160)의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보빈(140)에 목걸이 줄이 감기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보빈과, 스프링박스(150)를 본체(101)에 내장하여, 본체의 외곽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101)의 하부측에 통공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스토퍼(170)가 이동하며, 스프링박스(150)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박스 중심으로 그 양측 보빈에 목걸이 줄이 감기게 됨으로써 권취과정에서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작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도 권취가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줄 중앙에 매듭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본체에 요입구가 갖추어져 권취된 목걸이 줄을 빼내기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 본 고안의 권취장치는 선택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목걸이 줄이 장치 내부로 완전히 권취됨에 따라 핸드폰의 휴대가 간편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빈을 구비하고, 이 보빈의 중앙에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박스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타단부는 스프링박스에 고정되어 그 탄성력으로 스프링박스를 회동시켜 보빈이 회전하도록 하되, 본체의 상면에 목걸이 줄이 출납되는 출납구를 좌우측 각각에 형성하여 목걸이 줄이 상기 스프링박스를 중심으로 보빈의 양측 각각에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목걸이 줄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줄 출납구는 본체의 상단 양측부에 형성된 단턱에 천공되고, 이 단턱부 사이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요입부 사이에 넣어 권취된 목걸이 줄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목걸이 줄 권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요입부의 직하방으로 안내판을 구비하여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핸드폰 목걸이 줄 권취장치
KR2020020008662U 2002-03-22 2002-03-22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KR200279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62U KR200279602Y1 (ko) 2002-03-22 2002-03-22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62U KR200279602Y1 (ko) 2002-03-22 2002-03-22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602Y1 true KR200279602Y1 (ko) 2002-06-24

Family

ID=7311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62U KR200279602Y1 (ko) 2002-03-22 2002-03-22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6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7314A2 (zh) 伸缩式宠物牵引绳
KR20070012584A (ko) 줄 권취장치
KR200279602Y1 (ko) 핸드폰 목걸이줄 권취장치
WO2002096182A3 (en) Fishing reel spool
KR100404750B1 (ko)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JP5605878B1 (ja) 落下防止物品付き携帯ストラップ
JP4276289B1 (ja) 取り付けコード付勢巻取り装置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676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271298Y1 (ko) 휴대용 자동 길이 조절 줄넘기
KR200213795Y1 (ko)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KR200200163Y1 (ko) 이어마이크 권취릴 잠금 해제 장치
CN210904798U (zh) 一种便携收纳的跳绳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100500218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200202245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줄
CN212183585U (zh) 一种带有可伸缩挂扣的手机壳
KR200336095Y1 (ko) 이어폰 권취 장치
CN220165496U (zh) 一种便携式绕线盒
CN202737291U (zh) 有线话机机线打拧解除器
KR200340140Y1 (ko) 지퍼를 구비 엉킴을 방지한 자동감김 이어폰
KR20230000358U (ko) 줄자 줄넘기
JP3070789U (ja) 巻き取り自在ネックストラップ
KR200336961Y1 (ko) 목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