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48Y1 - 전선 등의 보호관 - Google Patents

전선 등의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48Y1
KR200276148Y1 KR2020020004870U KR20020004870U KR200276148Y1 KR 200276148 Y1 KR200276148 Y1 KR 200276148Y1 KR 2020020004870 U KR2020020004870 U KR 2020020004870U KR 20020004870 U KR20020004870 U KR 20020004870U KR 200276148 Y1 KR200276148 Y1 KR 200276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waste
protective tub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형산
Original Assignee
계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형산 filed Critical 계형산
Priority to KR2020020004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48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등의 보호관 {Protection pipe for electric wire etc.}
본 고안은 철도용 전선, 가정의 전선 및 가스관, 광섬유를 보호하는 보호관, 일반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 등의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보호관으로 사용되는 관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19433호(고안의 명칭 ; 철도용 전선보호관)에 제안된 것과 같이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전선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존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전선보호관과의 차별성을 강조한 제품으로, 명세서 상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사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이 등록실용신안의 명세서에는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보다 제작,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고 있으나, 뚜껑(103)이 바람에 의해 날아가는 등의 문제 및 빗물이나 지하수 등의 투수위험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고, 또한 사출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품의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출성형에 의하여서는 제품의 길이의 한계가 있으므로 지나치게 많은 연결부위가 발생하고, 그 결과 고가의 연결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호관을 바닥에 고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못을 박아 바닥에 고정하게 되어 있는 바, 이는 보호관 내부로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유입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부에 돌부(104)와 삽입부(105)를 형성시키나, 이들 돌부(104)와 삽입부(105) 사이의 결합부에서 생기는 틈을 통한 누수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뚜껑(103)이 본체(101)에 결합되는 수단이 본체의 삽입홈(106)에 뚜껑(103)의 고정편(107)이 삽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나, 그 결합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지표수 등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여기에 볏짚이나 왕겨 등의 농업부산물, 톱밥이나 나무조각 등의 임업부산물, 플라이애쉬(fly ash), 고로 슬래그(slag), 펄프(pulp), 펄프 애쉬(pulp ash), 쓰레기 소각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충진재와 함께 혼련하여 성형되는 철도용 전선, 가정의 전선 및 가스관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보호관, 광섬유를 보호하는 보호관, 일반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콘크리트로 제조된 종래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종래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재료로 된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선보호관의 절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뚜껑
101 : 본체 102 : 전선
103 : 뚜껑 104 : 돌부
105 : 삽입부 106 : 삽입홈
107 : 고정편 108 : 구멍
201 : 본체 202 : 본체측벽
203 : 본체바닥 204 : 체결홈
205 : 요홈 206 : 본체강화리브
207 : 뚜껑 208 : 뚜껑판
209 : 뚜껑강화리브 210 : 체결돌기
211 : 전선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와 뚜껑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과 본체바닥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는 뚜껑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가 뚜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 자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가 상기 뚜껑강화리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201)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202)과 본체바닥(203)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207)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203)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205)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203)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203)과 일체로 하여본체강화리브(206)가 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7)은 상기 본체(201)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208)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208)의 저면에는 뚜껑판(20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209)가 뚜껑판(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208) 자체를 상기 본체(2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210)가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보호관을 구성하는 본체(201)와 뚜껑(207)을 구성하는 재료를 폐수지원료와 충진재를 원료로 하여 제조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는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이 일차적으로는 본연의 용도로 사용되고 난 후, 폐기되는 것을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폐수지원료들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사용 후의 수지제품들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으로서, 각종의 플라스틱제의 용기 등을 포함하는 수지제품들과 비닐하우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지필름을 수거한 폐필름 등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열가소성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는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충진재는 볏짚이나 왕겨 등의 농업부산물, 톱밥이나 나무조각 등의 임업부산물, 플라이애쉬(fly ash), 고로 슬래그(slag), 펄프(pulp), 펄프 애쉬(pulp ash), 쓰레기 소각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들 역시 상기한 폐수지원료와 마찬가지로 가공잔재물이나 기타 부산물들을 활용하여 폐수지원료의 수지성분에 기계적 물성을 더욱 보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충진재가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보호관의 기계적 성질이 미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폐수지원료에 비해 충진재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이 포함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와 충진재의 혼합물은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된 후, 성형된다.
상기 폐수지원료와 충진재의 혼합물은, 도 4 및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관의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되며, 이때 상기 본체(201)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202)과 본체바닥(203)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207)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203)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205)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203)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203)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206)가 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7)은 상기 본체(201)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208)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208)의 저면에는 뚜껑판(20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209)가 뚜껑판(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208) 자체를 상기 본체(2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210)가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본체(201)내에 전선(211) 등을 수용하고 난 후, 뚜껑(207)을 본체(20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전선(211) 등을 보호하는 보호관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은 종래의 보호관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본체(201)와 뚜껑(207)을 구성하는 재질이 합성수지와 충진재가 혼련되어 성형되며, 결정 용융온도가 높아서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이 프로파일(308)의 중심부위에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뭉쳐져 있어 융점이 낮은 폐플라스틱이 용융되어 프로파일(308)의 외층을 구성하고, 융점이 높은 폐플라스틱은 용융되지 않고 프로파일(308)의 내층을 구성하는 구조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상기 내층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외층은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둘째, 뚜껑(207)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조의 뚜껑(207)도,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207)의 뚜껑강화리브(209)의 단부가 본체측벽(202)의 상단면과 면접촉을 하면서 지지되기 때문에 뚜껑(207)은 충분한 힘으로 위로부터 누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보호관 전체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셋째, 뚜껑(207)과 본체(201)의 체결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지면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본체(201)의 어디에도 본체(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108)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반에 지지될 수 있는 요홈(205)을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고, 시공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넷째,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지는 보호관이 경량이어서 물에 뜨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은 폐수지원료와 충진재가 혼련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중이 증가되어 물에 의하여 쉽게 부유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충진재들이 핵제로서 기능하여 시간여 경과하면서 수지부분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강도가 점차로 증가하여 외력 등에 대하여 저항하는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폐플라스틱과 폐필름을 중량비로 50 : 50의 비율로 혼합한 폐수지원료 100중량부에 충진재로서 플라이애쉬 25중량부를 230℃로 설정된 2축압출기와 단축압출기를 이중으로 통과시켜 혼련시킨 후, 혼련된 원료를 다이(303)를 통해 압출하면서 성형틀(304)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직후 냉각장치(305)에서 냉각시켜 프로파일(308)을 제조하고, 10m의 길이로 절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관은 연속적인 긴 길이로 성형되며,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은 충분한 힘으로 위로부터 누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보호관 전체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등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과 본체(201)의 체결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본체(201)의 어디에도 본체(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반에 지지될 수 있는 요홈(205)을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고, 시공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207)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와 뚜껑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과 본체바닥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는 뚜껑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가 뚜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 자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가 상기 뚜껑강화리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등의 보호관.
KR2020020004870U 2002-02-19 2002-02-19 전선 등의 보호관 KR200276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70U KR200276148Y1 (ko) 2002-02-19 2002-02-19 전선 등의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70U KR200276148Y1 (ko) 2002-02-19 2002-02-19 전선 등의 보호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63 Division 2002-02-02 2002-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48Y1 true KR200276148Y1 (ko) 2002-05-21

Family

ID=7305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70U KR200276148Y1 (ko) 2002-02-19 2002-02-19 전선 등의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40B1 (ko) * 2002-02-02 2005-02-21 주식회사 파이팍스환경공학 전선 등의 보호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40B1 (ko) * 2002-02-02 2005-02-21 주식회사 파이팍스환경공학 전선 등의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780A (en) Underground chamber
WO2004016688A3 (en) Polyethylene melt blends for high density polyethylene applications
CA2469951A1 (en) A synthetic roofing shingle or tile
US20240002644A1 (en) Natural fiber composite construction materials
KR200276148Y1 (ko) 전선 등의 보호관
AU2003261219A1 (en) Use of recycled plastics for structural building forms
KR200288507Y1 (ko) 전선 등의 보호관
KR1003529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US6855440B2 (en) Construction material,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1155997B2 (en) Roof forming element, ro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H06284544A (ja) 合成樹脂製トラフ
KR200411789Y1 (ko) 삼중벽관
JP2008278728A (ja) トラフ
EP356301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uctural beam
KR101056965B1 (ko) 중공파이프가 삽입된 압출 성형재
EP3563014B1 (en) Solar roof forming element and building
KR200182638Y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패널
KR20050106330A (ko) 폴리프로필렌 이중벽관
KR100603812B1 (ko) 파이프
KR101849141B1 (ko) 고유동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경량화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964B1 (ko)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JPH02151637A (ja) 棟瓦固定構造材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080172981A1 (en) Non-organic composite lumber
GB2324324A (en) An underground chamber
JPH1037325A (ja) 住宅用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