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398Y1 - 개폐창문 - Google Patents

개폐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398Y1
KR200278398Y1 KR2020020005859U KR20020005859U KR200278398Y1 KR 200278398 Y1 KR200278398 Y1 KR 200278398Y1 KR 2020020005859 U KR2020020005859 U KR 2020020005859U KR 20020005859 U KR20020005859 U KR 20020005859U KR 200278398 Y1 KR200278398 Y1 KR 200278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window
control unit
wind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원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희섭 filed Critical 원희섭
Priority to KR2020020005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398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창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상적으로 창문을 개폐할 때는 하단부가 외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되고, 화재시와 같은 긴급상황의 발생시 실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연기가 신속히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는 개폐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창문본체의 양측단면 중간부 또는 상단부 양측단면의 창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갖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건축물의 개폐창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문은 소정반경을 갖는 반원형상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문본체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개폐기어와; 창문본체의 상기 개폐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개폐기어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창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창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개폐스위치와; 건축물의 전체의 창문본체의 개폐를 조정하는 관제부와; 상기 구동모터, 개폐스위치 및 관제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제부 또는 개폐스위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창문본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창문{Open and close window}
본 고안은 개폐창문에 관한 것으로, 일상적으로 창문을 개폐할 때는 하단부가 외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되고, 화재시와 같은 긴급상황의 발생시 실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연기가 신속히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개폐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축물의 창문은 그 개폐구조가 회동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창문의 양측면 중간이나 상단부에 창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힌지축을 갖고 있어 창문이 하단부를 밀면 창문의 하단부가 외향으로 회동되며, 창문이 열리고, 창문의 하단부를 당김으로써 닫혀지는 개폐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문은 창문을 열었을 때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단부를 외향으로만 회동시켜 열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또는 유해가스 누출 등으로 인해 실내가 연기 또는 가스로 오염되었을 때 연기 또는 가스가 창문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일상적으로 창문을 개폐할 때는 하단부가 외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되고, 화재시와 같은 긴급상황의 발생시 실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연기가 신속히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는 개폐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창문본체의 양측단면 중간부 또는 상단부 양측단면에 창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갖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건축물의 개폐창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문은 소정반경을 갖는 반원형상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문본체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개폐기어와; 창문본체의 상기 개폐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개폐기어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창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창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개폐스위치와; 건축물 전체의 창문본체의 개폐를 조정하는 관제부와; 상기 구동모터, 개폐스위치 및 관제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제부 또는 개폐스위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창문본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창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힌지 및 구동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구성 및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다른 구동구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개폐창문 11: 창문본체
12: 힌지축 13: 개폐기어
14: 구동모터 15: 구동기어
16: 창틀 17: 관제부
18: 제어부 19: 연기/가스감지센서
20: 개폐스위치 21: 개폐체인
22: 스프라켓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창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힌지 및 구동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구성 및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의 다른 구동구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10)은 창문본체(11)와, 힌지축(12)과, 개폐기어(13)와, 구동모터(14)와, 관제부(17)와, 제어부(18)와, 개폐스위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본체(11)는 양측단부 중간부 또는 상단부측에 창틀(15)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창문본체(11)를 지지하는 상기 힌지축(11)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12)은 상기 개폐기어(13)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기어(13)는 외주면에 기어부를 갖는 반원판 형상으로써 상기 힌지축(12)에 고정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14)는 회전축에 상기 개폐기어(13)의 기어부와 치합되어 개폐기어(13)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15)가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15)가 개폐기어(13)의 기어부와 치합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창틀(16)의 소정위치에 내장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회전수 및 회전각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개폐스위치(20)는 열림/닫힘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4)가 정/역회전하면서 창문본체(11)를 하단부가 외향으로 회동되어 열고, 내향으로 회동되어 닫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창틀(16)이나 벽체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데 상기 개폐스위치(20)를 이용하여 창문본체(11)를 열 때에는 상기 창문본체(11)는 하단부가 외향으로만 회동되어 열리게된다.
상기 관제부(17)는 건물내의 각종 방화시설 등을 중앙통제하는 곳으로써,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창문본체(11)를 하단부가 내향 또는 외향으로 회동시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8)은 상기 개폐스위치(20) 또는 관제부(17)의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모터(14)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창문본체(11)를 내/외향회동열림 및 내/외향회동닫힘으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4), 관제부(17) 및 개폐스위치(20)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10)은 연기/가스감지센서(19)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연기/가스감지센서(19)는 상기 제어부(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 소정위치에 설치되는데 실내에 연기 또는 가스가 감지되었을 때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에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8)는 상기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상기 창문본체(11)를 회동시켜 열리도록함으로써 실내의 연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10)은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폐스위치(20)를 조작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데 개폐스위치(20)를 열림쪽으로 스위치하면 상기 구동모터(14)는 정회전되고, 상기 구동모터(14)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창문본체(11)는 하단부가 외향으로 회동되며 열리게되고, 닫힘쪽으로 스위치하면 상기 구동모터(14)는 역회전되고, 상기 구동모터(14)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창문본체(11)는 하단부가 내향으로 회동되며 닫혀지게 되는데 상기 열림/담힘조작시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수는 요구되는 창문본체(11)의 열림각도에 따라 제어부(18)를 셋팅함으로써 정해지며, 개폐스위치(20)의 조작에 의한 개폐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창문본체(11)의 하단부가 외향으로만 회동되어 열리도록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경보가 가동되었다면, 관제부(16)에서는 즉시 제어부(18)로 창문개방신호를 송신하고 관제부(17)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8)를 상기 구동모터(14)를 역회전시켜 상기 창문본체(11)의 하단부가 내향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함으로써 실내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가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기/가스감지센서(18)가 연기 또는 가스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로 송신하였다면, 그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7)는 즉시 상기 구동모터(14)를 역회전시켜 상기 창문본체(11)의 하단부가 내향으로 회동되어 열리도록 한다.
상기 관제부(17) 또는 연기/가스감지센서(18)에 의한 창문개방시에는 창문본체(11)가 내향으로 회동되며 열리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구동모터(14)의 회전수는 요구되는 창문본체(11)의 열림각도에 따라 제어부(18)를 셋팅함으로써 정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창문(10)은 상기 개폐기어(13) 대신에 개폐체인(21)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개폐체인(21)을 사용할 때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개폐체인(21)이 상기 창문본체(11)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양단부가 각기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5) 대신에 상기 개폐체인(21)과 치합되어 정/역회전하며 개폐체인(21)을 작동시키는 소정직경을 갖는 스프라켓(22)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도어(10)는 상기 개폐스위치(20)를 열림쪽으로 스위치하였을 때 상기 구동모터(14)가 역회전되면서 상기 개폐체인(21)이 역회전되는 스프라켓(22)을 따라 개폐체인(21)의 하측단부쪽으로 이동됨으로 상기 창문본체(11)는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외향으로 회동되게 열려지고, 상기 관제부(17) 또는 연기/가스감지센서(19)에 의해 열려질 때에는 상기 구동모터(14)가 정회전되면서 상기 개폐체인(21)이 정회전되는 스프라켓(22)을 따라 개폐체인(21)의 상측단부쪽으로 이동됨으로 상기 창문본체(11)는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내향으로 회동되게 열려지도록 상기 제어부(18)가 세팅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상적으로 창문을 개폐할 때는 하단부가 외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되고, 화재시와 같은 긴급상황의 발생시 실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연기가 신속히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개방됨으로써 연기 또는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창문본체의 양측단면 중간부 또는 상단부 양측단면에 창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갖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건축물의 개폐창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문(10)은 소정반경을 갖는 반원형상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문본체(11)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개폐기어(13)와; 창문본체(11)의 상기 개폐기어(13)와 치합되어 상기 개폐기어(13)를 구동하는 구동기어(15)를 구비하고 창틀(16)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4)와; 창문본체(11)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개폐스위치(20)와; 건축물의 전체의 창문본체(11)의 개폐를 조정하는 관제부(17)와; 상기 구동모터(14), 개폐스위치(20) 및 관제부(17)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제부(17) 또는 개폐스위치(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창문본체(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창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문(10)은 실내에서 연기 또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실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연기 또는 가스가 감지되었을 때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에 송신하는 연기/가스감지센서(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창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개폐스위치(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창문본체(11)가 개방될 때에 상기 창문본체(11)의 하단부가 외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열리도록 상기 구동모터(14)를 제어하고, 상기 관제부(17) 또는 연기/가스감지센서(19)에 의해 창문본체(11)가 개방될 때엔 상기 창문본체(11)의 하단부가 내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열리도록 상기 구동모터(1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페창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문(10)은 소정길이를 갖고 양단부가 각기 창문본체(11)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개폐체인(21)과; 창문본체(11)의 상기 개폐체인(21)과 치합되어 상기 개폐체인(21)을 구동하는 스프라켓(22)을 회전축에 구비하고 창틀(16)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4)와; 창문본체(11)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개폐스위치(20)와; 건축물의 전체의 창문본체(11)의 개폐를 조정하는 관제부(17)와; 상기 구동모터(14), 개폐스위치(20) 및 관제부(17)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제부(17) 또는 개폐스위치(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를 구동시켜 창문본체(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창문.
KR2020020005859U 2002-02-27 2002-02-27 개폐창문 KR200278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59U KR200278398Y1 (ko) 2002-02-27 2002-02-27 개폐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59U KR200278398Y1 (ko) 2002-02-27 2002-02-27 개폐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398Y1 true KR200278398Y1 (ko) 2002-06-20

Family

ID=7307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859U KR200278398Y1 (ko) 2002-02-27 2002-02-27 개폐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3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5B1 (ko) 2006-06-30 2008-03-19 박재현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1163762B1 (ko) * 2009-10-05 2012-07-09 (주)일진윈테크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1243383B1 (ko) 2011-03-09 2013-03-14 종 환 안 태양광발전 겸용 이중창호
KR200475525Y1 (ko) * 2014-08-18 2014-12-08 주식회사 알엠케이 회전가능한 아이디씨용 방화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5B1 (ko) 2006-06-30 2008-03-19 박재현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1163762B1 (ko) * 2009-10-05 2012-07-09 (주)일진윈테크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1243383B1 (ko) 2011-03-09 2013-03-14 종 환 안 태양광발전 겸용 이중창호
KR200475525Y1 (ko) * 2014-08-18 2014-12-08 주식회사 알엠케이 회전가능한 아이디씨용 방화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096B2 (en) Door operator
ES2256307T3 (es) Dispositivo para manejar la hoja de una puerta o similar, y estructura de puerta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tal.
US5493813A (en) Selectively drivable window operator
US6347485B1 (en) Power assist for moving a door between a closed and an ajar position
KR200278398Y1 (ko) 개폐창문
KR101909656B1 (ko) 통풍과 채광이 용이한 건축물용 도어
US6038816A (en) Blinder
KR200427713Y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KR100424970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0117878Y1 (ko) 냉장고
JPH11117471A (ja) 電動天窓
KR200321450Y1 (ko)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
JP2536600Y2 (ja) 窓開閉装置
KR102555585B1 (ko)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102654443B1 (ko) 수평방향 회전식 송풍장치
JP4568699B2 (ja) 換気装置
KR200322426Y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JP3469444B2 (ja) 電動天窓
KR200162458Y1 (ko) 차량의 에어 배출 그릴 개. 폐구조
JPH11287076A (ja) 日照取り入れ機能付雨戸
JPH10253109A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アッセンブリ
KR20050080796A (ko)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JP2006002424A (ja) 回転式自動ドア、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