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421Y1 - 조립식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조립식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421Y1
KR200277421Y1 KR2020020004767U KR20020004767U KR200277421Y1 KR 200277421 Y1 KR200277421 Y1 KR 200277421Y1 KR 2020020004767 U KR2020020004767 U KR 2020020004767U KR 20020004767 U KR20020004767 U KR 20020004767U KR 200277421 Y1 KR200277421 Y1 KR 200277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side plate
speed bumps
groov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동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규 김 filed Critical 동 규 김
Priority to KR2020020004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421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도로나 사고가 많은 지점에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면상에 조립식으로 설치가능하고 노출되는 면에 장방향으로 반사시트를 부착하며, 노면에 부착되는 면에는 사각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노면에 고정시킨 사각봉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행중인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고 조립된 각 부분이 사각봉에 의해 지지되어 차량등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과속방지턱{Assembly of Speed Bump}
본 고안은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운행을 방지하는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속 방지턱을 강화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등을 사용하여 조립식으로 형성하면서 노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반사지를 부착하고 밑면에 사각 봉을 지지대로 설치함으로써,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고,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사각봉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과속방지턱이 밀리거나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 방지턱은 노면에 만곡되게 돌설하여 주행차량이 돌출면을 넘어갈 경우, 과속시에는 탑승자에게 충격적인 진동을 부여하고, 저속시에는 최대한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운전자들의 저속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교통안전 설치물이다. 상기와 같은 과속 방지턱은 학생들의 진입이 빈번한 통학로나 차량의 출입이 적고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이면도로 등에 설치되어 학생이나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왔다.
상기 과속 방지턱은 시멘트를 만곡형태로 타설한 후 양생하거나,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평평한 노면상에 덧 씌우는 형태로 설치한 후, 차량 운전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검정색과 노란색을 교차 도색하는 등 현시 페인트를 도색하였다.
그러나, 상기 현시 페인트에 포함된 비드는 페인트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페인트 도포시 페인트 표면으로 노출되어 추행 차량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쉽게 떨어지므로 지속적인 현시능력을 갖지 못하게 되고,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급정지함으로써 후속차량과의 접촉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스팔트로 형성된 과속 방지턱의 경우 노면이 과열되는 여름철에는 하중이 많은 차량의 이동으로 인하여 그 형태가 변경되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시멘트 과속방지턱의 경우 주민들이 임의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그 형태가 규격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주행중인 차량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교통당국이 규정한 규격에 맞는 과속 방지턱을 조립식으로 형성하고, 다수개의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노면에 이를 설치해 왔다.
도1a 내지 도1c는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과속 방지턱(10)을 나타낸 것으로, 두개의 측판(11)과 다수개의 중판(12)들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11)은 반원형태로 바닥은 평평하고 원주의 테두리로부터 직선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중판(12)은 바닥면은 직사각 형태로 평평하며 중앙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측판(11)과 중판(12) 체결시 상면이 같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측판(11)과 중판(12)으로 이루어진 과속 방지턱의 중심부에 지지관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지지관(16)을 삽입한후, 중판(1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관 고정용 앵커볼트와 너트 삽입홈(14)에 앵커볼트(17)와 너트(18)를 삽입하여 과속 방지턱을 조립한 후 측판과 중판에 형성되어 있는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13,13')에 앵커볼트(15)를 삽입하고, 앵커볼트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고정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판들은 지지관들을 연결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본체의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 지지관 고정용 앵커볼트를 해체한 다음 지지관을 제거하고, 다시 파손된 중판을 교체하여 조립한 후 노면에 부착하여야 하는 등 그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립식 과속 방지턱은 노면 접착제와 앵커볼트에 의해 차량의 진입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과속차량이나 대형 차량이 자주 통과할 경우에는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가 노면에서 이탈되어 과속 방지턱의 설치위치가 틀어지거나 망실됨으로써 교통사고가 날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조립식 과속방지턱 상부에는 과속방지턱을 표시하기 위하여 현시 페인트를 도포하였으나 이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에 의해 형성된 과속방지턱 상부에 도포되는 현시 페인트와 같이 표면의 비드가 쉽게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현시능력을 갖지 못하고 야간 주행의 경우 과속방지턱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부착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강화플라스틱이 에폭시 접착제에 잘 붙지않아 노면에 부착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측판과 중판으로 구성된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각 측판과 중판 밑면에 사각봉을 체결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측판에 사각봉을 결합하여 노면에 고정할 수 있는 사각봉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중판이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와 노면에 별도로 고정된 사각봉에 의해 이중으로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에 의해 과속방지턱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조립식 과속장비턱을 내부에서 관통하는 지지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중판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판과 측판 상부에 경사진 홈이나 경사진 형태의 리브를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 반사지를 부착함으로써 현시 페인트를 도포하지 않더라도 반사지에 의해 과속방지턱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쉽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측판과 중판들 밑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양면 테이프 하단에 부틸러버 시트(Buthyl Rubber Sheet)를 부착한 다음, 노면 부착시 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반원형으로 원의 중심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태의 측판과, 중심으로 갈수로 두꺼워지는 직사각형의 중판으로 구성되어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에 의해 노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 상면에는 장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두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지 부착홈과; 상기 반사지 부착홈 중 차량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경사면에 부착된 반사지와; 상기 측판과 중판 밑면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홈과, 상기 사각홈에 체결되며 측판에 형성된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앵커볼트에 의해 노면에 고정되는 사각봉을 포함하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을 특징으로 한다.
도1a는 종래의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사시도.
도1b는 도1a에 도시된 중판의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의 중심을 잇는 선을 절단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1c는 도1a의 중판에서 지지간 고정용 볼트와 너트 삽입홈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절단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측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중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체결되어 노면에 고정된 사각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 방지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중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조립식 과속 방지턱 11,21 : 측판
12,22 : 중판
13,13',23,23',30 :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
14 : 지지간 고정용 앵커볼트와 너트 삽입홈
15 :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16 : 지지간
17 : 지지간 고정용 앵커볼트 18 : 지지간 고정용 너트
24 : 사각봉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
25 : 반사지 부착홈 26 : 반사지
27 : 배수홈 28,28' : 사각봉 삽입홈
29 : 사각봉 31 : 반사지 부착 리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20)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는 두개의 측판(21)과 3개의 중판(22), 두개의 사각봉(2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중판(22)의 갯수는 노폭에 따라 다수개를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고, 측판(21)과 중판들(22)에 삽입되는 사각봉도 필요에 따라 1개 이상 형성하면 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측판(21)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과속 방지턱과 같이 반원형상을 가지며, 원의 중심부를 향해 테두리로부터 일정한 기울기로 두껍게 형성하고,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홈(28)을 직선면으로부터 중간까지 형성한다. 또한, 상면으로부터 앵커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23)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며, 상기 사각홈(28) 상부에 도3의 사각봉(29)을 삽입하여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사각봉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24)을 형성한다. 또한, 상면에는 두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지 부착홈(25)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반사지 부착 홈(25)들의 경사면들 중 진행하는 차량의 불빛에 대응되는 경사면에 반사지(26)를 부착한다. 이때 사용되는 반사지는 고휘도 반사지를 사용한다.
다음에, 중판(22)은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평한 밑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간 높이를 상기 측판(21)의 중심 높이와 동일하도록 양측면으로부터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하여, 두개의 측판(21)과 다수개의 중판(22)을 조립하였을 경우 장방형의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측면으로부터 포물선 형태로 만곡지도록형성하고, 밑면에는 상기 측판 밑면의 사각홈(28)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기둥 형상의 홈(2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면에는 중판(22)을 노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단에 두개 이상의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23')을 형성한다. 또한, 상면에는 상기 측판의 반사지 부착홈(25)들에 연결하여 조립시 그 홈들이 이어지도록 두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지 부착홈(25)들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지 부착홈(25)들의 경사면들 중 진행하는 차량의 불빛에 대응되는 경사면에 반사지(26)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반사지 부착홈들을 모두 교차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홈(27)들을 형성하여 우천시 반사지 부착홈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에 의해 반사지 부착홈(25)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측판과 중판에 형성된 반사지 부착홈의 경계에 각각 장방향으로 측판과 중판이 모두 연결되도록 돌기들을 형성하여 차량의 바퀴가 반사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기를 대신하여 반사지 부착홈의 반사지 부착면에 반사지 삽입홈을 형성하여 차량의 바퀴가 반사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3은 상기 대응되는 두개의 측판(21) 사이에 사각봉(29)을 결합한 것으로, 상기 측판들 사이의 거리를 중간에 삽입될 중판(22)의 갯수의 거리만큼 이격시킨 후, 사각봉을 사각홈에 삽입하여 노면에 고정시킨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노면에 고정된 사각봉(29)의 중간에 앵커볼트 삽입홈(30)을 형성하고 그 앵커볼트 삽입홈(30)에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노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사각봉을더 견고하게 노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중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반사지(26)를 부착하기 위한 상기 반사지 부착홈들(25)을 대신하여 상면으로 돌출되는 두개의 경사면을 갖는 리브(31)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31)의 적어도 어느 한 경사면에 반사지를 부착한다.
이때, 측판에도 경사진 홈을 대신하여 경사진 돌출 리브를 상기 중판의 리브와 연결되도록 형성함으써 전체적으로 볼때 장방향으로 다수개의 반사지가 직선 형태로 부착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지 부착홈 또는 반사지 부착리브의 경사진 면에 일정한 깊이의 반사지 부착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반사지를 부착함으로써 반사지가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측판과 중판들 하부에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 하부에 부틸러버 시트(butyl rubber sheet)를 부착함으로써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완성한다. 상기 부틸러버 시트는 복원력을 갖고 있으므로 노면에 과속방지턱을 부착할 경우 차량에 의해 일정 거리 이하로 밀린 과속 방지턱을 제자리로 복원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노면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고, 그 위치에 노폭을 고려하여 두개의 측판과 소용될 중판의 갯수 그리고 필요한 사각봉의 길이를 선정한다. 다음에 상기측판들의 사각홈에 선정한 길이의 사각봉을 체결한 후 설치할 위치의 노면에 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사각봉이 결합된 측판들을 상기 접착제 위에 설치한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측판과 사각봉들을 노면에 완전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기 측판들 사이의 중판이 설치될 위치에 다시 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중판들을 그 상부에 설치하고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중판을 노면에 완전히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과속방지턱은 측판과 중판으로 구성된 조립식 과속방지턱의 각 측판과 중판 밑면에 사각봉을 체결할 수 있는 사각홈을 형성하고, 측판 또는 사각봉 자체에 사각봉을 고정할 수 있는 사각봉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을 형성하여 앵커볼트에 의해 사각봉을 노면에 견고하게 설하여 중판이 차량의 하중을 중판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와 노면에 고정된 사각봉에 의해 지탱됨으로써 차량의 하중에 의해 과속방지턱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과속방지턱과 같이 중판들을 결합하기 위한 내부 관통형 지지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과속 방지턱의 조립 설치와 중판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중판과 측판상부에 경사진 홈이나 경사진 형태의 리브를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 반사지를 부착함으로써 현시 페인트를 도포하지 않더라도 반사지에 의해 과속방지턱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현시효과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 운전자의 과속방지턱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중판에 형성된 모든 반사지 부착홈을 모두 연결하는 배수홈을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반사지 부착홈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에 의해 반사지 부착홈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쉽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측판과 중판들 밑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양면 테이프 하단에 부틸러버 시트를 부착한 다음, 노면 부착시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과속방지턱을 노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할 수 있으며, 부틸러버 시트에 의해 일정거리 이하로 밀린 과속 방지턱을 제자리로 복원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과속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노면에 설치되는 반원형의 측판들과 다수개의 중판들로 구성되어 노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들 상면에는 두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지 부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지 부착홈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반사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과 측판들의 밑면에는 사각봉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기둥 형상의 홈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판에는 사각봉을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사각봉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과 중판의 사각기둥 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앵커볼트에 의해 노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의 반사지 부착홈들의 경계선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의 반사지 부착홈의 반사지 부착 경사면에는 부착되는 반사지가 부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에는 반사지 부착홈들을 모두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들에 반사지 부착홈들을 대신하여 반사지를 부착하기 위하여 경사진 두면을 갖는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중판들 밑면에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고, 그 양면테이프 하단에는 부틸러버 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우레탄계 접착제에 의해 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봉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면 고정용 앵커볼트 삽입홈이 형성되어 앵커볼트의 의해 직접 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과속 방지턱.
KR2020020004767U 2002-02-18 2002-02-18 조립식 과속방지턱 KR200277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67U KR200277421Y1 (ko) 2002-02-18 2002-02-18 조립식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67U KR200277421Y1 (ko) 2002-02-18 2002-02-18 조립식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421Y1 true KR200277421Y1 (ko) 2002-06-03

Family

ID=7311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67U KR200277421Y1 (ko) 2002-02-18 2002-02-18 조립식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4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107B1 (ko) 2023-07-03 2024-01-17 대한민국 배수기능을 구비한 속도제어 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107B1 (ko) 2023-07-03 2024-01-17 대한민국 배수기능을 구비한 속도제어 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307A (en) Highway delineator
US4224002A (en) Highway delineator
US4577992A (en) Snowplowable road marker apparatus
CA2207926C (en) Traffic sign
KR200277421Y1 (ko) 조립식 과속방지턱
KR101011729B1 (ko) 바이브레이터 및 가이드라인이 부착된 조립식 과속방지턱및 그 설치 방법.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US3858997A (en) Portable traffic sign and base therefor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20010038433A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20190002700U (ko) 차선표지병
CN2282560Y (zh) 道口安全减速垄
JP3531862B2 (ja) ポール式標識取付け型側溝用コンクリート蓋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KR200278555Y1 (ko) 도로분리대
KR102077973B1 (ko) 중앙분리대 방현망용 델리네이터
KR200234544Y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KR200307740Y1 (ko) 도로 안내표지판용 지주의 베이스 커버
KR200347846Y1 (ko) 형광반사판체가 부착된 가이드레일의 조립장치
CN201241318Y (zh) 隔离带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KR20210000903U (ko) 도로 경계석 보호커버
KR100413131B1 (ko) 가드레일
KR200224497Y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