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62Y1 -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62Y1
KR200277362Y1 KR2020020005947U KR20020005947U KR200277362Y1 KR 200277362 Y1 KR200277362 Y1 KR 200277362Y1 KR 2020020005947 U KR2020020005947 U KR 2020020005947U KR 20020005947 U KR20020005947 U KR 20020005947U KR 200277362 Y1 KR200277362 Y1 KR 200277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er
seat
rotating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김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
Priority to KR2020020005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62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차량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판(21), 상기 하부판(21)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1슬라이더(22), 상기 제1슬라이더(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판(23), 상기 회전판(23)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24),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더(2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판(21)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판(2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판(21)과 회전판(23)의 모퉁이를 지지하는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와 회전판(23)의 하측돌출부(21a)가 상호 맞물릴 수 있고, 하부판(21)과 상부판(25)을 단접으로 견고하게 접합하며, 제1,제2슬라이더(22,24)가 다수의 볼부(22a,24a) 사이에 연결부(22b,24b)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트가 정지한 상태에서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와 회전판의 하측돌출부가 상호 맞물리게 되어 흔들리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되면서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하부판과 회전판에 형성된 설치부에 하나의 슬라이더를 올려놓은 작업만으로 슬라이더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조립성을 용이하게 향상하여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단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TURNING TABLE ASSEMBLY OF SE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중에 시트의 회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가 정지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구조의 견고함을 도모할 수 있고 조립성을 용이하게 향상하여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차자의 체형에 접합하도록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트랙, 시트쿠션의 높이 및 시트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 조정장치, 그리고 승차자를 측면이나 뒤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시트를 회전하는 회전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시트의 회전장치는 회전반과 록킹장치로 대별되며, 시트의 시트쿠션의 하부에 회전반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반의 측면 또는 중앙부에 록킹장치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록킹장치의 작동에 따라 회전반의 회전상태와 고정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아무튼 종래의 회전반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278506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87364호로 공개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101)의 중앙부와 상부판(102)의 중앙부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일체로 부착하고, 상기 하부판(101)의 가장자리부와 상부판(102)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회전판(103)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판(101)의 직경 중앙부위의 상부 둘레면에 볼설치부(101a)를 절곡 형성하고, 상기 볼설치부(101a)의 일측에 볼이탈방지턱(101b)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판(103)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둘레면에 다른 볼설치부(103a)를 절곡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판(101)의 볼설치부(101a)에 다수의 볼(104)을 설치한 뒤, 회전판(103)이 상기 볼(10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부판(101)의 상측에 배치하고, 상기 하부판(101)의 상부에 배치된 회전판(103)의 볼설치부(103a)에 다수의 볼(105)을 설치한 뒤, 상부판(102)이 상기 볼(10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회전판(103)의 상부에 배치하며, 상기 하부판(101)과 상부판(102)의 중앙부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다수의 볼을 슬라이더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볼설치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볼이탈방지턱을 더 형성하게 되어 하부판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볼을 설치할 때에 하부판과 회전판에 형성된 볼설치부에 올려놓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어 작업시간이 증대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에는 회전판이 록킹장치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의 가장자리부를 별도로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회전판의 가장자리부가 시트의 하부면에 설치될 때에 회전판의 가장자리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회전판의 가장자리부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지한 상태의 시트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나의 슬라이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구조의 견고함을 도모할 수 있고, 조립성을 용이하게 향상하여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단축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록킹장치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고, 차량의 시트의 시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차량 바닥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절곡한 상측돌출부가 모퉁이부에 형성되고 제1설치부가 중앙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되고 차량의 내부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하부판, 다수의 볼부가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제1설치부에 배치되어 하부판의 제1설치부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되는 제1슬라이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설치부가 평면 중앙부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의 선단부와 걸림되는 하측돌출부가 상기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다수의 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제2설치부에 배치되어 회전판의 제2설치부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되는 제2슬라이더, 그리고 중앙부가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와 단접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장자리부가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회전판에 설치 가능한 록킹장치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과 시트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 - C선을 단면한 일 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 - C선을 단면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을 보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의 D부를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종래에 관련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프레임 2 : 회전반
3 : 록킹장치 21 : 하부판
21a : 상측돌출부 21b,23b : 제1,제2설치부
22,24 : 제1,제2슬라이더 22a,24a : 볼부
22b,24b : 연결부 22c,23c : 개구부
23 : 회전판 23a : 하측돌출부
25 : 상부판 25a : 록킹홈
25b : 가이드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이 적용되는 시트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프레임(1)의 하부에 회전반(2)을 설치한 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장치(3)를 회전반(2)의 측면에 설치하여 회전반(2)을 고정 또는 비고정하게 되며, 차량용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1)을차량 바닥과 평행하게 회전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시트프레임(1)과 시트트랙(4)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무튼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2)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판(21), 상기 하부판(21)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1슬라이더(22), 상기 제1슬라이더(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판(23), 상기 회전판(23)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24),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더(2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판(21)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부판(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21)은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한 상측돌출부(21a)가 모퉁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22)를 배치하여 제1슬라이더(22)의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설치부(21b)가 중앙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22)는 일 예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볼부(22a)가 연결부(22b)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볼부(22a)가 볼록볼록 뛰어나온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21)의 제1설치부(21a)에 배치되어 하부판(21)의 제1설치부(21a)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된다.
상기 회전판(23)은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안쪽으로 절곡하여 상기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의 선단부와 걸림되는 하측돌출부(23a)가 상기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24)를 배치하여 제2슬라이더(24)의 바깥쪽 부분과 위쪽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설치부(23b)가 중앙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22)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하부판(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회전판(23)은 상기 시트프레임(1)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프레임(1a)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24)는 상기 제1슬라이더(2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23)의 제2설치부(23b)에 배치되어 회전판(23)의 제2설치부(23b)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된다.
상기 상부판(25)은 중앙부가 상기 하부판(21)의 중앙부와 단접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24)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장자리부가 상기 회전판(23)의 상측에 배치되며,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3)에 설치 가능한 록킹장치(3)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될 수 있도록 내각이 90°인 세 개의 록킹홈(25a)이 둘레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록킹홈(25a)을 연결하게 되는 가이드홈(25b)이 형성되어 록킹장치(3)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의 선단부 양측과 상기 회전판(23)의 하측돌출부(23a)의 선단부 양측 중의 하나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하는 것이 회전판(23)의 회전 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의 선단부 양측을 상측으로 절곡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판(23)의 하측돌출부(21a)의 선단부 양측을 하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볼부와 연결부로 형성된 상기 제1슬라이더(22)와 제2슬라이더(24)는 다른 예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 중의 하나를 절단하여 개구부(22c,24c)를 형성하고, 직경을 가변함으로써 하부판(21)의 제1설치부(21b) 및 회전판(23)의 제2설치부(23b)의 직경이 다소 틀리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제1슬라이더(22)와 제2슬라이더(24)는 볼부와 인접하는 볼부 사이의 내각 즉 볼부, 중심, 인접 볼부 사이의 내각이 10°~ 30°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각의 크기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볼부의 숫자가 많기 때문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바람직한 미끄럼 운동을 할 수가 없으며, 30°보다 클 경우에는 하나의 볼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증대되기 때문에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볼부(22a,24a)와 연결부(22b,24b)로 구성된 하나의 슬라이더(22,24)를 하부판(21)과 회전판(23)에 형성된 설치부(21b,23b)에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록킹장치(3)를 작동하여 상부판(2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회전판(23)을 측방향 또는 뒤쪽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회전판(23)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슬라이더(22,24)가 배치되어 있어 마찰력과 소음이 저하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한 뒤에록킹장치(3)를 작동하여 회전판(23)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판(21)과 상부판(25)이 단접으로 고정되어 상호 유격없이 고정되므로 회전판(23)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하부판(21)의 상측돌출부(21a)와 상부판(23)의 하측돌출부(23a)가 상호 맞물리게 되므로 상기 회전판(23)을 그대로 고정하거나 90도 또는180도로 회전한 뒤에 록킹장치(3)로 고정하게 되면 시트프레임(1) 즉 시트가 흔들림없이 고정됨과 아울러 시트에 앉은 승차자 및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중이 커지더라도 회전판(23)의 모퉁이 부분에 상측돌출부(21a)와 하측돌출부(23a)가 지지하고 있어 회전판(23)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은 하부판(21)에 형성된 상측돌출부(21a)와 회전판(23)에 형성된 하측돌출부(23a)가 상호 걸리는 구조이므로, 시트에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전반(1)의 하부에 위치한 시트트랙(4)의 상부 일측에 고리(31)를 설치하고, 상기 고리(31)에 착탈되는 후크(32)를 상기 시트프레임(1)의 하측 모퉁이의 한쪽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면 바른 자세로 운전 중에 상기 고리(32)에 후크(31)를 걸리게 하여 차량 충돌시에 일차적으로 고리(32)와 후크(31)가 파손 및 변형되어 상기 하부판(21)에 형성된 상측돌출부(21a)와 상기 회전판(23)에 형성된 하측돌출부(23a) 사이에 전달되는 힘을 축소하여 이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차량의 시트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시트의 회전을 원활하게 함과 더불어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며, 시트를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트랙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은 시트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와 회전판의 하측돌출부가 상호 맞물리기 때문에, 구조를 용이하게 견고하게 할 수 있고, 회전판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시트 전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전판의 위쪽에서 하중이 많이 부가되더라도 회전판의 모퉁이 부분을 지지하게 되어 회전판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슬라이더가 다수의 볼부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슬라이더를 하부판과 회전판에 형성된 설치부에 놓아두는 작업만으로 슬라이더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용이하게 단축하고, 조립성을 용이하게 향상하여 작업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록킹장치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고, 차량의 시트의 시트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차량 바닥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절곡한 상측돌출부가 모퉁이부에 형성되고 제1설치부가 중앙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되고 차량의 내부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하부판,
    다수의 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제1설치부에 배치되어 하부판의 제1설치부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되는 제1슬라이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설치부가 평면 중앙부의 둘레면에 절곡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의 선단부와 걸림되는 하측돌출부가 상기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다수의 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제2설치부에 배치되어 회전판의 제2설치부에 의하여 안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지지되는 제2슬라이더,
    그리고 중앙부가 상기 하부판의 중앙부와 단접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위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장자리부가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회전판에 설치 가능한 록킹장치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는 하나의 연결부를 절단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3.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는 볼부와 인접하는 볼부 사이의 내각이 10°~ 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상측돌출부의 선단부 양측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돌출부의 선단부 양측 중의 하나 이상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시트트랙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리,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측 모퉁이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고리에 착탈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회전반.
KR2020020005947U 2002-02-28 2002-02-28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KR200277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47U KR200277362Y1 (ko) 2002-02-28 2002-02-28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47U KR200277362Y1 (ko) 2002-02-28 2002-02-28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761A Division KR20030071182A (ko) 2002-02-28 2002-02-28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62Y1 true KR200277362Y1 (ko) 2002-06-01

Family

ID=7311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947U KR200277362Y1 (ko) 2002-02-28 2002-02-28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182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한일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KR100490334B1 (ko) * 2002-08-05 2005-05-17 주식회사 한일 차량 시트용 회전반의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182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한일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KR100490334B1 (ko) * 2002-08-05 2005-05-17 주식회사 한일 차량 시트용 회전반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1182A (ko)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EP1186466B1 (en) Rotating and adjusting mechanism of seat for vehicle
EP1806072B1 (en) Reclining device
JP4784086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6997662B2 (en) Attachment clip and attachment structure using same
JP4412500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3519552A (ja) ガイドレールに配置された調節機構を有する調節装置
KR200277362Y1 (ko) 차량용 시트의 회전반
JP5414291B2 (ja) 乗物用シート
KR20050090277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JP2003299548A (ja) 肘掛け機構及びこれを含む肘掛け付き家具
EP0600453B1 (en) Rotatable seat
JP3451910B2 (ja) 車両用シ−トの回転装置
JP5578668B2 (ja) 椅子
JP3416003B2 (ja) パンタグラフ式ジャッキの保持装置
JP2005082055A (ja) フレーム構造
CN214450447U (zh) 一种座椅转盘的下盘
KR200347972Y1 (ko) 차량용 회전시트의 턴테이블 장치
JP3049706B2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調整機構
KR100442751B1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JP2755149B2 (ja) 跳上げ式車両用シート
CA2250721C (en) Seat slide apparatus
CN218172052U (zh) 一种易进入座椅的解锁机构
JP4492008B2 (ja) シート回転装置
KR100490334B1 (ko) 차량 시트용 회전반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