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823Y1 - 칠판의 흡진장치 - Google Patents

칠판의 흡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823Y1
KR200277823Y1 KR2020020004897U KR20020004897U KR200277823Y1 KR 200277823 Y1 KR200277823 Y1 KR 200277823Y1 KR 2020020004897 U KR2020020004897 U KR 2020020004897U KR 20020004897 U KR20020004897 U KR 20020004897U KR 200277823 Y1 KR200277823 Y1 KR 200277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lackboard
suction
pedestal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천
이상홍
김용의
Original Assignee
고재천
김용의
이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천, 김용의, 이상홍 filed Critical 고재천
Priority to KR2020020004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823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칠판의 흡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칠판의 사용시 발생하는 분필가루와 같은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는 칠판의 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진장치는 상기 칠판 하부의 받침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받침대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입관이 내장되어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먼지는 여과하고 공기만 배출하는 흡입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칠판의 흡진장치 {Inhaler of blackboard}
본 고안은 칠판의 흡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칠판의 사용시 발생하는 분필가루와 같은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는 칠판의 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 강의실, 회의실 등과 같이 여러 명을 모아 놓고 강의를 하거나 설명하는 장소에는 대부분 전면에 설치된 칠판이 사용되고, 이때 분필이나 수성매직펜을 이용하여 칠판에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게 된다.
상기 칠판을 지울 때는 스폰지 등과 같은 분필가루 흡수제를 내장한 지우개를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지우개를 털어 재사용한다.
그런데 지우개로 칠판을 지울 때에 분필가루가 주변으로 비산되어 피수강생이나 수강생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오랜 세월동안 강의를 하는 교사들은 먼지가 체내에 쌓여 각종 질병에 걸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지우개를 털 때는 실외에서 지우개의 앞면을 막대기로 두드리거나 벽에 대고 털기 때문에 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며 지울 때처럼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지우개 털이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칠판을 지울 때에 생기는 문제점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칠판 하단의 받침대에 흡입구와 통하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에 연통시킴으로서, 칠판의 사용시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건강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또한 칠판 지우개를 실내에서 신속 간편하게 털고 이때 집진된 먼지를 처리할 수 있는 칠판의 흡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의실, 회의실 등의 전면에 설치된 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 하부의 받침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받침대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입관이 내장되어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먼지는 여과하고 공기만 배출하는 흡입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흡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진장치가 설치된 칠판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칠판 12 : 받침대
13 : 수용부 14 : 흡입구
16a,…,16f : 흡입관 18 : 연결관
20 : 지우개 털이기 22 : 지우개
24 : 모터 26 : 회전체
28 : 회전유도체 30 : 마찰돌기
32 : 경사판 34 : 풀리
36 : 벨트 38 : 흡입통공
39 : 집진부 50 : 흡입기
52 : 본체 54 : 커버
56 : 여과필터 58 : 흡입모터
59 : 팬 60 : 공기배출구
64 : 먼지 66 : 청소용 흡입호스
68a,68b : 개폐밸브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진장치가 설치된 칠판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강의실, 회의실 등의 전면에 설치된 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10) 하부의 받침대(12) 내부에 수용부(13)가 형성되어 받침대(12)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흡입구(14)와 연통되고, 상기 수용부(13)에는 흡입관이 설치되어 연결관(18)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18)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먼지는 여과하고 공기만 배출하는 흡입기(50)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에, 상기 받침대(12)의 일측 상부에 지우개 털이기(20)가 위치되어 지우개 털이개(20)의 집진부 바닥면(39a)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통공(38)과 상기 흡입구(14)가 서로 연통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에, 상기 수용부(13)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흡입관(16a,…,16f)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대(12)의 위치에 관계없이 골고루 먼지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에, 상기 연결관(18)에 청소용 흡입호스(66)가 분기되어 연결관(18)과 청소용 흡입호스(66)에는 각각 개폐밸브(68a,68b)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강의실, 회의실 등에 전면에 설치되는 칠판(10)에는 지우개(22) 및 분필이 구비된다.
보통 지우개(22) 및 분필은 칠판 하부의 받침대(12)에 비치되고 상기 받침대(12)의 내부에는 흡입관(16a,…,16f)을 설치할 수 있도록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수용부(13)가 형성된 받침대(12)의 상면에는 비산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14)가 형성된다.
이때 흡입관(16a,…,16f)은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흡입관(16a,…,16f)을 연결관(18)과 연통시키면 흡입관(16a,…,16f)을 통한 흡입력이 일정하여 흡입구(14)의 위치에 관계없이 먼지의 흡입력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수용부(13)를 직접 연결관(18)과 연통시키면 연결관(18)과 가까이 있는 쪽의 흡입구(14)에는 흡입력이 강하나 연결관(18)과 멀리 있는 쪽의 흡입구(14)에는 흡입력이 약하여 먼지를 제대로 흡입하지 못한다.
상기 흡입관(16a,…,16f)과 연결된 연결관(18)은 공기와 먼지를 함께 흡입하여 먼지는 여과하고 공기만 배출하는 흡입기(50)와 연결된다.
도 1에서 이러한 흡입기(50)의 일예를 들었다.
그 구성은 하부의 흡입기 본체(52)와 상부의 커버(54)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54)의 하측으로는 분필가루 등의 먼지(64)를 걸러내는 여과필터(56)가 구비되며 본체(52)에는 팬(59)이 결합된 흡입모터(58)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52)의 하단에는 공기배출구(60)가 형성되어 여과필터(56)를 통과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기(50)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스콜과 이 스콜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스콜 구조 및 원리를 이용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우개 털이기(20)도 본 고안에 따른 흡진장치에 구성할 수 있는 바, 도 2에서 일반적인 지우개 털이기(20)의 일예를 들었다.
그 구성은, 모터(24)에 의해 회전하면서 지우개(22)의 앞면(22a)을 두드리고 긁어주는 회전체(26), 상기 회전체(26)에 의해 비산되는 먼지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회전유도체(28), 그리고 상기 회전체(26)와 회전유도체(28) 사이의 경사판(32), 분필가루가 집진되는 하부의 집진부(39), 상기 집진부(39)의 바닥면(39a)에 형성된 흡입통공(38)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26)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마찰돌기(30)가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34와 36은 모터(24)의 회전력을 회전체(26)와 회전유도체(28)에 전달하는 풀리와 벨트이다.
상기한 구성의 지우개 털이기(20)가 받침대(12) 상부에 위치되고 그 바닥면(39a)의 흡입통공(38)과 받침대(12)의 흡입구(14)가 서로 연통되어 집진부(39)에 있는 분필가루가 가까운 흡입관(16a,…,16f)으로 흡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8)에 청소용 흡입호스(66)를 분기시키고 연결관(18)과 청소용 흡입호스(66)에는 각각 개폐밸브(68a,68b)를 설치하여 이 개폐밸브의 개폐여부에 따라 칠판(10)의 먼지 흡입용이나 실내의 청소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우개 털이기(20)에 지우개(22)를 감지할 수 있는 미도시된 센서를 부착하고, 흡입기(50)의 흡입모터(58)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센서와 조절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가 지우개(22)를 감지하면 흡입모터(58)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고 감지하지 못하면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있다.
또한 상기 센서를 모터(2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센서의 감지에 의해 모터(24)를 ON/OFF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수용부(13)를 칠판(10)의 하부인 받침대(12)에 형성하였으나 칠판(10)의 상부에 형성하고 이 수용부에 흡입관을 내장시켜 연결관(18)과 연통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흡진장치에 의하면, 분필을 이용하여 칠판(10)에 필기하고 지우개(22)를 이용해 필기한 내용을 지울 때 발생하는 분필가루 등의 먼지(64)가, 흡입모터(58)의 팬(59)이 강하게 회전함에 따라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연결관(18), 다수의 흡입관(16a,…,16f), 흡입구(14)에 전달되어, 받침대(12)에 다수 형성된 흡입구(14)를 통해 수용부(13)의 흡입관(16a,…,16f)으로 흡입이 된다.
계속하여 흡입된 먼지(64)는 연결관(18)을 통해 흡입기(5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여과필터(56)를 통해 먼지는 걸러지게 되고 팬(59)의 작동에 따라 공기는 공기배출구(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을 하다가 흡입기(50)에 먼지(64)가 쌓이게 되면 본체(52)와 커버(54)를 분리하여 여과필터(56)를 교체하거나 먼지(64)를 버리면 된다.
상기 지우개(22)로 먼지(64)를 털고 난 후에 지우개 털이기(20) 상부에 올려 놓으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24)가 회전하고(이때 흡입모터(58)의 회전력은 약화됨), 회전체(26)의 마찰돌기(30)가 지우개(22)의 앞면(22a)을 두드리고 긁어주게 되며 이때 비산하는 먼지는 회전유도체(28)에 의해 유도되어 경사판(32)을 따라 집진부(39)에 쌓이게 된다.
집진부(39)에 쌓인 먼지는 바닥면(39a)의 흡입통공(38)과 상기 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흡입기(50)에 흡입되어 여과된 후 공기만 밖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칠판 하단의 받침대에 흡입구와 통하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에 연통시킴으로서, 칠판의 사용시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건강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또한 칠판 지우개를 실내에서 신속 간편하게 털고 이때 집진된 먼지를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강의실, 회의실 등의 전면에 설치된 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 하부의 받침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받침대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흡입관이 내장되어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먼지는 여과하고 공기만 배출하는 흡입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흡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 상부에 지우개 털이기가 위치되어 지우개 털이개의 집진부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통공과 상기 흡입구가 서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흡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흡입관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의 흡진장치.
KR2020020004897U 2002-02-19 2002-02-19 칠판의 흡진장치 KR200277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97U KR200277823Y1 (ko) 2002-02-19 2002-02-19 칠판의 흡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97U KR200277823Y1 (ko) 2002-02-19 2002-02-19 칠판의 흡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823Y1 true KR200277823Y1 (ko) 2002-06-14

Family

ID=7311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97U KR200277823Y1 (ko) 2002-02-19 2002-02-19 칠판의 흡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8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33B1 (ko) * 2019-06-03 2019-11-06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교실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33B1 (ko) * 2019-06-03 2019-11-06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교실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2704B (zh) 机器人清洁器
JP2005518875A (ja) 携帯可能な電池作動式吸入器
KR20020035396A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ATE448879T1 (de) System zum sammeln von staub
EA199900700A1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CN206347659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器
KR200277823Y1 (ko) 칠판의 흡진장치
CA1136018A (en) Cleaner for nose
JPH09327421A (ja) 掃除器
JP2004154578A (ja) 真空掃除機用フィルタ
JP2002029197A (ja) 黒板空気清浄器
KR100731274B1 (ko) 분필가루가 날리지 않는 칠판 지우개
JP2617275B2 (ja) 黒板用消去装置
KR950006888B1 (ko) 진공칠판지우개
JPH03272720A (ja) 電気掃除機
CN211730855U (zh) 一种智慧黑板的吸尘装置
FR2792518B1 (fr) Appareil d&#39;aspiration de particules
KR0136315Y1 (ko) 청소기의 흡입호스 유동장치
JP3739469B2 (ja) 歯科技工用集塵装置
JPH01215326A (ja) 空気清浄器
JPH06239096A (ja) 黒板用チョーク粉塵取り装置
CN208942022U (zh) 一种地面清洁器及其垃圾箱结构
KR100216981B1 (ko) 배기 재순환 청소기
KR20220088120A (ko) 공기 집진기
KR20040050216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