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507Y1 - 전선 등의 보호관 - Google Patents

전선 등의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507Y1
KR200288507Y1 KR2020020017875U KR20020017875U KR200288507Y1 KR 200288507 Y1 KR200288507 Y1 KR 200288507Y1 KR 2020020017875 U KR2020020017875 U KR 2020020017875U KR 20020017875 U KR20020017875 U KR 20020017875U KR 200288507 Y1 KR200288507 Y1 KR 200288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waste
protective tub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형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팍스환경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팍스환경공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팍스환경공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등의 보호관 {Protection pipe for electric wire etc.}
본 고안은 철도용 전선, 가정의 전선 및 가스관, 광섬유를 보호하는 보호관, 일반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 등의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보호관으로 사용되는 관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19433호(고안의 명칭 ; 철도용 전선보호관)에 제안된 것과 같이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전선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존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전선보호관과의 차별성을 강조한 제품으로, 명세서 상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사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이 등록실용신안의 명세서에는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보다 제작,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고 있으나, 뚜껑(103)이 바람에 의해 날아가는 등의 문제 및 빗물이나 지하수 등의 투수위험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고, 또한 사출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품의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출성형에 의하여서는 제품의 길이의 한계가 있으므로 지나치게 많은 연결부위가 발생하고, 그 결과 고가의 연결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호관을 바닥에 고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못을 박아 바닥에 고정하게 되어 있는 바, 이는 보호관 내부로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유입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부에 돌부(104)와 삽입부(105)를 형성시키나, 이들 돌부(104)와 삽입부(105) 사이의 결합부에서 생기는 틈을 통한 누수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뚜껑(103)이 본체(101)에 결합되는 수단이 본체의 삽입홈(106)에 뚜껑(103)의 고정편(107)이 삽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나, 그 결합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지표수 등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여기에 볏짚이나 왕겨 등의 농업부산물, 톱밥이나 나무조각 등의 임업부산물, 플라이애쉬(fly ash), 고로 슬래그(slag), 펄프(pulp), 펄프 애쉬(pulp ash), 쓰레기 소각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충진재와 함께 혼련하여 성형되는 철도용 전선, 가정의 전선 및 가스관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보호관, 광섬유를 보호하는 보호관, 일반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콘크리트로 제조된 종래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종래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철도용 전선보호관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로 된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선보호관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선보호관의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로 된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로 된 전선보호관의 절개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뚜껑
101 : 본체 102 : 전선
103 : 뚜껑 104 : 돌부
105 : 삽입부 106 : 삽입홈
107 : 고정편 108 : 구멍
201 : 본체 202 : 본체측벽
203 : 본체바닥 204 : 체결홈
205 : 요홈 206 : 본체강화리브
207 : 뚜껑 208 : 뚜껑판
209 : 뚜껑강화리브 210 : 체결돌기
211 : 전선 212 : 심재
213 : 표면재 301 : 2축압출기
302 : 제1압출기 303 : 공압출다이
304 : 성형틀 305 : 냉각장치
306 : 권취기 307 : 절단기
308 : 프로파일 310 : 제2압출기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와 뚜껑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과 본체바닥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는 뚜껑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가 뚜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 자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가 상기 뚜껑강화리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201)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202)과 본체바닥(203)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207)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203)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205)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203)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203)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206)가 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7)은 상기 본체(201)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208)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208)의 저면에는 뚜껑판(20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209)가 뚜껑판(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208) 자체를 상기 본체(2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210)가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보호관을 구성하는 본체(201)와 뚜껑(207)을 구성하는 재료를 폐수지원료와 충진재를 원료로 하여 제조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는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이 일차적으로는 본연의 용도로 사용되고 난 후, 폐기되는 것을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폐수지원료들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사용 후의 수지제품들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으로서, 각종의 플라스틱제의 용기 등을 포함하는 수지제품들과 비닐하우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지필름을 수거한 폐필름 등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열가소성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는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충진재는 볏짚이나 왕겨 등의 농업부산물, 톱밥이나 나무조각 등의 임업부산물, 플라이애쉬(fly ash), 고로 슬래그(slag), 펄프(pulp), 펄프 애쉬(pulp ash), 쓰레기 소각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들 역시 상기한 폐수지원료와 마찬가지로 가공잔재물이나 기타 부산물들을 활용하여 폐수지원료의 수지성분에 기계적 물성을 더욱 보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충진재가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보호관의 기계적 성질이 미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폐수지원료에 비해 충진재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이 포함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폐수지원료와 충진재의 혼합물은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된 후, 성형된다.
상기 폐수지원료와 충진재의 혼합물은, 도 4 및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관의 본체(201)와 뚜껑(207)으로 성형되며, 이때 상기 본체(201)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202)과 본체바닥(203)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207)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203)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205)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203)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203)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206)가 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7)은 상기 본체(201)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208)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208)의 저면에는 뚜껑판(20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209)가 뚜껑판(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208) 자체를 상기 본체(2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210)가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본체(201) 내에 전선(211) 등을 수용하고 난 후, 뚜껑(207)을 본체(20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전선(211) 등을 보호하는 보호관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은 종래의 보호관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본체(201)와 뚜껑(207)을 구성하는 재질이 합성수지와 충진재가 혼련된 복합재로 성형되며, 결정 용융온도가 높아서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은 압출공정의 특성상 프로파일(308)의 중심부위에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뭉쳐져 있어 융점이 낮은 폐플라스틱이 용융되어 프로파일(308)의 외층을 구성하고, 융점이 높은 폐플라스틱은 용융되지 않고 프로파일(308)의 내층을 구성하는 구조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상기 내층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하며, 상기 외층은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둘째, 뚜껑(207)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조의 뚜껑(207)도,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207)의 뚜껑강화리브(209)의 단부가 본체측벽(202)의 상단면과 면접촉을 하면서 지지되기 때문에 뚜껑(207)은 충분한 힘으로 위로부터 누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보호관 전체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셋째, 뚜껑(207)과 본체(201)의 체결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지면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본체(201)의 어디에도 본체(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108)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반에 지지될 수 있는 요홈(205)을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고, 시공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넷째,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지는 보호관이 경량이어서 물에 뜨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은 폐수지원료와 충진재가 혼련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중이 증가되어 물에 의하여 쉽게 부유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충진재들이 핵제로서 기능하여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지부분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강도가 점차로 증가하여 외력 등에 대하여 저항하는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도 7 및 도 8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하나의 단축압출기(제1압출기) 또는 2축압출기(301)와 연결된 제1압출기(302)를 함께 사용하여 본체(201)와 뚜껑(207)의 심재(212)로 성형하고, 충진재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폐수지원료 또는 미사용 수지원료를 다른 하나의 단축압출기(제2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심재(212)를 감싸는 표면재(213)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201)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202)과 본체바닥(203)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207)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202)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203)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205)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203)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203)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206)가 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7)은 상기 본체(201)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208)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208)의 저면에는 뚜껑판(20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209)가 뚜껑판(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208)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208) 자체를 상기 본체(20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210)가 상기 뚜껑강화리브(209)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은, 본체(201)와 뚜껑(207)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구획된 단면을 가지도록 하고, 그 중 내측구역은 충진재를 포함하는 폐수지원료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자원활용과 강성 등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킨 심재(212)로 구성되도록 하고, 외측구역은 충진재를 포함하지 않는 폐수지원료 또는미사용 수지원료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려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갖는 표면재(213)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2개 이상의 구획된 단면을 갖도록 심재(212)와 표면재(213)로 구분되는 본체(210)와 뚜껑(207)의 성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선 등의 보호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심재(212)와 표면재(213)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압출기를 통하여 수지원료를 압출시켜 성형틀 내에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등의 보호관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조장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의 원료출구에 취부되어 원료를 압출하는 공압출다이(303)와, 상기 공압출다이(303)로부터 압출되는 원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04)과, 상기 성형틀(304)로부터 유출되는 성형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305)와, 상기 냉각장치(305)에 의하여 냉각된 성형품을 권취하는 권취기(306)와, 상기 권취기(306)를 통하여 유출되는 프로파일(308)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3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프로파일(308)이 공압출다이(303)를 통하여 압출되면서 프로파일(308)의 외층이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폐수지원료와 충진재를 사용하여도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보호관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폐수지원료와 충진재를 충분히 용융혼련시키기 위한 단축압출기만으로 된 제1압출기(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압출기(302)로는 2축압출기(301)와 연결된 단축압출기(302)가, 그리고 상기 제2압출기(310)로는 단축압출기가 사용된다.
상기 제1압출기(302)의 2축압출기(301)와 단축압출기(302)는 모두 폐수지원료와 충진재를 서로 혼련시키고, 공압출다이(303)를 통해 압출하여 압출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공압출다이(303)를 통해 압출성형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은 종래의 사출성형에 비해 성형품의 길이제한이 없고, 따라서 매우 긴 길이의 보호관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며, 길이가 긴 보호관의 사용은 설치 시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폐플라스틱과 폐필름을 중량비로 50 : 50의 비율로 혼합한 폐수지원료 100중량부에 충진재로서 플라이애쉬 25중량부를 230℃로 설정된 2축압출기(301)와 단축압출기(302)를 이중으로 통과시켜 혼련시킨 후, 혼련된 원료를 공압출다이(303)를 통해 압출하면서 성형틀(304)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직후 냉각장치(305)에서 냉각시켜 프로파일(308)을 제조하고, 10m의 길이로 절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관은 연속적인 긴 길이로 성형되며,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은 충분한 힘으로 위로부터 누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보호관 전체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등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과 본체(201)의 체결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본체(201)의 어디에도 본체(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반에 지지될 수 있는 요홈(205)을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고, 시공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실시예 2
폐플라스틱과 폐필름을 중량비로 50 : 50의 비율로 혼합한 폐수지원료 100중량부에 충진재로서 플라이애쉬 25중량부를 230℃로 설정되며, 2축압출기(301)와 연결된 단축압출기(302)로 이루어진 제1압출기(302)를 통과시켜 혼련시킨 후, 혼련된 원료를 공압출다이(303)를 통해 압출하면서 성형틀(304)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체(201) 및 뚜껑(207)의 형상으로 심재(212)로 성형하고, 이와는 별도로 폐플라스틱만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지원료를 역시 230℃로 설정된 제2압출기(310)를 통과시켜 혼련시킨 후, 혼련된 원료를 공압출다이(303)를 통해 압출하면서 성형틀(304)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체(201) 및 뚜껑(207)의 형상으로 표면재(213)로 성형한 직후 냉각장치(305)에서 냉각시켜 프로파일(308)을 제조하고, 10m의 길이로 절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관은 연속적인 긴 길이로 성형되며,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은 충분한 힘으로 위로부터 누르는 힘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보호관 전체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등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뚜껑(207)과 본체(201)의 체결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본체(201)의 어디에도 본체(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반에 지지될 수 있는 요홈(205)을 성형시 일체로 성형시키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이 없고, 시공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사출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보호관의 단점, 즉 길이의 한계에 따른 문제, 바람에 의해 뚜껑(207)이 날리는 문제, 제조단가에 관한 문제, 약한 강도에 기인하는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폐플라스틱 또는 폐필름 등과 같은 폐수지원료 50 내지 100중량부에 충진재 1 내지 50중량부를 180 내지 250℃의 용융온도범위 내에서 용융혼련하고, 이를 본체와 뚜껑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위로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이 되도록 본체측벽과 본체바닥으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상단 내면에는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벽의 외면과 상기 본체바닥의 외면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바닥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바닥과 일체로 하여 본체강화리브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판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는 뚜껑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뚜껑강화리브가 뚜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강화리브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상기 뚜껑판 자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돌기가 상기 뚜껑강화리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등의 보호관.
KR2020020017875U 2002-02-02 2002-06-12 전선 등의 보호관 KR2002885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63 2002-02-02
KR1020020006063 2002-02-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690A Division KR100470840B1 (ko) 2002-02-02 2002-04-16 전선 등의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507Y1 true KR200288507Y1 (ko) 2002-09-11

Family

ID=32220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690A KR100470840B1 (ko) 2002-02-02 2002-04-16 전선 등의 보호관
KR2020020017875U KR200288507Y1 (ko) 2002-02-02 2002-06-12 전선 등의 보호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690A KR100470840B1 (ko) 2002-02-02 2002-04-16 전선 등의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7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42B1 (ko) * 2006-09-12 2007-01-24 주식회사 다우코퍼레이션 지중케이블 보호구조
KR101002228B1 (ko) * 2008-07-03 2010-12-20 이병렬 검정색 케이블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CN104901243B (zh) * 2015-05-26 2018-05-0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控制柜及其内部电气布线的专用线槽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40A (ja) * 1992-10-09 1994-04-28 Aron Kasei Co Ltd ケーブルトラフ
KR960004164Y1 (ko) * 1993-09-06 1996-05-22 신용운 배선보호용 케이스의 성형장치
KR960038814U (ko) * 1995-05-18 1996-12-18 신용운 케이블 보호용 커버
KR19980016261U (ko) * 1996-09-17 1998-06-25 이강오 전기배선용 닥트
KR100265065B1 (ko) * 1998-03-13 2000-10-02 황택성 폐요소섬유보강내충격복합재의제조방법
KR19990039642U (ko) * 1998-04-15 1999-11-15 신용운 전선보호커버 제조장치
KR19990064617A (ko) * 1999-04-17 1999-08-05 정우현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200207492Y1 (ko) * 2000-07-07 2000-12-15 김경미 배선덕트
KR100394152B1 (ko) * 2000-11-08 2003-08-09 고재권 전선 보호관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전선 보호관
KR200232486Y1 (ko) * 2000-11-27 2001-09-26 강경자 매설용 관
KR200276148Y1 (ko) * 2002-02-19 2002-05-21 계형산 전선 등의 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840B1 (ko) 2005-02-21
KR20030066278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562B2 (en) Die assembly and production process for profile extrusion
US5658519A (en) Reinforced plastic pil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CN102532639B (zh) 一种塑料模板
KR200288507Y1 (ko) 전선 등의 보호관
KR1003529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01297199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충진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KR200276148Y1 (ko) 전선 등의 보호관
KR19990064617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00292274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널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01794074B1 (ko) 강성 보강용 피복형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200411789Y1 (ko) 삼중벽관
US11155997B2 (en) Roof forming element, ro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753347A (en) Device having a double-walled corrugated construction
KR102343188B1 (ko) 요철형 프로파일을 이용한 접착력과 외강강도를 향상시킨 합성수지관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043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1619141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CN212072872U (zh) 一种双壁波纹管生产装置
KR100276359B1 (ko) 고분자 복합패널 및 그 제조 장치
KR200253693Y1 (ko) 폐자재를 이용한 합성수지 나선관
KR100603812B1 (ko) 파이프
KR100807555B1 (ko) 코러게이트 관에 나선형태의 프로파일을 감아 보강하는합성수지관 성형장치
KR100499535B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및 그 성형방법
KR100538139B1 (ko) 컨테이너 및 화물자동차 바닥재용 보드
CN217760703U (zh) 一种门芯板以及用于制造门芯板组件的挤塑模具
KR102342964B1 (ko)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