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240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240Y1
KR200278240Y1 KR2020020009161U KR20020009161U KR200278240Y1 KR 200278240 Y1 KR200278240 Y1 KR 200278240Y1 KR 2020020009161 U KR2020020009161 U KR 2020020009161U KR 20020009161 U KR20020009161 U KR 20020009161U KR 200278240 Y1 KR200278240 Y1 KR 200278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pulley
rotating
l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춘수
Original Assignee
양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춘수 filed Critical 양춘수
Priority to KR2020020009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40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받침간이 지지봉에 의해 설치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에 축설되어 회동하는 좌판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좌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구동풀리가 설치된 모터와; 상기 구동풀리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좌판측으로 전달하도록 제 1 및 제 2풀리로 이루어진 감속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및 제 2풀리에 전달하는 V벨트와; 상기 제 2풀리의 상부면에 축설되어 상기 제 2풀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연결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간의 일측에서 핀에 의해 축설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일단과 핀에 의해 축설되어 회동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립되어 상기 좌판의 저면과 연결되며 회전판의 회동력을 상기 좌판에 전달하여 상기 좌판을 좌우방향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시키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을 제거하였으며 특히, 좌판을 좌우 소정 폭으로 반복 회동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좌판을 좌우 소정각도로 반복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허리를 자동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는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운동을 통하여 좌우로 비틀어주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운동을 통하여 허리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통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루종일 앉아서 일을 보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가볍게 걷는 등의 운동이 미흡하므로 자주 허리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허리의 통증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156862호 허리운동의자는 좌대의 중앙에 고정한 감속모터를 설치하고 모우터축의 단부에는 여러 개의 구멍을 뚫은 캠판을 고정하고 캠판의 구멍에는 좌판의 중앙에 베어링으로 유착한 축을 너트로 고정하여 좌판을 모터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360° 좌우 편심 운동하는 의자는, 캠판의 편심에 좌판을 고정하여 운동하므로 장시간 사용할시 캠판에 피로현상이 누적되고, 회전축의 베어링이 한쪽으로 치우친 하중 때문에 피로현상의 누적으로 인해 손상되어 잡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좌판과 각 풀리들의 축이 모두 정축에 자리하여 하중의 고른 분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잡음 등이 발생하지 않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정회전만으로 좌판을 좌우 소정각도로 좌우 반복하여 구동시켜 허리를 효과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의자 11 : 팔받침간
13 : 지지봉 15 : 좌대
17 : 좌판 20 : 모터
21 : 감속부 23 : 구동풀리
24 : 제 1풀리 25 : 제 2풀리
28 : 회전축 29 : 연결간
30,30a: 핀 31 : 제 1링크
33 : 회전판 35 : 지지축
37 : 제 2링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팔받침간이 지지봉에 의해 설치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에 축설되어 회동하는 좌판을 갖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구동풀리가 설치된 모터와; 상기 구동풀리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좌판측으로 전달하도록 제 1 및 제 2풀리로 이루어진 감속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및 제 2풀리에 전달하는 V벨트와; 상기 제 2풀리의 상부면에 축설되어 상기 제 2풀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연결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간의 일측에서 핀에 의해 축설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일단과 핀에 의해 축설되어 회동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립되어 상기 좌판의 저면과 연결되며 회전판의 회동력을 상기 좌판에 전달하여 상기 좌판을 좌우방향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시키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부는 수 개로 이루어진 기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10)는, 팔받침간(11)이 지지봉(13)에 의해 설치된 좌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좌대(15)의 소정 위치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모터(20)에 의해 좌우 소정 폭으로 회동하는 좌판(17)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좌판(17)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좌대(15)의 내부에는 모터(20)가 설치되며 모터(20)의 선단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2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풀리(23)의 주변에는 구동풀리(23)를 포함한 제1 및 제 2풀리(24)(25)로 이루어진 감속부(21)가 마련되며 상기 감속부(21)는 V벨트(27)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감속부(21)를 이루는 구동풀리(23) 및 제 1 및 제 2풀리(24)(25)는 기어(도시치 않음)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풀리(25)의 상부면에는 제 2풀리(2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8)이 축설되어 있으며, 회전축(28)에는 연결간(29)이 고착되어있다. 그리고, 연결간(29)의 일측에는 핀(30)에 의해 제 1링크(3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 1링크(31)의 일단에는 핀(30a)에 의해 축설된 회전판(33)이 설치되며 회전판(33)의 일측에는 상기 좌판(17)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 2링크(37)가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판(33)은 지지축(35)에 구속되지 않고 회동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표현하고 있는 도면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도시치 않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의자(10)는, 좌판(17)에 사용자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도시치 않음)를 조작하면 모터(20)가 구동한다. 모터(20)가 구동하면 구동풀리(23)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V벨트(27)에 의해 제 1 및 제 2풀리(24)(25)로 이루어진 감속부(21)에 전달된다.
모터(20)의 회전력이 감속부(21)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제 2풀리(25)의 상면에 축설된 회전축(28)을 회전하며 회전축(28)에 연결된 제 1링크(31)는 원 운동하는 회전축(28)에 의해 직선운동을 한다. 따라서, 제 1링크(31)와 핀(3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회전판(33)은 제 1링크(31)의 직선운동에 따라 좌우 소정 폭으로 회동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제 2링크(37)를 통해 좌판(17)을 좌우 소정 폭으로 반복 회동시킴으로써 좌판(17)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자동으로 운동시키게 된다.
한편, 좌판(17)은 제 1 및 제 2링크(31)(37)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모터(20)의 회전이 정회전에 관계없이 원하는 각도(폭)로 좌판을 좌우 회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을 제거하였으며 특히, 좌판을 좌우 소정 폭으로 반복 회동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된다.

Claims (2)

  1. 팔받침간이 지지봉에 의해 설치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에 축설되어 회동하는 좌판을 갖는 허리운동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구동풀리가 설치된 모터와;
    상기 구동풀리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좌대측으로 전달하도록 제 1 및 제 2풀리로 이루어진 감속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및 제 2풀리에 전달하는 V벨트와;
    상기 제 2풀리의 상부면에 축설되어 상기 제 2풀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연결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간의 일측에서 핀에 의해 축설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일단과 핀에 의해 축설되어 회동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립되어 상기 좌판의 저면과 연결되며 회전판의 회동력을 상기 좌판에 전달하여 상기 좌판을 좌우방향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시키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수 개로 이루어진 기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20009161U 2002-03-27 2002-03-27 의자 KR200278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61U KR200278240Y1 (ko) 2002-03-27 2002-03-27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61U KR200278240Y1 (ko) 2002-03-27 2002-03-27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40Y1 true KR200278240Y1 (ko) 2002-06-20

Family

ID=7312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61U KR200278240Y1 (ko) 2002-03-27 2002-03-27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02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02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2942A1 (ja) 着座型運動装置
JP6723560B2 (ja) マッサージ機
US5052376A (en) Drive section for automatic massaging apparatus
KR200278240Y1 (ko) 의자
KR20010098807A (ko) 마사지기
JP2008011990A (ja) 着座型運動装置
KR102213428B1 (ko) 자동 회전의자
JP6642406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0386755Y1 (ko) 허리 비틀기 헬스기
JP2008272328A (ja) 立ち乗り型運動装置
CN210581770U (zh) 一种按摩椅的椅架及应用该椅架的按摩椅
KR200156862Y1 (ko) 허리운동의자
JP6550488B1 (ja) ベッドおよび椅子に用いる台座
JP2000116741A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16135191A (ja) マッサージ機構
CN2296130Y (zh) 具有腰背旋转运动功能的办公座椅
KR100480957B1 (ko) 유산소운동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JP4027026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810670B1 (ko) 허리 운동기구
KR200278256Y1 (ko) 운동 의자
KR200362429Y1 (ko) 유산소운동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KR200273269Y1 (ko) 허리운동의자
KR200379986Y1 (ko) 허리운동용 의자
KR200325535Y1 (ko) 허리운동의자
KR200401083Y1 (ko) 허리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