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937Y1 - 휴대용 소형램프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형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937Y1
KR200185937Y1 KR2020000002160U KR20000002160U KR200185937Y1 KR 200185937 Y1 KR200185937 Y1 KR 200185937Y1 KR 2020000002160 U KR2020000002160 U KR 2020000002160U KR 20000002160 U KR20000002160 U KR 20000002160U KR 200185937 Y1 KR200185937 Y1 KR 200185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hole
lamp
cove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귀경
최재고
Original Assignee
오귀경
최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귀경, 최재고 filed Critical 오귀경
Priority to KR2020000002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2/00Systems of electric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건전지 및 발광다이오드 칩을 이용하여 램프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두운 곳을 조명하는 밝기를 증대하여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소형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결합공(30), 제 2결합공(32), 제 3결합공(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램프커버(36)와, 상기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에 삽입고정되고, 상단에 투명의 조사체(40)가 결합고정된 프레임몰딩(38)과, 상기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과 조사체(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램프커버(3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42)과, 일측이 상기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접점(46)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음극프레임(44)과, 상기 음극프레임(44)의 하단 부분에 일측이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된 양극프레임(48)과, 상기 음극프레임(44)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일측이 연결선(52)에 의하여 양극프레임(48)과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칩(50)과, 상기 음극프레임(44)과 양극프레임(48)의 사이에 개재된 음극절연체(54)와, 상기 프레임몰딩(38)과 양극프레임(48)의 타측에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개재된 양극절연체(56)와, 일측 내주면에 상기 램프커버(36)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공(60)이 형성된 셀커버(58)와, 일측에 상기 셀커버(58)의 삽입공(60)을 통하여 음극프레임(44)의 접점(46)에 접촉되는 음극봉(6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외주면에 +극 전원이 공급되는 건전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소형램프{A portable Lamp}
본 고안은 휴대용 소형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건전지 및 발광다이오드 칩을 이용하여 램프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두운 곳을 조명하는 밝기를 증대하여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소형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구에 불을 켤 수 있는 조명장치를 말하여, 램프에는 가정에서 비상시에 사용되는 비상용램프와, 낚시터에 사용되는 렌턴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램프 등으로 크게 구분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10)가 구비되어지고, 이 몸체(10)의 수용공간에는 복수개의 건전지(미도시)가 삽입되어진다. 나사결합에 의하여 몸체(10)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는 헤드커버(12)가 구비되어지고, 이 헤드커버(12)의 내측에는 전구(14)가 장착되어진다. 전구(14)의 전방부에 전구(14)를 보호하는 렌즈(16)가 결합고정되어지고, 이 전구(14)의 후방부에는 깔대기 형상을 갖는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되어진다. 몸체(10)의 외주면 일측에는 건전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구(14)로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20)가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램프를 이용하여 어둔운 곳을 조명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휴대용 램프는 전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구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음으로 사용자가 램프를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다. 즉, 전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가 복수개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를 형성하여야 함으로 일정 이상의 부피를 갖도록 제작됨과 동시에 내장된 건전지에 의하여 램프의 자중이 증가됨으로 사용자가 램프를 휴대하면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건전지 및 발광다이오드 칩을 이용하여 램프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두운 곳을 조명하는 밝기를 증대하여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소형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제 1결합공 32 : 제 2결합공
34 : 제 3결합공 36 : 램프커버
38 : 프레임몰딩 40 : 조사체
42 : 오링 44 : 음극프레임
46 : 접점 48 : 양극프레임
50 : 발광다이오드 칩 52 : 연결선
54 : 음극절연체 56 : 양극절연체
58 : 셀커버 60 : 삽입공
62 : 음극봉 64 : 건전지
70 : 휴대용 소형램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결합공, 제 2결합공, 제 3결합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램프커버와, 상기 램프커버의 제 1결합공에 삽입고정되고, 상단에 투명의 조사체가 결합고정된 프레임몰딩과, 상기 램프커버의 제 1결합공과 조사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램프커버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과, 일측이 상기 프레임몰딩을 통하여 조사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 및 제 3결합공을 통하여 램프커버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접점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음극프레임과, 상기 음극프레임의 하단 부분에 일측이 프레임몰딩을 통하여 조사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 및 제 3결합공을 통하여 램프커버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된 양극프레임과, 상기 음극프레임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일측이 연결선에 의하여 양극프레임과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칩과, 상기 음극프레임과 양극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된 음극절연체와, 상기 프레임몰딩과 양극프레임의 타측에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개재된 양극절연체와, 일측 내주면에 상기 램프커버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셀커버와, 일측에 상기 셀커버의 삽입공을 통하여 음극프레임의 접점에 접촉되는 음극봉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외주면에 +극 전원이 공급되는 건전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램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설명하면,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결합공(30), 제 2결합공(32), 제 3결합공(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램프커버(36)가 구비되고, 이 램프커버(36)의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2결합공(32)의 내경은 제 1결합공(30)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제 3결합공(34)의 내경은 제 2결합공(32)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에 삽입고정되는 프레임몰딩(38)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몰딩(38)의 상단에는 투명의 조사체(40)가 결합고정된다.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과 조사체(40)의 사이에는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램프커버(3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42)이 개재된다.
일측이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는 음극프레임(44)이 구비되고, 이 음극프레임(44)의 타측은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음극프레임(44)의 타측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접점(46)이 하부로 돌출구성된다. 음극프레임(44)의 하단 부분에 일측이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는 양극프레임(48)이 구비되고, 이 양극프레임(48)의 타측은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양극프레임(48)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다. 음극프레임(44)의 일측면에 발광다이오드 칩(50)이 구비되고, 이 발광다이오드 칩(50)은 연결선(52)에 의하여 양극프레임(48)과 연결된다. 음극프레임(44)과 양극프레임(48)의 사이에 음극절연체(54)가 구비되고, 이 음극프레임(44)의 일측에 구비된 음극절연체(54)는 음극프레임(44)의 타측에 하부로 돌출구성된 부분이 음극절연체(54)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몰딩(38)과 양극프레임(48)의 타측에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는 양극절연체(56)가 구비된다. 일측 내주면에 램프커버(36)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나사산을 갖는 셀커버(58)가 구비되고, 이 셀커버(58)의 타측에는 삽입공(60)이 형성된다. 일측이 셀커버(58)의 삽입공(60)을 통하여 음극프레임(44)의 접점(46)에 접촉되는 음극봉(6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건전지(64)가 구비되고, 이 음극봉(62)에는 -극 전원이 공급된다. 건전지(64)의 외주면에는 +극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소형램프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소형램프(70)를 사용할 경우에는 건전지(64)의 음극봉(62)을 셀커버(58)의 삽입공(6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건전지(64)의 음극봉(62)이 셀커버(58)의 삽입공(60)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음극봉(62)이 음극프레임(44)의 접점(46)에 접촉되도록 건전지(64)를 삽입공(60)으로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충격에 의하여 음극봉(62)의 일측이 음극프레임(44)의 접점(46)에 접촉됨과 동시에 건전지(64)의 외주면이 셀커버(58)의 삽입공(60)에 접촉되어 발광다이오드 칩(50)이 발광된 상태를 갖는다. 즉, 건전지(64)의 -극 전원이 음극프레임(44)을 통하여 발광다이오드 칩(50)에 전달됨과 동시에 건전지(64)의 +극 전원이 셀커버(58), 프레임몰딩(38), 양극프레임(48), 연결선(52)을 통하여 발광다이오드 칩(50)에 공급됨으로 건전지(64)가 셀커버(58)의 삽입공(60)으로 삽입되면, 발광다이오드 칩(50)이 발광되어 조명되는 것이다. 반대로, 건전지(64)를 셀커버(58)의 삽입공(60)에서 이탈하면, 발광다이오드 칩(50)으로 공급되는 건전지(64)의 전원이 차단됨으로 발광다이오드 칩(50)이 발광되지 않는 것이다.
소형건전지를 이용하여 어두운 곳을 조명할 수 있음으로 램프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광다이오드 칩(50)에 의하여 어두운 곳이 조명됨으로 어두운 곳을 조명하는 밝기가 증대됨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설명하면, 일측 내주면에 램프커버(36)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나사산을 갖는 커버(65)가 구비되고, 이 커버(65)의 내측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커버(65)의 타측에는 아이볼트형상을 갖는 연결링(66)이 결합고정된다. 커버(65)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건전지(67)가 구비되고, 이 건전지(67)와 커버(65)의 수용공간 사이에는 절연체(68)가 구비된다. 이 절연체(68)는 연결링(66)의 일측이 건전지(67)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커버(65)와 램프커버(36)가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 커버(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면, 건전지(67)의 전원이 선택적으로 발광다이오드 칩(50)으로 공급 및 차단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어두운 곳을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65)의 타측에 연결링(66)이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여러 곳 예를 들면 핸드폰, 열쇠고리, 가방이나 핸드백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램프는 소형건전지 및 발광다이오드 칩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을 조명할 수 있음으로 램프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두운 곳을 조명하는 밝기가 증대됨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결합공(30), 제 2결합공(32), 제 3결합공(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램프커버(36)와,
    상기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에 삽입고정되고, 상단에 투명의 조사체(40)가 결합고정된 프레임몰딩(38)과,
    상기 램프커버(36)의 제 1결합공(30)과 조사체(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램프커버(3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42)과,
    일측이 상기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접점(46)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음극프레임(44)과,
    상기 음극프레임(44)의 하단 부분에 일측이 프레임몰딩(38)을 통하여 조사체(4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 2결합공(32) 및 제 3결합공(34)을 통하여 램프커버(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타측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된 양극프레임(48)과,
    상기 음극프레임(44)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일측이 연결선(52)에 의하여 양극프레임(48)과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칩(50)과,
    상기 음극프레임(44)과 양극프레임(48)의 사이에 개재된 음극절연체(54)와,
    상기 프레임몰딩(38)과 양극프레임(48)의 타측에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개재된 양극절연체(56)와,
    일측 내주면에 상기 램프커버(36)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공(60)이 형성된 셀커버(58)와,
    일측에 상기 셀커버(58)의 삽입공(60)을 통하여 음극프레임(44)의 접점(46)에 접촉되는 음극봉(6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외주면에 +극 전원이 공급되는 건전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램프.
KR2020000002160U 2000-01-26 2000-01-26 휴대용 소형램프 KR200185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0U KR200185937Y1 (ko) 2000-01-26 2000-01-26 휴대용 소형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0U KR200185937Y1 (ko) 2000-01-26 2000-01-26 휴대용 소형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937Y1 true KR200185937Y1 (ko) 2000-06-15

Family

ID=1963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60U KR200185937Y1 (ko) 2000-01-26 2000-01-26 휴대용 소형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345B1 (ko) * 2000-12-28 2003-10-17 조성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초소형 플래시라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345B1 (ko) * 2000-12-28 2003-10-17 조성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초소형 플래시라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49928A1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multiple light sources
AR246108A1 (es) Linterna que permite ser accionada con una sola mano.
US7066621B2 (en) Dual-beam lantern-flashlight
US5006969A (en) Flashlight with end cap switch
GB2329705A (en) Flashlight shaped to enable it to be planted into a penetrable supporting surface
US20040105258A1 (en) Flashlight head with isolated lighting elements
US5117341A (en) Multi-function flashlight
US20050128740A1 (en) Multipurpose led flashlights and components thereof
KR200391613Y1 (ko) 휴대용 랜턴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US20020121295A1 (en) Umbrella structure with lighting device
KR20100011127U (ko) 줌 휴대용 손전등
US20080158867A1 (en) Structure of a flashlight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CN201487581U (zh) 一种调光电筒
CN210052881U (zh) 一种无光环境中开关按键可视的排插
KR200200191Y1 (ko)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CN218295388U (zh) 一种多功能户外照明装置
KR100624900B1 (ko) 조명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032428A (ja) 照明装置
KR20040105387A (ko) 손전등
KR102387066B1 (ko) 낚시용 집어등
KR200364445Y1 (ko) 소형 조명장치
JP3094430U (ja) 照明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