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59Y1 - 손전등 - Google Patents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59Y1
KR200437159Y1 KR2020070010704U KR20070010704U KR200437159Y1 KR 200437159 Y1 KR200437159 Y1 KR 200437159Y1 KR 2020070010704 U KR2020070010704 U KR 2020070010704U KR 20070010704 U KR20070010704 U KR 20070010704U KR 200437159 Y1 KR200437159 Y1 KR 200437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lashlight
electric field
direction indicat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202007001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방향지시 나침판이 구비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의 재질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은 전기장 차단부재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전등{a Flashlight}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하여 나침판이 구비 된 손전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후부캡에 보조캡이 더욱 구비된 것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손전등은 별도의 조명시설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조명장치의 하나이다.
나침판은 등산을 갈 때 사용되며 휴대용 조명장치와 결합되면 편리하여 주로 플라스틱재질의 휴대용 조명기구에 나침판이 구비된 것이 있었다
막대형태로 된 손전등은 호신용 도구로 사용되어 유용 하다. 그러나 막대형태로 된 손전등의 재질은 단단할수록 좋기 때문에 충격에 강한 금속재질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금속과 같이 전기가 흐르는 전도성 재질의 손전등은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의 전류가 금속재질의 손전등에 흐르면 전기장이 생기고 이 전기장은 방향지시 나침판의 자침의 방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는 금속재질과 같은 전도성 재질에는 방향지시 나침판이 구비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 출 된 것으로 금속과 같이 전도성 재질의 손전등에도, 전기장을 차단하는 전기장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방향지시 나침판을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손전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 손전등은,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방향지시 나침판이 구비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의 재질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은 전기장 차단부재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는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이 수납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는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이 수납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과 또는 납으로 된 차단판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과 차단 판은 플라스틱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전등의 후부캡 또는 보조캡에 방향지시나침판을 장착하여 손전등을 막대처럼 쥐고 휘두를 때도 부숴지지 않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금속재질의 손 전등에 전기장이 생겨도 전기장 차단부재가 전기장을 막아주어 방향지시 나침판을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태의 손전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하여 나침판이 구비된 손전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손전등의 재질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80)은 손으로 쥐는 손잡이 부(30)와 상기 손잡이 부(3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20)와, 상기 손잡이(30)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후부캡(40)과, 상기 후부캡(40) 내부에 수납되는 전기장 차단부재(50)와, 상기 전기장차단부재(50) 내에 수납되는 방향지시나침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취하며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손잡이(35)와, 상기 손잡이(35)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선단 측에 전구(27)를 지지하며 기둥형태로 돌출되는 소켓(26)이 일체로 구비된 스위치유닛(32)과, 상기 스위치유닛(32)에 접속되며 스위치유닛(32)를 통해 전구(27)에 전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배터리(39)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35)의 선단부 외주 면에는 수나사 부(31)가 마련되어 있고, 후단 부 내주 면에는 암 나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31)는 상기 헤드부(20)를 손잡이부(30)에 결합 시키며 암나사부(36)는 상기 후부 캡(40)을 손잡이 부(30)에 고정 시킨다.
미 설명부호 38은 고정나사이다. 상기 고정나사(38)는 손잡이(35)에 대해 스위치 유닛(32)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손잡이(35)와 스위치유닛(3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구 역할을 겸한다. 미 설명부호 10은 오링으로 각 부분의 방수를 위한 밀폐를 돕기 위해 장착된다. 미 설명부호 33은 스위치유닛(32)의 누름버튼이다. 미 설명부호 34는 외부로부터 물이나 다른 이물질이 침투 하는 것을 방지 하도록 누름버튼(33)을 덮는 통상적인 스위치 커버이다. 미 설명부호 37은 C형 탄성부재로 상기 스위치유닛(32)이 상기 손잡이(35) 선단 부 쪽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후부 캡(40)은 금속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암 나사 부(36)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선단부 내주에 지지되는 스프링(42)을 통해 상기 배터리(39)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후부 캡(40)의 내향 면에는 수납 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내(41)에 전기장차단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50)의 보호를 받는 방향지시나침판(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41) 내에는 예비전구(44)도 구비된다. 상기 예비전구(44)는 전구(27)가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43은 상기 예비전구(44)가 상기 수납 홈(41) 내에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스폰지로 된 완충재 이다. 미 설명 부호 51은 이어폰이다.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50)는 전기장을 차단 할 수 있는 재질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납 또는 구리로 된 재질이며,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60)이 수납되는 차단 캡(52)으로만 구비되거나, 차단 캡(52)과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판(54)으로 구비 된다. 상기 차단 캡(52)과 상기 차단 판(54)은 프라스틱으로 된 케이싱(51),(53)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52)과 차단판(54)은 금속재질의 손잡이(35)에 흐르는 배터리(39)의 전기장이 금속재질의 후부 캡(40)내에 구비되는 방향지시 나침판(60)의 자침의 방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방향지시나침판(60)은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60)은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50)로 보호되며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50) 내에서 꺼낼 수 있고 사용치 않을 경우 수납한 채로 보관 된다.
상기 헤드 부(20)는 손잡이(35) 선단의 수나사 부(31)에 결합하는 보디 부(21)와 상기 보디 부(21)와 결합하는 캡 부(22)와, 상기 보디 부(21)와 캡 부(22)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 창(23) 및 반사경(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경(25)은 그 중심으로 상기 소켓(26)에 장착되는 전구(27)를 통과 시켜 전구(27)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전방으로 조사 시킨다. 아울러 상기 보디 부(21)에 대해 캡 부(22)를 나사결합 시키기 위하여 보디 부(21)의 외주 면에 수나사 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 부(22)의 내 주면에는 상기 수나사 부(24)에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이다. 아울러 상기 후부 캡(40)은 금속과 같이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손전등 내부의 전기회로는, 배터리(39), 스위치유닛(32), 소켓(26), 전구(27) 및 고정나사(38), 손잡이(35), 후부 캡(40) 스프링(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빛을 내는 발광체로 상기 전구(27) 대신 전류의 소모가 작은 백색광을 내는 LED 또는 다른 광원이 대체 될 수 있고, 빛을 발 광하기위해 헤드부(20) 내부의 구조적인 변경도 가능하다.
도 2a, 2b 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후부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a를 참조 하면, 상기 후부캡(40)의 후단 중앙부에는 그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 나사부(40a)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 나사부(40a)에는 보조캡(45)이 결합 구성된다. 상기 보조캡(45)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내주에 수납홈(46)이 형성되고 그 안에 플라스틱 케이싱(51) 내에 구비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전기장 차단 캡(52)으로 된 전기장 차단부재(50)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50)내에 방향지시나침판(6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캡(45) 후단면에 관통공(45c)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방향지시나침판(60)의 자침을 확인 하게 된다.
미 설명 부호 47 은 C 형 탄성부재로 방향지시 나침판(60)을 상기 보조캡(45)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후부캡(40)의 후단 중앙부에는 그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 나사부(40a)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 나사부(40a)에는 보조캡(45)이 결합 구성된다. 상기 보조캡(45)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내주에 수납홈(46)이 형성되고 그 안에 플라스틱 케이싱(51) 내에 구비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전기장 차단 캡(52) 내에 방향지시나침판(60)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 캡(45)의 선단 부 내주에는 장착 나사부(45a)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나사 부(45a)에 결합되는 캡(53)이 마련된다. 상기 캡(53)에는 수납 홈(53a)이 형성되고 그 안에 납 도는 구리로 된 차단 판(54)이 수납 된 채 밀폐 캡(53b)으로 밀폐된다. 그르므로 전기장 차단부재(50)는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51) 내에 구비되는 납또는 구리로 된 전기장 차단 캡(52) 과 납 또는 구리로 된 판(54)이 수납 된 채 밀폐 캡(53b)로 구비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 47 은 C 형 탄성부재로 방향지시 나침판(60)을 상기 보조캡(45)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전등은 금속과 같이 전도성 재질로 된 손전등에 전기장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손전등에 생기는 전기장으로부터 방향지시 나침판을 보호 하게 되어 안전 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4)

  1.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방향지시 나침판이 구비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의 재질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은 전기장 차단부재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는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이 수납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차단부재는 상기 방향지시 나침판이 수납되는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 캡과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납 또는 구리로 된 차단캡과 상기 차단판은 플라스틱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KR2020070010704U 2007-06-27 2007-06-27 손전등 KR200437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04U KR200437159Y1 (ko) 2007-06-27 2007-06-27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04U KR200437159Y1 (ko) 2007-06-27 2007-06-27 손전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064A Division KR20060081636A (ko) 2005-01-10 2005-01-10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59Y1 true KR200437159Y1 (ko) 2007-11-06

Family

ID=4163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704U KR200437159Y1 (ko) 2007-06-27 2007-06-27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1058C (en) Hand-held lighting device with waterproof lock-out tail cap
HU214535B (hu) Zseblámpa
US6641279B1 (en) Dual-beam light assembly with adjustable posterior head
US6685335B1 (en) Structure of a camping lamp
US4890204A (en) Ball point pen with self-provided illuminator
US20160208991A9 (en) Rotary Head Flashlight Headlamp
US20080301845A1 (en) Helmet mount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37159Y1 (ko) 손전등
KR20060081636A (ko) 손전등
KR20080016384A (ko) 금속재질의 다용도 손전등
CN214700340U (zh) 一种防水口袋灯
US6568829B2 (en) Flashlight
KR20090000293U (ko) 손전등
CN215489181U (zh) 一种多功能手电筒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KR200275761Y1 (ko)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JP2003117854A (ja) 電動工具
CN215419707U (zh) 一种多功能户外应急电源
KR200225805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돋보기
KR20090000295U (ko) 손전등
KR200306928Y1 (ko) 발광 샤프 펜슬
KR101988499B1 (ko)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KR200278580Y1 (ko)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KR960001650Y1 (ko) 휴대용 필기구
KR19980057336U (ko) 소형 손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