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06Y1 -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06Y1
KR200279506Y1 KR2020020009437U KR20020009437U KR200279506Y1 KR 200279506 Y1 KR200279506 Y1 KR 200279506Y1 KR 2020020009437 U KR2020020009437 U KR 2020020009437U KR 20020009437 U KR20020009437 U KR 20020009437U KR 200279506 Y1 KR200279506 Y1 KR 200279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rtition wall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병희
유익현
Original Assignee
성병희
유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병희, 유익현 filed Critical 성병희
Priority to KR2020020009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06Y1/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서로 대응하는 돔 형상을 가지면서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 및 제 2 유수공이 천공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방사상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를 분할하면서 여재를 한정하는 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따라 여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격벽부를 구비한다. 제 1 하우징은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된 결합돌기가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결합대와, 제 1 결합대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케이스를 구비한다. 제 2 하우징은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면서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 2 결합대와, 제 2 결합대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2 유수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구비한다. 한편, 격벽부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내부를 등분하면서 여재를 한정하고 내측에는 다수의 제 3 유수공이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갖는다.

Description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Filter medium case}
본 고안은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대응하는 돔 형상을 가지면서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 및 제 2 유수공이 천공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방사상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를 분할하면서 여재를 한정하는 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따라 여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의 처리방법중의 하나인 접촉산화법은 오폐수중의 유기물질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접촉산화법으로 오폐수를 처리할 때에는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부착, 번식할 수 있도록 접촉여재를 정화조 등과 같은 처리조에 넣어서 처리한다. 이러한 접촉여재는 외측에 수많은 기모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막대형상의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투입되거나 일정한 통체 내에 삽입되어 처리조 내로 투입된다.
그런데, 전술한 여재는 유수의 흐름에 따라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여재가 서로 뒤엉키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미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미생물의 부착율을 떨어지게 하여 오폐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대응하는 돔 형상을 가지면서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 및 제 2 유수공이 천공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방사상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를 분할하면서 여재를 한정하는 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따라 여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
도 4a 내지 4d는 격벽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110 : 제 1 하우징
112 : 제 1 결합대 114 : 결합돌기
116 : 제 1 케이스 118 : 제 1 유수공
120 : 제 2 하우징 122 : 제 2 결합대
124 : 결합공 126 : 제 2 케이스
128 : 제 2 유수공 130 : 연결대
140 : 격벽부 150 : 여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된 결합돌기가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결합대와, 제 1 결합대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케이스를 갖는 제 1 하우징;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면서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 2 결합대와, 제 2 결합대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2 유수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갖는 제 2 하우징; 및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내부를 등분하면서 여재를 한정하고 내측에는 다수의 제 3 유수공이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갖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대응하는 돔 형상을 가지면서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 및 제 2 유수공이 천공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방사상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내부를 분할하면서 여재를 한정하는 격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따라 여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100)는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20) 및 격벽부(140)를 구비한다.
제 1 하우징(110)은 제 1 결합대(112) 및 제 1 케이스(116)를 구비한다. 제 1 결합대(112)의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결합대(112)의 상부면 상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된 결합돌기(114)들이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케이스(116)는 제 1 결합대(112)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제 1 케이스(116)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118)들이 제 1 케이스(116)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제 2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10)의 제 1 결합대(112)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대(122) 및 제 1 케이스(116)에 대응하는 제 2 케이스(126)를 구비한다. 제 2 결합대(122)는 제 1 결합대(112)와 마찬가지로,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 1 결합대(112)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되어 결합돌기(114)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124)들이 형성된다. 제 2 케이스(126)는 제 2결합대(122)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제 2 케이스(126)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2 유수공(128)들이 제 2 케이스(126)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이때,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은 제 1 결합대(112) 및 제 2 결합대(122)의 방사상 일측에 배치된 연결대(130)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는 사각형태의 제 1 유수공(118) 및 제 2 유수공(128)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유수공(118) 및 제 2 유수공(128)의 원모양, 별모양 및 다각형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격벽부(140)는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사등분할 수 있도록 90°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격벽(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각각의 격벽(142)은 수직하게 배치된 반원판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다수의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격벽(142)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격벽(142)에 의해서 등분된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 내에는 수많은 기모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여재(150)가 삽입된다(도 3참조).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는 다수의 격벽(142)이 90°의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으나, 격벽(142)의 각도를 120°또는 72°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4D는 격벽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격벽부(140)는 다수의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격벽(242)을 구비한다. 이때, 원판형상의 격벽(242) 중앙부분에는 방사상 끝단에서부터 격벽(242)의 중앙부분까지 절개홈(244)이 형성되며, 절개홈(244)에 대응하는 격벽(242)의 방사상 끝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게 돌출된 가이드돌기(2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격벽(242)의 절개홈(244)은 또 다른 격벽(242)의 절개홈(244)과 결합하고, 각각의 절개홈(244)의 끝단은 각각의 가이드돌기(246) 사이에 끼워져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90°의 간격을 등분한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격벽부(140)는 수직하게 배치된 삼각기둥(250) 및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반원판형상의 다수의 격벽(262)을 구비한다. 이때, 삼각기둥(250)의 각각의 면에는 수직하게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T"자 형성의 장착돌기(252)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격벽(262)의 내측에는 장착돌기(252)에 대응하는 장착공(264)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된다. 즉, 격벽부(140)는 각각의 장착돌기(252) 및 장착공(264)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120°간격으로 등분한다.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격벽부(140)는 수직하게 배치된 오각기둥(270) 및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반원판형상의 다수의 격벽(280)을 구비한다. 이때, 오각기둥(270)의 각각의 면에는 내측으로 "Γ"형상의 장착공(272)이 다수개가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격벽(280)의 일측에는 장착공(27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장착돌기(282)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격벽부(140)는 각각의 장착공(272) 및 장착돌기(282)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72°간격으로 등분한다.
한편, 도 4d를 참조하면, 격벽부(140)는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제 1 격벽(290)을 구비한다. 이러한 격벽(290)의 중앙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공(29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삽입공(292)에는 마찬가지로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제 2 격벽(294)이 끼워진다. 이때, 제 2 격벽(294)은 삽입공(292)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즉, 제 1 격벽(29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이 삽입공(292)에 끼워진 제 2 격벽(294)의 중앙부분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서로 대응하는 후크형상의 걸림턱(296)들이 각각 형성되어 제 2 격벽(294)이 제 1 격벽(290)에서 일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에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다수로 등분하는 격벽부(140)를 구비하고, 격벽부(140)에 의해서 등분된 제 1 케이스(116) 및 제 2 케이스(126)에 여재(150)를 투입한 후 제 1 케이스(116)를 제 2 케이스(126)에 결합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따라서 여재(150)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고 강한 유수의 흐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격벽부(140)에 의해서 한정되는 각각의 여재(150)는 미생물의 부착상태와 탈 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종래보다 큰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된 결합돌기(114)가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결합대(112)와, 상기 제 1 결합대(112)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유수공(118)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케이스(116)를 갖는 제 1 하우징(110);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결합돌기(114)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공(124)이 형성된 제 2 결합대(122)와, 상기 제 2 결합대(122)의 내주면 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반 구형의 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2 유수공(128)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케이스(126)를 갖는 제 2 하우징(120); 및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등분하면서 여재(150)를 한정하고 내측에는 다수의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다수의 격벽(142)을 갖는 격벽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대(112) 및 상기 제 2 체결대(122)의 방사상 일측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10) 및 상기 제 2 하우징(120)을 일체화하기 위한 연결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42)은 반원판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사등분할 수 있도록 90°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42)은 상기 격벽(142)은 반원판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사등분할 수 있도록 120°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42)은 상기 격벽(142)은 반원판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사등분할 수 있도록 72°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40)는 다수의 상기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된 원판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원주면 끝단에서부터 중앙부분까지 절개홈(244)이 형성된 격벽(242)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242)의 상기 절개홈(244)은 또 다른 격벽(242)의 절개홈(244)에 결합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를 90°간격으로 등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40)는 각각의 면상에 "T"자 형성의 장착돌기(252)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형성된 삼각기둥(250)과, 다수의 상기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장착돌기(252)에 대응하는 장착공(264)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형성된 격벽(262)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부(140)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가 120°간격으로 등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40)는 각각의 면상에 "Γ"자 형상의 장착공(272)이 다수개가 형성된 오각기둥(270)과, 다수의 상기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장착공(27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장착돌기(282)가 형성된 격벽(280)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부(140)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116) 및 상기 제 2 케이스(126)의 내부가 72°간격으로 등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40)는 상기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공(292)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제 1 격벽(29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유수공(144)이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292)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제작됨과 아울러 중앙부분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서로 대응하는 후크형상의 걸림턱(296)들이 각각 형성되는 제 2 격벽(29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KR2020020009437U 2002-03-29 2002-03-29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KR200279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37U KR200279506Y1 (ko) 2002-03-29 2002-03-29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37U KR200279506Y1 (ko) 2002-03-29 2002-03-29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06Y1 true KR200279506Y1 (ko) 2002-06-24

Family

ID=7307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37U KR200279506Y1 (ko) 2002-03-29 2002-03-29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733A1 (en) * 2005-10-14 2007-04-19 Sang Bae Han The fluidized biofilm medias
KR100846882B1 (ko) 2006-11-01 2008-07-17 유희재 물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733A1 (en) * 2005-10-14 2007-04-19 Sang Bae Han The fluidized biofilm medias
KR100846882B1 (ko) 2006-11-01 2008-07-17 유희재 물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7917B (zh) 水净化过滤组件
US6338797B1 (en) Filter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110091436A (ko) 막 엘리먼트용 압력용기 및 이를 구비한 막 여과 장치, 그리고 막 여과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60260991A1 (en) Filtering device
CN107126741B (zh) 一种过滤设备
KR200279506Y1 (ko) 오폐수처리용 여재 케이스
US8875904B2 (en) Circular filtering disc and filter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500158A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濾過装置
RU2415087C2 (ru) Двухсторонняя самоочищающая среда
CN1212876C (zh) 改进的废水处理系统的过滤装置
US10722079B2 (en) Universal sink stopper and strainer
JP2010264338A (ja) 浄化槽
JP2014138554A (ja) 生物付着用担体
US20150041412A1 (en) Polyionic Molecular Diffuser and Filter Method
KR102274899B1 (ko) 임펠러
JP3857164B2 (ja) フィルタの設置構造
KR100548882B1 (ko) 하수처리장용 무산소조 도류벽
JP3337649B2 (ja) 濾過装置
CN211864021U (zh) 一种可节流的液体过滤装置
KR930003651Y1 (ko) 농업용수 여과기
JP2942765B1 (ja) 嫌気性微生物を利用する有機性原水処理装置
KR200361788Y1 (ko) 하수처리장용 무산소조 도류벽
KR102013725B1 (ko) 배수구 조립체
CN113149134B (zh) 滤头、过滤器以及过滤机组
KR200289918Y1 (ko) 오,폐수처리장치의 유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