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981B1 - 배기 재순환 청소기 - Google Patents

배기 재순환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981B1
KR100216981B1 KR1019970011915A KR19970011915A KR100216981B1 KR 100216981 B1 KR100216981 B1 KR 100216981B1 KR 1019970011915 A KR1019970011915 A KR 1019970011915A KR 19970011915 A KR19970011915 A KR 19970011915A KR 100216981 B1 KR100216981 B1 KR 10021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exhaust
cleaner
dus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670A (ko
Inventor
강두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1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9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재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본체를 통과하여 나온 배기가 다시 브러시의 일측과 연결된 배기관에 의해 재순환되므로서 브러시의 흡기관 양측면에서 배기를 송출하고 이와 동시에 중앙에서 흡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기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 배출되는 공기를 여러번 필터로 걸러내어 위생상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시(20)와, 큰 먼지가 쌓이는 먼지통(40)과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와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60)가 내장된 본체(30)와, 상기 브러시(20)와 상기 본체(30)를 연결하는 연결관(70)으로 이루어진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3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상기 브러시(20)쪽으로 재순환되도록 배기관(7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 재순환 청소기
본 발명은 배기 재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본체를 통과하여 나온 배기가 다시 브러시의 일측과 연결된 배기관에 의해 재순환되므로서 브러시의 흡기관 양측면에서 배기를 송출하고 이와 동시에 중앙에서 흡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기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 배출되는 공기를 여러번 필터로 걸러내어 위생상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바닥에 산재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여 먼지통이나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 청소기의 구성을 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시(120)와, 이 브러시(120)와 본체(130)를 연결하는 흡기관(170)과, 모터(160)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먼지통(140)과 필터(150)에 의해 먼지를 걸러내는 본체(130)로 이루어져 있다.
좀 더 상세히 청소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브러시(120)는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홈(12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흡기관(170)이 위치해 있다. 바닥에는 솔(126)이 흡입홈(124)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관(170)은 내부에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관상체 형상의 관으로서 브러시(120)의 상단 일측과 본체(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30)는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중에서 부피가 큰 것이 모이는 먼지통(140)과, 미세한 먼지가 걸러지는 필터(150)와, 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는 모터(160)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청소기의 작용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160)가 구동하게 되면 청소기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청소기 외부의 공기가 브러시(120)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어 들어오게 된다.
즉,본체(130)에 내장된 모터(16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청소기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브러시(120)의 흡입홈(124)으로 흡입하여 흡기관(170)을 따라 본체(130)로 유입하게 된다.
본체(130)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순서대로 먼지통(140)을 지나면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필터(150)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가 걸러지게 된다.
이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160)를 지나 본체(130)의 외부로 배출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청소기는 단순한 흡기 방식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질량이 크거나 청소기의 흡입력이 약할 경우에는 흡입이 잘되지 않아 청소기의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필터를 통과한 유해한 배기가 그대로 대기중에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가 미세한 먼지에 의해 오염되어 위생적으로 좋지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된 배기가 브러시의 일측과 연결된 배기관에 의해 다시 재순환되므로써 흡기관의 양측면에서 배기를 송출하고 이와 동시에 중앙에서 흡입하여 청소기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배출되는 공기를 여러번 필터로 걸러내어 위생상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시와, 큰 먼지가 쌓이는 먼지통과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와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브러시와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청소기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브러시쪽으로 재순환되도록 배기관을 갖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청소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청소기의 브러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배기 재순환 청소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브러시가 바닥과 접촉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브러시가 바닥과 접촉하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브러시 22 : 재순환로
24 : 취출구 25 : 안내구
26a : 관통공 26b : 안내턱
27 : 롤러 28 : 스프링
30 : 본체 40 : 먼지통
50 : 필터 60 : 모터
70 : 연결관 72 : 흡기관
74 : 배기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보면 도 3 및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 배기 재순환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시(20)와, 브러시(20)와 본체(30)를 연결하는 연결관(70)과, 큰 먼지가 쌓이는 먼지통(40)과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와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60)가 순서대로 내장된 본체(30)와, 본체(3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 브러시(20)쪽으로 재순환되는 배기관(7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러시(20)는 상단 일측에 흡기관(72)과 배기관(7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바닥 중앙에는 스프링(28)에 의해 안내구(25)가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안내구(25)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배기관(74)으로부터 나온 배기가 중앙을 향하여 송출될 수 있도록 취출구(24)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구(25)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배기관(74)으로부터 나온 배기가 바로 흡기관(72)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재순환로(2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20)의 바닥에는 횡방향으로 솔(26)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20)의 바닥에 설치된 안내구(25)는 원형의 관상체로 중앙에 관통공(26a)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턱(26b)에 스프링(28)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 양측에 롤러(60)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관(70)은 흡기관(72)과 배기관(7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기관(72)으로는 브러시(20)의 관통공(26a)으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어 들어가고, 배기관(74)으로는 필터(50)를 통과한 배기가 다시 브러시(20)의 바닥 양측면에서 중앙으로 송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30)는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중에서 부피가 큰 것이 모이는 먼지통(40)과,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와, 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는 모터(60)가 먼지가 흡입되어 통과되는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즉,부피가 크고 질량이 많이 나가는 먼지나 이물질을 먼지통(40)에 의해 먼저 걸러내고, 미세하고 질량이 작은 먼지를 걸러내게 된다.
모터(60)를 통과한 배기가 브러시(20)의 일측으로 다시 재순환되도록 본체(30)의 일측에 배기관(7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배기 재순환 청소기의 작용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30)의 일측에 내장된 모터(60)가 구동하게 되면 청소기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청소기 외부의 공기가 브러시(20)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관(74)을 통하여 브러시(20)의 일측으로 다시 재순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브러시(20)가 바닥에 접촉할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배기가 취출구(24)에서 안내구(25)의 관통공(26a)으로 흡입되게 된다.
즉,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브러시(20)가 바닥과 접촉하여 중앙의 안내구(25)가 상측으로 이동되며 이 안내구(25)에 의해 재순환로(22)가 폐쇄되어 배기관(74)에서 나온 배기가 취출구(24)를 통하여 송출되게 된다. 취출구(24)로부터 송출된 배기는 바닥에 산재해 있는 먼지를 불어주며 중앙의 위치한 안내구(25)의 관통공(26a)을 통하여 흡기관(72)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브러시(20)가 바닥과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25)가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하측로 이동되어 배기가 재순환로(22)를 통하여 바로 흡기관(72)으로 흡입되게 된다.
즉,청소기의 브러시(20)를 바닥으로부터 이동하여 안내구(25)가 바닥과 접촉하지 않게 되면 안내구(25)가 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재순환로(22)가 개방되게 된다. 배기관(74)에서 나온 대부분의 배기는 바로 흡기관(72)을 통하여 재순환되며 일부 배기는 취출구(24)를 통하여 청소기 외부로 송출되게 된다.
본체(30)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먼저 먼지통(40)을 지나면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먼지통(40)을 통과한 먼지나 이물질은 필터(50)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가 걸러지게 된다.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60)를 통과하여 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관(74)을 통하여 다시 브러시(20)로 재순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배기 재순환 청소기는 단순한 흡기 방식뿐만 아니라 외부에 배출되는 배기를 이용하여 불기 방식도 함께 사용하므로써 청소기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를 필터에 의해 여러번 걸러내어 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본체를 통과하여 나온 배기가 브러시의 일측과 연결된 배기관에 의해 다시 재순환되므로써 흡기관의 양측면에서 배기를 송출하고 이와 동시에 중앙에서 흡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기의 작업 효율을 높이게 되고, 청소기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여러번 필터로 걸러내어 위생상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청소기 사용중에 이동할 경우에도 전원을 따로 오프(off)시키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브러시(20)와, 상기 브러시(20)의 상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흡입관(72)과, 상기 흡입관(72)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통(40)과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60)가 내장된 본체(30)와, 상기 먼지통(40)을 통과한 배기를 상기 브러시(20)쪽으로 순환되도록 상기 브러시(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단부에서 상기 흡입관(72)과 직접 연통된 재순환로(22)와 하단까지 연장된 취출구(24)를 형성하는 배기관(74)으로 구성되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20)가 바닥과 접촉할 때에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브러시(20)의 상측에 형성된 배기관(74)의 재순환로(22)와 흡입관(72)을 폐쇄시키고 하단에 형성된 상기 배기관(74)의 취출구(24)와 상기 흡입관(72)을 연통시키며 상기 브러시(20)가 바닥에서 이탈될 때에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배기관(74)으 재순환로(22)와 상기 흡입관(72)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구(25)와, 상기 안내구(25)를 하부로 가압하는 스프링(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구(25)는 원형의 관상체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공(26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턱(26b)에 스프링(28)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롤러(2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재순환 청소기.
KR1019970011915A 1997-03-31 1997-03-31 배기 재순환 청소기 KR10021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15A KR100216981B1 (ko) 1997-03-31 1997-03-31 배기 재순환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15A KR100216981B1 (ko) 1997-03-31 1997-03-31 배기 재순환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70A KR19980075670A (ko) 1998-11-16
KR100216981B1 true KR100216981B1 (ko) 1999-09-01

Family

ID=1950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915A KR100216981B1 (ko) 1997-03-31 1997-03-31 배기 재순환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00B1 (ko) * 2002-12-10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00B1 (ko) * 2002-12-10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70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2704B (zh) 机器人清洁器
KR100912658B1 (ko)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FR2856576A1 (fr) Aspirateur de type vertical
JP409970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JP2003310502A (ja) 電気掃除機
KR100216981B1 (ko) 배기 재순환 청소기
US5829092A (en) Vacuum cleaner
KR100411432B1 (ko) 합체형 진공 청소기
JP5012683B2 (ja) 電気掃除機
CN208447461U (zh) 一种智能吸尘器
CN215534013U (zh) 一种清洁装置可拆卸的扫地机
CN115153368A (zh) 集尘基站
CN209499611U (zh) 扫地机器人
CN101862162A (zh) 吸尘器刷头
JP2008188422A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CN2582527Y (zh) 吸尘器的新型风道结构
JPH07275164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CN2482418Y (zh) 一种可清洗的多用途鼻水吸取器
KR100854144B1 (ko) 청소로봇
KR20000036313A (ko)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200248487Y1 (ko) 진공청소기의 후풍을 이용한 청소구조
KR100500797B1 (ko) 진공청소기
CN219538172U (zh) 干湿分离模块及清洁设备
KR100617225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N219166324U (zh) 污水箱及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