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66Y1 -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66Y1
KR200277266Y1 KR2020020006016U KR20020006016U KR200277266Y1 KR 200277266 Y1 KR200277266 Y1 KR 200277266Y1 KR 2020020006016 U KR2020020006016 U KR 2020020006016U KR 20020006016 U KR20020006016 U KR 20020006016U KR 200277266 Y1 KR200277266 Y1 KR 200277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arbide tip
straight portion
disc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석
Original Assignee
유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석 filed Critical 유지석
Priority to KR2020020006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66Y1/ko

Link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에 장착되어 각종 잡초 및 잔디 또는 잡목을 컷팅하여 제거하는 예초기용 칼날에 관한 것으로, 원반상의 몸체 주면에 다수의 컷팅부를 형성하되, 그 컷팅부는 일측 곡선부와 타측 직선부로 각각 형성하고, 그 직선부는 세모형의 돌출단면을 갖게 하되, 그 돌출단면에 직선부의 길이와 같고 전기한 돌출단면과 대응되는 삽입요홈을 갖는 초경팁을 각각 용접하여 칼날을 형성함으로서,
원반형 칼날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접부위가 넓으면서도 몸체의 내측이어서 파손에 의해 초경팁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없으며, 칼날부분이 매우 넓어 칼날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도 컷팅 효율이 좋은 것이며, 보다 넓어진 초경팁에 의해 칼날의 사용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disk blade of grass eliminator}
본 고안은 예초기에 장착되어 각종 잡초 및 잔디 또는 잡목을 컷팅하여 제거하는 예초기용 칼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원반형 칼날 주면에 다수의 컷팅요홈을 형성하고 그 컷팅요홈에 일정형상의 초경팁을 부착함으로서, 초경팁에 의해 원반형 칼날의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하면서도 종래의 톱날형 칼날에 비해 제작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초경팁의 형성간격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원가가 현저히 감소되는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이다.
예초기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원반형 칼날에 의해 잡초나 잡목 등을 제초하는 것으로서, 특히 농가에서 풀이나 곡식을 베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도로 주변의 잡초 정리 및 묘지 주변의 잡목 및 잡초 제거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초기의 칼날은 원반의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조를 형성하여 그 요홈조의 일측에 연마에 의한 칼날부를 형성하여 되는 것으로서, 원반의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풀이나 가는 굵기의 잡목을 베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원반형 칼날은 돌이나 굵은 나무와 부딪히는 경우 그 칼날이 무뎌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그 풀이나 잡목 등은 비교적 연질이므로 일반 금속재의 원반 칼날에 의해서도 충분한 제거가 가능하나 돌이나 굵은 나무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칼날의 날부가 무뎌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그 회전칼날의 요홈부에 별도의 초경팁을 부착하는톱날형 칼날이 안출된 바 있으나,
전기한 톱날은 초경팁을 각각의 요홈부에 모두 용접한 후 별도의 연마기에 그 초경팁을 하나씩 하나씩 모두 연마하여 칼날이 서게 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므로 칼날의 제작이 번거로우면서도 제작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초경팁과 원판이 용접된 부분에는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돌과 같은 경질의 피절단물과 부딪히면 초경팁과 원판의 용접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며 초경팁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톱날과 같은 형태의 칼날은 그 초경팁에 의한 절단 및 절삭 부분이 그 초경팁의 끝부분에만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톱날의 개체수의 증가 및 톱날 간격이 매우 조밀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원반상의 몸체 주면에 다수의 칼날부를 형성하되, 그 칼날부는 일측 곡선부와 타측 직선부로 각각 형성하고, 그 직선부는 세모형의 돌출단면을 갖게 하되, 그 돌출단면에 직선부의 길이와 같고 전기한 돌출단면과 대응되는 삽입요홈을 갖는 초경팁을 각각 용접하여 칼날을 형성함으로서,
원반형 칼날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접부위가 넓고 몸체의 내측이어서 파손에 의해 초경팁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없으며, 칼날부분이 매우 넓어 칼날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도 컷팅 효율이 좋은 것이며, 보다 넓어진 초경팁에 의해 칼날의 사용수명이 보다 연장되게 한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초경팁을 분리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타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결합공 2 : 몸체
3 : 곡선부 4 : 직선부
5 : 초경팁 6 : 요홈부
7 : 날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의 요부 상세 확대사시도이다.
중앙에 결합공(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칼날부가 형성된 원반상의 몸체(2)로 된 공지의 예초기 칼날에 있어서,
전기한 칼날부는 일측의 곡선부(3)와 타측의 직선부(4)가 연속 형성되고, 직선부(4)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돌출되게 하며, 직선부(4)에는 일정하게 성형된 초경팁(5)을 용접형성하되,
초경팁(5)은 일측면에 전기한 직선부(4)와 대응 결합되는 요홈부(6)를 형성하고, 타측 일면에는 경사면에 의한 날부(7)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원반형 칼날은 원반상의 몸체(2) 외주면에 곡선부(3)와 직선부(4)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곡선부(3)에 별도의 초경팁(5)을 용접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초경팁(5)을 용접 형성하기 위해서는 초경팁(5)에 형성된 요홈부(6)를 전기한 직선부(4)에 삽입하여 초경팁(5)을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그 초경팁(5)과 몸체(2)를 용접 부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접된 초경팁(5)은 그 직선부(4)에 면접되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초경팁(5)의 또다른 측의 날부(7)에 의해 각종 잡초 및 잡목 등이 컷팅되는 것이며 그 용접부위가 상대적으로 넓고, 몸체(2)에 직접 초경팁(5)의 양측이 용접된 것이므로 보다 견고하면서도 균일한 용접이 가능하므로 돌이나 경질의 이물질과 부딪혀도 초경팁(5)의 유실 및 분실의 우려가 감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초기의 회전축(도면에는 미도시함)에 몸체(2)의 결합공(1)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그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칼날 몸체(2)가 고속으로 회전되면 몸체(2)의 전진 방향의 각종 잡초 및 잡목은 그 초경팁(5)의 날부(7)에 의해 컷팅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칼날의 측면도로서, 초경팁(5)의 일측면에 형성된 날부(7)를 몸체(2)의 일측방향으로만 동일하게 용접형성함으로서, 보다 부드러운 잡초 및 잡목을 베기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며,
도 5의 도시와 같이 초경팁(5)의 용접방향을 그 날부(7)가 좌,우 번갈아가면서 연속 형성되게 함으로서, 좌우 상이한 날부(7)의 형성방향에 의해 보다 두껍거나 견고한 나무 등의 피절단물을 컷팅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그 초경팁(5)의 날부(7) 형성방향을 일방향 또는 교차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잡초 및 잡목 제거용 칼날으로 사용하거나 두꺼운 나무와 같은 두께의 피절단물 컷팅용 칼날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은, 원반형 칼날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접부위가 넓고 몸체의 내측이어서 파손에 의해 초경팁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없으며, 칼날부분이 매우 넓어 칼날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도 컷팅 효율이 좋은 것이며, 보다 넓어진 초경팁에 의해 칼날의 사용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 결합공(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칼날부가 형성된 원반상의 몸체(2)로 된 공지의 예초기 칼날에 있어서,
    전기한 칼날부는 일측의 곡선부(3)와 타측의 직선부(4)가 연속 형성되고, 직선부(4)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돌출되게 하여, 그 직선부(4)에 일정하게 성형된 초경팁(5)을 용접형성하되,
    초경팁(5)은 일측면에 전기한 직선부(4)와 대응 결합되는 요홈부(6)를 형성하고, 타측 일면에는 경사면에 의한 날부(7)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KR2020020006016U 2002-02-28 2002-02-28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KR200277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16U KR200277266Y1 (ko) 2002-02-28 2002-02-28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16U KR200277266Y1 (ko) 2002-02-28 2002-02-28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66Y1 true KR200277266Y1 (ko) 2002-06-01

Family

ID=7308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16U KR200277266Y1 (ko) 2002-02-28 2002-02-28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77B1 (ko) * 2013-07-09 2015-04-23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101535279B1 (ko) * 2014-10-22 2015-07-09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CN110771341A (zh) * 2019-11-15 2020-02-11 塔里木大学 毛苕子联合收获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77B1 (ko) * 2013-07-09 2015-04-23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101535279B1 (ko) * 2014-10-22 2015-07-09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CN110771341A (zh) * 2019-11-15 2020-02-11 塔里木大学 毛苕子联合收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3193A1 (en) Mower Blades
EP3142476B1 (en) Cutting blade with transverse hardened regions
KR200277266Y1 (ko) 예초기용 원반형 칼날
JP3166220U7 (ko)
JP3166220U (ja) 草刈り刃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KR101734411B1 (ko) 예초기용 커터날
CN209930928U (zh) 一种月刃型割草锯片
JP3217662U (ja) 除草用回転刃
JPH0928154A (ja) 刈払機用刈刃
JP3238367U (ja) 草刈り用チップソー
JPH0234568B2 (ja) Karibaraikaitennokoba
KR960002900B1 (ko) 짚대 절단장치
KR200355077Y1 (ko) 예초기 칼날
JP3179767U (ja) 草刈機用の刈刃
JP5204338B1 (ja) 回転刃および刈払機
GB2409142A (en) Improvements in cylinder mowers
JP3166670U (ja) 草刈機用刃
JP3117704U (ja) 草刈機における刃
CN213094951U (zh) 一种高强度减质轻量割草锯片
JP3227776U (ja) 草刈刃
JP2017006042A (ja) 除草用回転刃
KR830001737Y1 (ko) 예취절단용 동력회전 칼날
KR200343696Y1 (ko) 측면 홈이 구비된 예초기용 2도날
KR101584197B1 (ko) 원호형 예초기 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