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61Y1 -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 Google Patents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61Y1
KR200275761Y1 KR2019980004755U KR19980004755U KR200275761Y1 KR 200275761 Y1 KR200275761 Y1 KR 200275761Y1 KR 2019980004755 U KR2019980004755 U KR 2019980004755U KR 19980004755 U KR19980004755 U KR 19980004755U KR 200275761 Y1 KR200275761 Y1 KR 200275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light pipe
light
la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89U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ublication of KR19980024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6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램프(3)로부터 광을 발산하여 사물을 식별하는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전등의 램프(3)에서 발산되는 광을 경광시키는 경광관(300); 상기 경광관(300)이 선단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램프(3)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경광관(300)이 손전등의 내부로 수납되는 헤드부 (400); 및 상기 헤드부(40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건전지(56)가 수납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손전등 자체의 내부에 경광관(300)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경광관(300)이 구비되는 손전등의 반대쪽에 커터(67a), 망치(68) 및 압축가스 분사기(66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함으로써 손전등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더 부가하여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a Flashlight which contains lantern cap}
본 고안은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광관(lantern cap), 손전등, 커터(cutter), 망치 및 압축가스 분사기 등을 포함하여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전등은 어두움 속에서 사물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손전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손전등(100)의 단부에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되고, 손전등(100)의 상기 단부에서 형성된 나사에 의하여 체결되는전면캡(12)을 구비하여 손전등(1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손전등(100)이 비추어지는 방향으로 직진함과 동시에 전면캡(12)에 의하여 측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손전등(100)은 별도로 전면캡(12)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면캡(12)을 보관하여야 하는 보관상의 번거로움이 있거나 또는 전면캡(l2)이 부착되어서 생산되는 손전등(100)에서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경광관으로서의 사용이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전등 자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경광관을 구비하고, 손전등에서 상기 경광관이 구비되는 반대쪽에 망치와 커터 그리고 압축가스 분사기를 구비함므로써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손전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경광관에 대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경광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경광관이 구비된 헤드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손잡이부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다기능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명창 2: 반사경
3: 램프 6: 오링
7: 램프소캣 8: 공간
31: 구멍 32: 나사부
33: 돌기부 40: 캡부
42: 보디부 52: 후부캡
44, 53a: 요홈 42a, 50a, 52a, 52b: 나사부
50c: 제1나사부 50d: 제2나사부
53: 차단캡 54: 보조관
56: 건전지 57: 스프링
58: 스위치 60: 가스통
62: 인출관 64: 버튼
66a, 66b: 결합편 67: 경사요홈
67a: 커터 68: 망치
100: 손전등 300: 경광관
400: 헤드부 500, 520: 손잡이부
600: 다기능부 660: 압축가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은, 램프(3)로부터 광을 발산하여 사물을 식별하는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전등의 램프(3)에서 발산되는 광을 경광시키는 경광관(300); 상기 경광관(300)이 선단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램프(3)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경광관(300)이 손전등의 내부로 수납되는 헤드부(400); 및 상기 헤드부 (40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건전지(56)가 수납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은 크게 나누어 경광관(300), 헤드부(400), 손잡이부(500) 및 다기능부(600)를 포함한다.
도 3a는 도 2의 경광관(300)에 대한 상세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광관(30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관 형상이며, 적색 또는 황색 등의 색상을 갖는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서 이루어진다. 경광관(300)은 선단면에 구멍(31)이 형성되고, 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32)가 형성된다. 이때, 나사부(32)가 형성되는 경광관(300)의 후단면은 개방되어 있다.
도 3b는 도 2의 경광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광관(300)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돌기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3)는 헤드부(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홈(44)에 끼워짐으로써, 경광관 (300)과 헤드부(400)가 서로 체결된다.
도 4는 도 2의 경광관(300)이 선단부에 구비된 헤드부(4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0)는 크게 캡부(40)와, 보디부(42)로 이루어진다. 보디부(42)는 캡부(40)와의 사이에 투명창(1)과, 보디부(42) 투명창(1)의 내측에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경(2)과, 반사경(2)의 중심부위에 구비되는 램프(3)와, 램프(3)와 결합되어서 지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램프소캣(7)을 포함한다. 램프(3)는 램프소캣(7)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지되어서 반사경(2)의 중심부에 구비된다. 이때, 램프소캣(7)과 보디부(42) 사이에 공간(8)이 형성된다.
도 3a에서 외주면에 나사부(32)가 형성되는 경광관(300)의 후단면은, 도 4에서 도시된 캡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0a)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경광관(300)과 헤드부(400)는 서로 결합된다.
또한, 캡부(40)의 후단부 내주면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보디부(42)의 선단부 외주면에 나사부(5)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5)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캡부(40)와 보디부(42)는 서로 결합된다. 또한, 서로 결합되는 캡부(40)와 보디부(42)는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오링 (6)이 사용된다.
또한, 경광관(300)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도시된 램프소캣(7)과 보디부(42)사이에 형성된 공간(8)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경광관(300)의 수납을 위하여 캡부 (40)가 보디부(42)로부터 탈착되면, 동시에 캡부(40)에 결합된 투명창(1)과 반사경 (2) 그리고 램프소캣(7)이 보디부(42)에서 탈착된다. 그러면, 수납을 위하여 경광관(300)의 선단부가 먼저 헤드부(400)의 공간(8)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서 반사경(2)과 투명창(1) 그리고 램프소캣(7)이 결합된 캡부(40)가 보디부(42)에 체결됨으로써, 경광관(300)은 헤드부(400) 내부로 수납이 되고, 수납된 경광관(300)은 손전등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또,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광관(300)은 후단부 외주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의 돌기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부(33)는 헤드부(400)의 선단부에서 캡부(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44)에 삽입됨으로써 경광관(300)과 헤드부(4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손잡이부(500)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로서 보조관(54)없이 경광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에서 도시된 경광관은 다른 실실예로서 도 4에서 도시된 경광관보다 긴 경광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보디부(42)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2a)와, 도 5에서 도시된 손잡이부(500)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50a)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손잡이부(500)는 헤드부(400)의 후단부에서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부(500)의 나사부(50a) 측부에 오링(6)이 구비되어 헤드부(400)와 체결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손잡이부(500)의 후단부는 일실시예로서 후부캡(52)이 구비된다. 후부캡(52)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52a)와 손잡이부(500)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50b)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는데, 이때 오링(6)에 의하여 외부와 내부가 차단된다. 또한 램프소캣(7)의 후단부 외주부(7a)에 그 내주면이 끼워지거나 또는 나사부(7a)(7b)에 의하여 체결되어서 지지되기 때문에, 보조관(54)은 후부캡(52) 또는 램프소캣(7)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건전지(56)가 수납되는 보조관(54)은 손잡이부(5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보조관(54)에 수납되는 건전지(5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도 4에서 도시된 램프소캣(7)의 내부를 통하여 램프(3)로 인가되어서 램프(3)를 점등시킨다. 또한,후부캡(52)의 선단부와 건전지(56) 사이에는 램프(3) 방향으로 램프소캣(7)을 밀착시켜서 건전지(56)의 전원을 램프(3)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57)이 구비된다.
또한, 보조관(54)과 손잡이부(500)와의 사이에 경광관(300)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보조관(54)은 손잡이부(5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광관(300)이 길게 형성되었더라도 손전등의 내부 즉, 손잡이부(5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다기능부(6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부(600)는 도 5에서 도시된 후부캡(52)이 구성되는 위치에서 후부캡(52) 대용으로 구비된다. 즉, 다기능부(600)는 커터(67a), 망치 (68), 압축가스부(660) 및 한 쌍의 결합편(66a)(66b)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결합편(66a)(66b)은 커터(67a), 망치(68) 및 압축가스부(660)를 내부에 구비하는데, 압축가스부(660)는 일부가 손잡이부(520)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6에서 도시된 손잡이부(520)는, 도 5에서 도시된 손잡이부(500)와는 그 후단부의 구성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단부 내주면에 제1나사부(50c)와 그 안쪽으로 제2나사부(50d)를 구비한다. 외주면에 오링(6)과 나사부(52b)가 구비되고, 일면에 일자 드라이버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요홈(53a)이 구비된 차단캡(53)은 손잡이부(520)의 제2나사부(50d)에 체결된다.
압축가스부(660)는 버튼(64), 인출관(62) 및 가스통(60)으로 구성된다. 체결된 차단캡(53)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520)의 선단부 내부에는, 호신용으로서분사함으로써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최루가스 등의 호신용 가스가 주입되어 충진되고, 버튼(64)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충진된 가스가 인출관(62)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통(60)이 구비된다.
가스통(60)의 인출관(62)은 한 쌍의 결합편(66a)(66b)이 서로 결합되면서 한 쌍의 결합편(66a)(66b)의 내부에 구성된다. 즉, 결합편(66a)(66b)이 서로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면에 요홈(65)이 형성되고, 요홈(65)에 가스통(60)의 인출관(62)이 안착되는데, 인출관(62)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64)이 인출관(62)의 꺾임 부위를 내부에 구비한다. 이때, 버튼(64)은 누름 동작이 용이하도록 서로 결합된 결합편(66a)(66b)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결합편(66a)(66b)의 각각은 하단부에서 외주면에 나사부(66c)가 구비되어서, 결합된 결합편(66a)(66b)이 손잡이부(520)와 결합될 때, 손잡이부(5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50c)에 체결된다. 또한, 결합편(66a)(66b)의 나사부(66c)는 오링을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은 경광관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체결되거나 또는 연결되는 부위에 오링을 사용하여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 방수 손전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결합편(66a)(66b)은 일측에서 측면 형상이 마치 동물의 입처럼 형성된 경사요홈(67)이 형성된다. 이 경사요홈(67)은 안전을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는 커터(67a)가 구비된다. 그리고, 경사요홈(67)이 구비된 일측에 대한 타측에는 금속 재질로 되는 망치(68)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터(67a)와 망치(68)는결합편(66a)(66b)이 서로 체결될 때, 그 내부에 구비되어서 고정된다.
또한, 결합편(66a)(66b)은 나사구멍(69a)(69b)(69c)(69d)을 구비하여 나사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나사구멍(69d)(69c)은 결합편(66a)(66b)을 손잡이부(5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경광관(300)을 제외한 헤드부(400), 손잡이부 (500) 및 다기능부(6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전지(56)로부터 발생되는 전기가 흐르도록 폐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램프(3)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스위칭부(58a)의 일측에서 구비하는 스위치(58)를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스위치(58)를 손잡이부(520)의 외관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스위치(58) 없이 헤드부(400), 손잡이부(500) 및 다기능부(600)의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서 전기적인 접점을 온 또는 오프함으로써 램프(3)를 점등시킬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예로서, 본 고안의 손전등이 자동차에 구비되면, 커터(67a)는 자동차에서 교통사고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승차자의 풀어지지 않는 안전벨트를 끊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망치(68)는 상기와 같은 자동차에서의 비상사태에서 승차자가 자동차를 탈출하고자 할 때, 자동차의 유리창을 깨뜨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통(60)에 압축된 가스를 분무함으로써 노상에서 타인의 폭행에 대처할 수 있는 호신용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광관(300)은 야간에 자동차의 교통사고 등을 정리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는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상사태를 알릴 수 있는 경광관의 설치와 수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상기 경광관이 수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자동차의 유리창을 깰 수 있는 망치, 자동차 승차자가 안전을 위하여 착용한 안전밸트를 끊을 수 있는 커터 및 호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축가스 분사기 등을 손전등에 더 구비하기 때문에, 야간에 사물을 식별하는 손전등의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에 의하여 비상사태에서 본 고안의 손전등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7)

  1. 램프(3)로부터 광을 발산하여 사물을 식별하는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전등의 램프(3)에서 발산되는 광을 경광시키는 경광관(300);
    상기 경광관(300)이 선단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램프(3)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경광관(300)이 손전등의 내부로 수납되는 헤드부(400); 및
    상기 헤드부(40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건전지(56)가 수납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관(300)은,
    그 후단부의 외주면에 돌기부(33)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33)와 대응되어서 체결되는 상기 헤드부(400)의 캡부(40)의 선단부 내주면에 요홈(44)을 형성하여, 상기 경광관(300)과 상기 캡부(40)가 서로 체결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내부에 구비되는 건전지(56)와 상기 손잡이부(5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공간에 상기 헤드부(400)의 내부로 수납된 상기 경광관(300)이 연장되어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내부에 건전지(56)가 수납되는 보조관(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그 후단부에서, 경사요홈(67)의 내측에서 칼날로서 구비되는 커터(67a), 유리창 등을 깨뜨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망치(68) 및 호신용 가스 분사기로서 구비되는 압축가스 분사기(6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다기능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관(300)은,
    그 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32)와 대응되어서 체결되는 상기 헤드부(400)의 캡부(40) 선단부 내주면에 나사부(40a)를 형성하여, 상기 경광관(300)과 상기 캡부(40)가 서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54)은,
    램프소캣(7)의 외주부(7a)의 나사부(7b)와 보조관(5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7c)가 서로 체결되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
KR2019980004755U 1997-09-26 1998-03-25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KR2002757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462 1997-09-26
KR19970027462 1997-09-26
KR97-27462 1997-09-26
KR19970028055 1997-10-02
KR2019970028055 1997-10-02
KR97-28055 1997-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89U KR19980024789U (ko) 1998-07-25
KR200275761Y1 true KR200275761Y1 (ko) 2002-12-31

Family

ID=6951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755U KR200275761Y1 (ko) 1997-09-26 1998-03-25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8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077B2 (en) Mechanism and cap for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electrically powered device and lighting device with such a cap
US6371625B2 (en) All solid-state omni directional luminary and flashlight
US5683168A (en) Spray canister light
US5582196A (en) Multipurpose cane
EP1678443B1 (en) Convertible flashlight and area light with an aperture shutter
US6641279B1 (en) Dual-beam light assembly with adjustable posterior head
JPH088001B2 (ja) 信号灯付き懐中電灯
US6004008A (en) Multi-functional flashlight
KR200275761Y1 (ko)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US5961199A (en) Light pen
US6299324B1 (en) Multi-function lantern including flashing lantern cap
US20050152137A1 (en) LED flashlight
US6199998B1 (en) Driving tool with illuminating capability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CN218237122U (zh) 一种车用手电筒
KR200425653Y1 (ko) 이동형 작업등
JP3051693B2 (ja) 照明器具
KR20000019251U (ko) 탈부착 되는 다리를 가진 다기능 손전등.
JPH0922601A (ja) 携帯用信号表示灯
KR200253851Y1 (ko)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KR200437159Y1 (ko) 손전등
KR200306928Y1 (ko) 발광 샤프 펜슬
KR200200191Y1 (ko)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