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33Y1 - 지브 크레인 구조 - Google Patents

지브 크레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33Y1
KR200277233Y1 KR2020020003701U KR20020003701U KR200277233Y1 KR 200277233 Y1 KR200277233 Y1 KR 200277233Y1 KR 2020020003701 U KR2020020003701 U KR 2020020003701U KR 20020003701 U KR20020003701 U KR 20020003701U KR 200277233 Y1 KR200277233 Y1 KR 200277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post
weight
crane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호
Original Assignee
김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호 filed Critical 김문호
Priority to KR2020020003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33Y1/ko

Links

Landscapes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을 좋게하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지브 크레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 및 설치성을 좋게하면서도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지브 크레인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 너비를 가지고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안내판과,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씌어져 회전하는 포스트 캡과,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을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I”형 형강인 기중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에 상기 기중지브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소정 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웨이트 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단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웨이트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지지판과,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기중 지브의 상부면에 다수개 부착고정된 고정편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기중 지브를 지지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기중지브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는 호이스트와, 상기 기중지브의 양단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가 소정 중량체를 기중시 포스트의 균형을 유지하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의 안내판에 접촉되는 안내로울러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전동모터와, 상기 포스트의 소정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전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 및 기중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브 크레인 구조{A jib crane structure}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을 좋게하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지브 크레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동력을 사용하여 무거운 짐을 매달아 승강작동시킴과 동시에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로서, 이는 작업장등의 천정면에 수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도 여러 종류의 크레인이 알려져 실제로 작업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크레인은 천정면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이의 양측 가이드레일에는 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는 작동바가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동바에는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호이스트에 작업하고자 하는 물건을 체결하여 이의 작동으로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호이스트가 작동바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바가 양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물건을 승강은 물론 X,Y축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크레인은 가이드레일이 작업장내 고정물로 설치되는 구성임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횡방향으로 작동바가 설치되는 구성임으로써 설치장소가 협소한 공간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더구나 천정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 및 설치성을 좋게하면서도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지브 크레인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 너비를 가지고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안내판과,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씌어져 회전하는 포스트 캡과,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을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I”형 형강인 기중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에 상기 기중지브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소정 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웨이트 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단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웨이트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지지판과,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기중 지브의 상부면에 다수개 부착고정된 고정편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기중 지브를 지지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기중지브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는 호이스트와, 상기 기중지브의 양단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가 소정 중량체를 기중시 포스트의 균형을 유지하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의 안내판에 접촉되는 안내로울러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전동모터와, 상기 포스트의 소정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전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 및 기중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안내로울러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포스트 11 : 안내판
20 : 포스트 캡 30 : 슬립링 세트(slip ring set)
40 : 기중지브 41 : 고정편
50 : 볼트 60 : 웨이트지브
70 : 지브지지판 80 : 지지와이어
90 : 호이스트 100 : 리미트 스위치
110 : 웨이트 밸런스(weight balance)
120 : 안내로울러 130 : 구동 스프로킷
140 : 전동모터 150 : 종동 스프로킷
160 : 전동모터 제어부 170 : 호이스트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지브 크레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기중지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 구조의 안내로울러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포스트(10)가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 너비를 가지고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안내판(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 씌어져 회전하는 포스트 캡(20)이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 캡(20)의 상부에는 상기 포스트 캡(20)의 회전시 발생되는 기계적 변형 즉 Strain, Torque, 온도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립링 세트(slip ring set)(30)가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 캡(20)의 하부 일측을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I”형 형강인 기중지브(40)가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 캡(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기중지브(40)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소정 볼트(50)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웨이트 지브(weight jib)(60)가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 캡(2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웨이트 지브(60)의 일단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웨이트 지브(60)를 지지하는 지브지지판(70)이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 캡(20)의 상부 일측과 상기 기중 지브(40)의 상부면에 다수개 부착고정된 고정편(41)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기중 지브(40)를 지지하는 지지와이어(8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기중 지브(40)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는 호이스트(90)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기중 지브(40)의 양단에는 상기 호이스트(90)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100)가 구비되며, 상기 웨이트 지브(60)의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90)가 소정 중량체를 기중시 포스트(10)의 균형을 유지하는 웨이트 밸런스(weight balance)(110)가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 캡(20)의 하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10)의 안내판(11)에 접촉되어 상기 포스트 캡(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로울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웨이트 밸런스(1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회전축에 구동스프로킷(130)을 구비한 전동모터(140)와, 상기 포스트(10)의 소정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15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전동모터(140)를 제어하는 전동모터 제어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호이스트(90)의 이동 및 기중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기중하고자 하는 소정 중량체에 상기 기중지브가 수직상방에 오도록 상기 전동모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전동모터가 전원을 인가 받으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킷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종동 스프로킷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포스트 캡은 상기 포스트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 캡의 회전으로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에 구비된 기중 지브 및 웨이트 지브 또한 회전되어 상기 기중지브를 기중하고자 하는 소정 중량체의 수직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중 지브가 회전되어 소정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호이스트 제어부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를 기중하고자 하는 소정 중량체의 수직상방에 오도록 상기 기중지브상에서 직선유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중지브의 양단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는 사용자의 사용부주위로 인해 상기 호이스트가 상기 기중지브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호이스트가 유동되어 싱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면 상기 호이스트의 유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호이스트가 소정 중량체의 수직 상방에 오게 되면 소정 중량체를 후크 및 체인에 의해 상기 중량체를 기중하여,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기중지브를 소정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중량체를 옮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적게 들어 제조성이 향상되며, 또한 설치시에는 수직 포스트만을 지면상에 고정설치하면 됨으로써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가 설치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기중지브의 호전반경에 따른 공간만을 가지면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 너비를 가지고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안내판과,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씌어져 회전하는 포스트 캡과,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을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I”형 형강인 기중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일측에 상기 기중지브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소정 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웨이트 지브와,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단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웨이트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지지판과,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 일측과 상기 기중 지브의 상부면에 다수개 부착고정된 고정편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기중 지브를 지지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기중지브상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소정 중량체를 기중하는 호이스트와, 상기 기중지브의 양단에는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가 소정 중량체를 기중시 포스트의 균형을 유지하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포스트 캡의 하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의 안내판에 접촉되는 안내로울러와, 상기 웨이트 지브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전동모터와, 상기 포스트의 소정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전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 및 기중을 제어하는 호이스트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브크레인 구조.
KR2020020003701U 2002-02-05 2002-02-05 지브 크레인 구조 KR200277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01U KR200277233Y1 (ko) 2002-02-05 2002-02-05 지브 크레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01U KR200277233Y1 (ko) 2002-02-05 2002-02-05 지브 크레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33Y1 true KR200277233Y1 (ko) 2002-06-03

Family

ID=7311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701U KR200277233Y1 (ko) 2002-02-05 2002-02-05 지브 크레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2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98B1 (ko) 2003-05-27 2006-10-18 김홍기 타워 크레인
KR101345832B1 (ko) 2012-04-16 2013-12-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지브 크레인의 수평조절장치
KR101462921B1 (ko) * 2012-12-17 2014-11-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트레치 벤딩 금형 교환장치
CN109870398A (zh) * 2019-04-02 2019-06-11 中国有色金属工业第十四冶金建设公司 渗透试验系统
CN113865548A (zh) * 2021-09-22 2021-12-31 深圳市鼎泰建设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起重机起重臂变形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98B1 (ko) 2003-05-27 2006-10-18 김홍기 타워 크레인
KR101345832B1 (ko) 2012-04-16 2013-12-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지브 크레인의 수평조절장치
KR101462921B1 (ko) * 2012-12-17 2014-11-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트레치 벤딩 금형 교환장치
CN109870398A (zh) * 2019-04-02 2019-06-11 中国有色金属工业第十四冶金建设公司 渗透试验系统
CN109870398B (zh) * 2019-04-02 2024-03-01 中国有色金属工业第十四冶金建设公司 渗透试验系统
CN113865548A (zh) * 2021-09-22 2021-12-31 深圳市鼎泰建设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起重机起重臂变形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4632D1 (de) Modulare hebeanordnung
KR0148221B1 (ko) 나사 승강장치
KR200277233Y1 (ko) 지브 크레인 구조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40121241A (ko) 풀인 윈치 시스템
KR102131572B1 (ko) 옥내 gis 기재 재설치용 인양장치
EP1500621A1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or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6675B1 (ko) 발전기 교체용 갠트리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교체방법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KR100636398B1 (ko) 타워 크레인
KR200467011Y1 (ko) 호이스트의 과권상방지장치
KR20090007695U (ko) 타워 크레인
CN219504445U (zh) 线盘打磨装置
CN220766253U (zh) 一种建筑工程吊装结构
CN214217965U (zh) 一种桥式起重机及其移动起吊装置
CN216687194U (zh) 一种用于单晶硅炉热场部套的吊装机构
CN214087408U (zh) 一种拆炉机吊装设备
CN220267190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建筑工程用支撑架
CN220317048U (zh) 一种钢板运送用电磁起重机
CN211366767U (zh) 一种大型金属结构件起吊装置
KR100556280B1 (ko) 크레인로봇 시스템
KR19980026957U (ko) 포스트 크레인(crane)
CN2376465Y (zh) 建筑塔机综合限位器
KR100351294B1 (ko)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보조 풀리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