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734Y1 -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734Y1
KR200278734Y1 KR2020020007379U KR20020007379U KR200278734Y1 KR 200278734 Y1 KR200278734 Y1 KR 200278734Y1 KR 2020020007379 U KR2020020007379 U KR 2020020007379U KR 20020007379 U KR20020007379 U KR 20020007379U KR 200278734 Y1 KR200278734 Y1 KR 200278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ing
vehicle
antistatic device
eart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202002000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734Y1/ko

Link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나쁜 도로 여건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비용을 절감시킨 차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 요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전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내측에 어스선이 삽입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수단의 소정부위의 어스선과 보호부재는 접지수단의 전체 직경보다 작은 소직경부를 갖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차동차의 정전기 방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A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device of an earth type for a vehicle}
본 고안은 건조한 날씨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나쁜 도로 여건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될 경우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비용을 절감시킨 차동차 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기(靜電氣)는 부도체 상에 두어진 전하와 같이 거의 이동하지 않는 전하를 말하거나, 혹은 대전(帶電)하지 않는 도체가 전계중에 두어지면 도체 표면에서 전하의 분리가 이루어져 음, 양이 같은 양의 전하가 유기되는 유도대전을 말하거나 부도체가 전계중에 두어지게 되면 내부의 전기 다이폴이 유기되는 유도 분극을 일컫게 되기도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의 차체로부터 인체와 접촉될 경우 발생하는 유도대전에 의한 정전기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자의 손과 의복으로부터 접촉하는 차체에서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정전기는 전류의 량이 미세하여 충격이 치명적이지 못하지만 실제적으로 발생 전압은 상당하여 차체와 접촉되어 정전기를 유발하는 인체 부위의 국부적인 쇼크는 무시할수 없을 만큼의 불꽃과 쇼크를 일으켜 순간 당황하게 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되며, 특히, 겨울철에는 온도와 습도의 조건과 입는 의복의 종류에 기인하여 정전기를 발생하는 횟수가 빈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정전기 방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정전기 발생장치의 일 예로서 열쇠고리형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 열쇠(1)에 정전기 방출부재(2)를 연결시킨 것으로, 상기 정전기 발출부재(2)의 단부측(2a)을 차체에 접촉시키면 차체에 충전된 정전기가 공기중으로 방출하여, 정전기를 방지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쇠고리형 정전기 방지장치는 탑승자가 차동차에 탑승할 때마다 정전기 방출부재(2)를 차체에 접촉시켜야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종래 자동차 정전기 발생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의 배기통(3)에 연결된 고정부(4a)와 지면에 접촉되는 접지부(4b)를 갖는 어스선(4)을 지면과 상시 접지 되게 하여 차체에 의해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출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어스선(4)의 접지부(4b)가 주행간 지면과 항상 마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시 그 접지부(4b)가 닿아서 지면과 완전히 닿지 못할 경우에는 효과를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도로면상에 틈새등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어스선(4)의 접지부(4b)가 그 틈 사이로 끼이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계속진행하게 되면, 상기 어스선(4)의 고정부(4a)가 강하게 잡아 당겨져서 그 고정부(4a)가 장착된 차체(예를 들면, 배기통)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차체의 저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교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지부만 닿아진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전체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낭비의 원인이 되고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의 수명을 연장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접지 신뢰성을 유지시키고, 그 일단부가 지면에 형성된 틈새에 끼일 경우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차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교체비용을 절감시킨 차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정전기 발생장치의 일 예로서 열쇠고리형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정전기 발생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의 제2 접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0: 고정부재 12, 21, 24: 어스선
13, 22, 25: 보호부재 14: 접지수단
23: 제1 접지부 26: 제2 접지부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전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내측에 어스선이 삽입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수단의 소정부위의 어스선과 보호부재는 접지수단의 전체 직경보다 작은 소직경부를 갖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접지수단의 소 직경부는 상기 접지수단에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차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임계값에 대응하여 끓어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접지수단은 내측에 어스선이 삽입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 접지부와, 내측에 상기 제1 접지부의 어스선과 연결되는 어스선이 삽입된 보호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는 상기 제1 접지수단의 타단부에 결합 분리가능하며, 그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제2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지부의 소정부위에 상기 소직경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와; 내측에 어스선(12)이 삽입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1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보호부재(13)로 이루어지는 접지수단(14)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수단(14)의 어스선(12)과 보호부재(13)의 소정부위 직경이 접지수단의 전체 직경(d1, t1)보다 작은 소직경부(d2, t2)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1)는 차체, 좀더 자세하게는 차체의 배기통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일예로, 일측이 개방된 환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개방부를 통해 차체의 배기통으로 끼운 다음, 그 개방부측에서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상기 보호부재(13)는 내측에 어스선(12)이 압입 설치되는 형태라면 어떠한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나 수지와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스선(12)과 보호부재(13)의 소 직경부(d2, t2)는 전체 직경(d1, t1)의 1/3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스선(12)과 보호부재(13)에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고정부재(11)가 고정된 차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임계값에 대응하여 끓어질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그 일단부가 지면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차량이 계속 진행할 경우, 차체에 고정부위가 파손되기 이전에 그 소 직경부(d2, t2)에서 어스선(12) 및 보호부재(13)가 끊어짐으로써 차량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0)에 열결되고 내측에 어스선(21)이 삽입되는 보호부재(22)로 이루어지는 제1 접지부(23)와; 내측에 상기 제1 접지부(23)의 어스선(21)과 연결되는 어스선(24)이 삽입되는 보호부재(25)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접지부(23)와 결합 분리가능하며, 그 일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는 제2 접지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지부(23)(26)의 결합 방식은 결합 분리가 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 일예로, 상기 제1 접지부(23)의 일단부에 관통공(23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지부(23)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지부(26)의 타단부에 관통공(26a)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형태를 제1 접지부(23)의 일단부와 제2 접지부(26)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접지부(23)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접지부(23)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접지부(26)의 타단부에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장시간 이용시 지면에 접촉되는 부위가 닿아 접지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차체 저면 깊숙히 들어갈 필요없이 손으로 정전기 방지장치를 잡아 당긴 후, 제2 접지부(26)만을 교환함으로써 정전기 방지장치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접지부(23)와 제2 접지부(26)의 결합부위에 야광판 또는 반사판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의 제2 접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제2 접지부(27)는, 그의 소정부위에 어스선(24)과 보호부재(25)의 직경이 접지부의 전체 직경(d1, t1)보다 작은 소직경부(d2, t2)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어스선(24)과 보호부재(25)의 소 직경부(d2, t2)는 전체 직경(d1, t1)의 1/3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스선(24)과 보호부재(25)에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고정부재(20)(도 4 참조)가 결합되는 차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임계값에 대응하여 끓어질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제2 접지부(27)만을 교체함으로써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접지부(27)의 일단부가 지면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차량이 계속 진행할 경우, 차체에 고정부위가 파손되기 이전에 소 직경부(d2, t2)에서 어스선(24) 및 보호부재(25)가 끊어짐으로써 차량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의 수명을 연장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접지 신뢰성을 유지시키고, 그 일단부가 지면에 형성된 틈새에 끼일 경우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교체비용을 절감시킬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전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내측에 어스선이 삽입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수단의 소정부위의 어스선과 보호부재는 접지수단의 전체 직경보다 작은 소직경부를 갖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의 소 직경부는
    상기 접지수단에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차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임계값에 대응하여 끓어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내측에 어스선이 삽입되고,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 접지부와,
    내측에 상기 제1 접지부의 어스선과 연결되는 어스선이 삽입된 보호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는 상기 제1 접지수단의 타단부에 결합 분리가능하며, 그 타단부는 지면에 접지되는 제2 접지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부의 타단부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지부의 일단부에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지부와 제2 접지부는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접지부의 일단부에는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홈과 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부의 소정부위에 상기 소직경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KR2020020007379U 2002-03-13 2002-03-13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KR200278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79U KR200278734Y1 (ko) 2002-03-13 2002-03-13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379U KR200278734Y1 (ko) 2002-03-13 2002-03-13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72A Division KR20030074031A (ko) 2002-03-23 2002-03-23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734Y1 true KR200278734Y1 (ko) 2002-06-21

Family

ID=7311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379U KR200278734Y1 (ko) 2002-03-13 2002-03-13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7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0558A (en) Traffic sensor for roadway placement
US4812670A (en) Theft protection cable and circuit including said cable
US6217125B1 (en) Safety wheel assembly
CH597008A5 (en) Pneumatic tyre for mounting on metal rim of vehicle wheel
KR101212997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도로 결빙 방지장치
US6703557B2 (en) Vehicle antistatic device
KR200278734Y1 (ko)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KR20030074031A (ko) 자동차의 접지식 정전기 방지장치
US1786717A (en) Trolley silencer
US6963263B1 (en) Non-contact electrical energy transfer system
KR200313733Y1 (ko) 자동차 정전기 방지용 접지구.
KR100793002B1 (ko) 타이어 정전기 방지용 스티커
KR20210130402A (ko) 도로 빙판길에서 제동력이 높은 미끄러짐 방지용 타이어
KR200172651Y1 (ko) 정전기방지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타이어
US3158782A (en) Means for eliminating static charges from vehicles
KR100360756B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102630242B1 (ko) 스터드 핀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타이어
KR200267884Y1 (ko) 자동차용 정전기 방지장치
KR200247516Y1 (ko) 자동차 정전기 방지장치
KR20000020302A (ko) 정전기 방지 타이어
KR950005675A (ko) 임의의 원하는 타입의 차량; 차량에 탑재되는 엔진;그리고 엔진개선 보조장치
JPH0627372U (ja) 自動車に帯電する静電気を放電させるラベル
KR20000018975U (ko) 자동차용 정전기 방지 타이어
KR200249600Y1 (ko) 정전기가 방전되는 자동차용 열쇠
KR200337323Y1 (ko) 정전기 방전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