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1Y1 -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 Google Patents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1Y1
KR200200191Y1 KR2020000013328U KR20000013328U KR200200191Y1 KR 200200191 Y1 KR200200191 Y1 KR 200200191Y1 KR 2020000013328 U KR2020000013328 U KR 2020000013328U KR 20000013328 U KR20000013328 U KR 20000013328U KR 200200191 Y1 KR200200191 Y1 KR 200200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anding member
coupled
handle portion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2020000013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의 크기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연결된 헤드부(100) 및 손잡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결합되는 후부캡(300)과, 상기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의 내부영역에 수납되는 경광관(400)을 구비하여 된 다용도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경광관(400) 또는 손잡이부(200) 내에 복수개의 스탠딩부재(500)가 수납되고, 상기 헤드부(100), 손잡이부(200) 또는 후부캡(300)에 복수개의 결합홈(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B)에 스탠딩부재(500)를 결합함으로써 도로변에 세울 수 있는 경광기능 또는 방향지시 뿐만 아니라,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외형상의 크기가 커지지 않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Multipurpose lantern including standing members}
본 고안은 경광기능, 방향지시기능 및 조명기능 등의 다용도로 사용되며, 노면에 세울 수 있도록 내부에 스탠딩부재가 수납된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전등은 어둠 속에서 사물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기구이다.
이와 같은 손전등은 단지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식별하기 위한 조명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야간의 차량 주행시 차량의 고장으로 도로변에 정차하여 수리를 할 경우, 뒤에서 달려오는 다른 차량과의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세워두 는 경광등으로는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바 있는 '경광관이 수납되는 손전등'(출원번호: 제1998-4755호)에서와 같이, 다른 차량에 주의를 주기 위하여 경광관을 손전등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단지 손으로 잡고 손전등을 흔들어 경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이 몸체에 고정된 경광관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고, 몸체를 노면에 세울 수 있도록 다리부재가 몸체에 고정된 경광등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경광관이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방향지시기능 또는 조명기능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었으며, 다리부재가 몸체에 고정되어 분리해 낼 수 없었기 때문에 외형상의 크기기 커져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경광기능, 방향지시기능 및 조명기능 등의 다용도로서 사용되며, 노면에 세울 수 있도록 내부에 스탠딩부재가 수납된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을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수단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a 손잡이부에 제1보조손잡이부가 결합되고 제1손잡이부에 후부캡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손잡이부에 제2보조손잡이부가 결합되고 제1손잡이부에 후부캡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후부캡에 형성되는 결합홈들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부캡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손잡이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6은 헤드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소켓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e는 도 8의 소켓몸체가 손잡이부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다른 스탠딩부재의 형상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11a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소켓부에 램프가 더 채용되어 램프와 점멸구가 모두 구비된 것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13은 도 2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4는 도 2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부 110... 보디부
120... 캡부 200... 손잡이부
210... 스위치수단 211... 스위치
220... 소켓부 223... 램프
223a... 점멸구 225... 소켓몸체
227... 전도체
230... 보조케이스
240... 배터리 260... 결합유니트
261... 절연케이스 263... 볼
265... 판스프링 267... 도전편
269... 탄성스프링 280,315... 보조부재
290... 보조손잡이부 300... 후부캡
311... 제1블록 313... 제2블록
317... 커터 319... 망치
4000... 경광관 500... 스탠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의 크기 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연결된 헤드부 및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결합되는 후부캡과,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내부영역에 수납되는 경광관을 구비하여 된 다용도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경광관 또는 손잡이부 내에 복수개의 스탠딩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헤드부, 손잡이부 또는 후부캡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스탠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빛을 발하는 발광램프 또는 점멸전구가 고정되며, 상기 헤드부를 돌리거나 통상적인 스위치수단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 내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헤드부와 전기적으로 도전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에 가압지지되는 소켓부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후부캡은 손잡이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후부캡에 형성된 결합홈은 후부캡이 손잡이부로부터 나사 전후진될 때 출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홈은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내장된 보조부재와 연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탠딩부재는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접이식 또는 암수나사 결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중공의 제1보조손잡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보조손잡이부의 후부에 상기 후부캡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대략 원기둥형상의 제2보조손잡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보조손잡이부의 후부에 상기 후부캡이 결합되되, 상기 제2보조손잡이부의 외주에 결합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후부캡은 양분되는 제1 및 제2블록이 상기 손잡이부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블록에 카터와 망치가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블록 내부에 보조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스탠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기 제1 및 제2블록과 보조부재에 연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는 상기 램프 및 점멸구가 고정되는 소켓몸체에 누름버튼식으로 착탈되는 결합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유니트는 상기 소켓몸체에 소정길이 삽입되는 절연케이스와, 상기 절연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케이스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이 구비된 환형의 판스프링과, 상기 절연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램프 또는 점멸구와 배터리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편과, 상기 절연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도전편들을 양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언제라도 스탠딩부재를 결합하여 도로변에 세울 수 있는 경광기능 또는 방향지시 뿐만 아니라,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외형상의 크기가 커지지 않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상호 연결된 헤드부(100) 및 손잡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부캡(300)과, 상기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의 내부영역에 수납되는 경광관(400)을 구비하며, 상기 경광관(400) 또는 손잡이부(200) 내에 복수개의 스탠딩부재(500)가 수납되고, 상기 헤드부(100), 손잡이부(200) 또는 후부캡(300)에 복수개의 결합홈(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B)에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200)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진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선단부의 외주에는 후술되는 헤드부(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경광관(400)이 수납되며, 스위치(211)가 외부로 돌출되어 스위치(211)의 누름동작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는 통상의 스위치수단(21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C는 외부로부터 물이나 다른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위치(211)를 덮는 통상적인 스위치커버이다.
상기 경광관(400)은 손잡이부(200)의 내부영역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빛을 발할 수 있는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그 선단부는 후술되는 헤드부(100)의 내부영역에 위치되고, 선단부의 외주에는 헤드부(100)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광관(400)의 후단면에는 구멍(401)이 뚫려 있으며, 경광관(400) 내부에는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40)가 수납되어 있다. 부연설명하면, 상 기 배터리(240)는 경광관(400)의 내부 즉, 후술되는 보조케이스(230)의 후방쪽에 수납되어 스위치수단(210) 및 후술되는 전도체(2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240)는 후술되는 보조케이스(230)의 구멍(231)을 통해 스위치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상기 헤드부(100)는 손잡이부(20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며, 손잡이부(200)의 재질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헤드부(100)는 손잡이부(200)의 선단부와 상호 나사결합되는 보디부(110)와, 상기 보디부(110)와 나사결합되는 캡부(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디부(110)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손잡이부(20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120)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경광관(400)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00)의 내부영역에는 소켓부(220)가 설치된다. 상기 소켓부(220)는 깔때기 형상을 가진 반사경(221)과 전원에 의해 빛을 발하는 램프(223)가 지지되어 있는 소켓몸체(225)를 가지며, 상기 소켓몸체(225)는 캡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220)는, 경광관(400)의 내부영역에 위치되며, 소켓몸체(225)에 결합되고, 배터리(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227)와 다수개의 스탠딩부재(500)가 수용되는, 보조케이스(2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조케이스(230)의 후단부에는 배터리(240)의 전극이 전도체(227)와 접촉되도록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탠딩부재(500)는 후술되는 결합홈(B)에 나사결합되도록 일단부에 나사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부캡(300)은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암수로서 나사결합되며, 그 외주에는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B)이 경사지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후부캡(300)은 손잡이부(200)의 후부에서 나사 전후진되고, 상기 결합홈(B)은 후부캡(300)이 나사 전후진됨에 따라 출몰된다. 또한, 상기 후부캡(300)의 몸체에는 보조램프(223)가 더 수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B)은 소정깊이로 파여지며 내주면 전체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분만 나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여기서, 참조부호 222는 캡부(120)에 지지되어 램프(223)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발산하는 투명창이고, 참조부호 R은 상기 헤드부(100), 손잡이부(200) 및 후부캡(300)의 결합부위에 각각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수단(210)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스위치(211)가 손잡이부(200)의 외주로 돌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수단(210)이 스크류로서 후부캡(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스위치(211)가 후부캡(3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참조부호 C는 스위치(211)를 덮는 스위치커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부캡(300)은 외주에 결합홈(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의 하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00)의 후부에는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제1보조손잡이부(290)가 마련된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후부캡(300)은 제1보조손잡이부(290)의 후부에 나사결합되 어 나사전후진됨에 따라 결합홈(B)이 선택적으로 출몰되고, 상기 제1보조손잡이부(290)는 손잡이부(200)의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내부에 수납공간부(29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공간부(292)에는 여분의 배터리 또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R은 후부캡(300)과, 제1보조손잡이부(290)와, 손잡이부(200)의 결합부위에 설치되는 오링이이며, 참조부호 291은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삽입구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부캡(300)은 제2보조손잡이부(290a)에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제2보조손잡이부(290a)는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스크류로서 결합되고, 외주에 결합홈(B)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도 참조부호 R은 손잡이부(200)와 제2보조손잡이부(290a)의 결합부위에 설치되는 오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부캡(300)은 양분된 제1 및 제2블록(311,313)이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블록(311,313)은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크류로서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블록(311,313) 내에는 보조부재(315)가 내장되고, 커터(317)와 망치(319)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블록(311,313)의 외주에는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B)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B)은 제1 및 제2블록(311,313)을 관통하여 보조부재(315)에 형성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R은 제1 및 제2블록(311,313)과 보조부재(315)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B)은 후부캡(300)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부캡(300)이 결합된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형성되되,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보조부재(280)가 내장됨에 따라 손잡이부(200)의 외주를 관통하여 보조부재(28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280)는 스크류에 의해 손잡이부(200)에 고정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0)의 보디부(110)는 그 외주에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B)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스탠딩부재(500)는 상기 결합홈(B)에 결합되어 손전등을 소정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방향지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20)는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램프(223)가 고정되는 소켓몸체(225)에 누름버튼식으로 착탈되는 결합유니트(2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유니트(260)는 상기 소켓몸체(225)에 소정길이 삽입되고 후단부에 구멍이 뚫린 관형상의 절연케이스(261)와,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설치되며 절연케이스(261)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절연케이스(26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263)이 구비된 환형의 판스프링(265)과,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마련되어 상기 램프(223)와 배터리(도 2의 220)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편(267)과,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마련되어 상기 도전편(267)들을 양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69)을 구비한다. 즉, 볼(263)을 눌러 소켓몸체(225)와 절연케이스(261)를 분리시킴으로써 스탠딩부재(50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전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수단(미도시)의 누름동작에 의해 램프(223)에 전원을 인가할 있는 것과 달리, 헤드부(100)를 좌우로 돌려 전도체(227)를 배터리(2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시킴으로써 램프(223)에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240)는 경광관(400)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240)의 음극은 손잡이부(200)와 일체로 된 연결부(229)를 통해 손잡이부(200)를 따라 소켓몸체(225)를 경유하여 램프(223)에 전달되고, 배터리(240)의 양극은 전도체(227)를 따라 경유하여 램프(223)에 전달됨으로써 폐회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스탠딩부재(500)는 손잡이부(200)의 내부 즉, 보조케이스(230)의 후방에 수납되거나, 경광관(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B)은 후부캡(3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20)의 소켓몸체(225)는 캡부(120)의 후단부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지 않고 직접 손잡이부(200)에 접촉 가압되어 손잡이부(200)로부터 흘러들어온 전기를 용이하게 통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소켓몸체(225)와 손잡이부(200)가 나사결합되면 마모 등이 발생하여 손잡이부(200)를 통해 소켓몸체(225)로 흘러들어오는 전기가 단락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9c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와 캡부(120) 사이에 금속성 스프링(228)을 개재하여 소켓몸체(225)가 손잡이부(200)에 완전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200)로부터 흘러들어 오는 전기가 스프링(228)을 타고 소켓몸 체(225)에 잘 흘러들게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개시된 상기 스탠딩부재(5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탠딩부재(500)를 암수로서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220)는 램프가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회로구성에 의해 점멸되는 점멸구(223a) 예컨대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불빛이 점멸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00)에 램프(223)와 점멸구(223a)를 모두 구비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램프와 점멸구를 선택적으로 발광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부(100)를 돌려 손잡이부(200)로부터 이탈시키고, 소켓부(220)와 배터리(240)를 외부로 빼낸 다음, 손잡이부(200)로부터 경광관(400)을 꺼내고, 보조케이스(230)로부터 스탠딩부재(500)를 꺼낸다. 이 후, 다시 헤드부(100)를 손잡이부(200)에 결합한 다음 경광관(400)을 캡부(120)에 결합하고, 스탠딩부재(500)를 후부캡(300)의 결합홈(B)에 결합한다. 이 때, 사용자는 결합홈(B)이 나타나도록 후부캡(300)을 돌려 나사 후진시킨다. 스탠딩부재(5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스위치(211)를 눌러 램프(223)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노면에 직립적으로 세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전등을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탠딩부재(500)를 헤드부(100)의 결합홈(도 6의 B)에 결합하여 노면에 세운다. 그러면, 손전등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방향지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딩부재(500)를 헤드부(100)의 결합홈(도 6의 B)에 결합하여 어두운 곳을 비추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은 노면에 세워 경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탠딩부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언제라도 스탠딩부재를 결합하여 경광기능 뿐만 아니라, 방향지시 및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외형상의 크기가 커지지 않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의 크기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연결된 헤드부(100) 및 손잡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결합되는 후부캡(300)과, 상기 헤드부(100)와 손잡이부(200)의 내부영역에 수납되는 경광관(400)을 구비하여 된 다용도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경광관(400) 또는 손잡이부(200) 내에 복수개의 스탠딩부재(500)가 수납되고, 상기 헤드부(100), 손잡이부(200) 또는 후부캡(300)에 복수개의 결합홈(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B)에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빛을 발하는 발광램프(223) 또는 점멸구(223a)가 고정되며, 상기 헤드부(100)를 돌리거나 통상적인 스위치수단(21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200) 내에 설치된 배터리(240)의 전원이 상기 헤드부(100)와 전기적으로 도전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100)에 가압지지되는 소켓부(22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캡(300)은 손잡이부(200)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후부캡(300)에 형성된 결합홈(B)은 후부캡(300)이 손잡이부(200)로부터 나사 전후진될 때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B)은,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내장 된 보조부재(280)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부재(500)는,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접이식 또는 암수나사 결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중공의 제1보조손잡이부(290)가 결합되고, 상기 제1보조손잡이부(290)의 후부에 상기 후부캡(3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대략 원기둥형상의 제2보조손잡이부(290a)가 결합되고, 상기 제2보조손잡이부(290a)의 후부에 상기 후부캡(300)이 결합되되, 상기 제2보조손잡이부(290a)의 외주에 결합홈(B)이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캡(300)은,
    양분되는 제1 및 제2블록(311,313)이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블록(311,313)에 카터(317)와 망치(319)가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블록(311,313) 내부에 보조부재(315)가 내장되어 상기 스탠딩부재(500)가 결합되는 결합홈(B)이 상기 제1 및 제2블록(311,313)과 보조부재(315)에 연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20)는,
    상기 램프(223) 및 점멸구(223a)가 고정되는 소켓몸체(225)에 누름버튼식으로 착탈되는 결합유니트(2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니트(260)는,
    상기 소켓몸체(225)에 소정길이 삽입되는 절연케이스(261)와,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6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263)이 구비된 환형의 판스프링(265)과,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마련되어 상기 램프(223) 또는 점멸구(223a)와 배터리(240)에 각각 접촉되는 도전편(267)과, 상기 절연케이스(261) 내에 마련되어 상기 도전편(267)들을 양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269) 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KR2020000013328U 2000-05-10 2000-05-10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KR200200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28U KR200200191Y1 (ko) 2000-05-10 2000-05-10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28U KR200200191Y1 (ko) 2000-05-10 2000-05-10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Y1 true KR200200191Y1 (ko) 2000-10-16

Family

ID=1965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28U KR200200191Y1 (ko) 2000-05-10 2000-05-10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431B1 (en) Flashlight with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7377673B1 (en) Safety light
US7481551B2 (en) Flashlight having back light elements
US6022120A (en) Lighting device for a stun gun
US6394116B1 (en) Illuminate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US20070258236A1 (en) Hand-held lighting device with waterproof lock-out tail cap
US7264515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electrically operated devices to a display panel
US20040184267A1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US6802622B2 (en) Flashlight with convex lens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ocuses
US201802240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ulti-functional folding straight light
US5117341A (en) Multi-function flashlight
US6840653B2 (en) Flashlight head with isolated lighting elements
US20050024873A1 (en) Vehicle charger/flashlight
US7429121B1 (en) Automobile multifunction auxiliary lamp
KR200200191Y1 (ko) 스탠딩부재가 수납되는 다용도 손전등
US20040141317A1 (en) Flashlight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US6299324B1 (en) Multi-function lantern including flashing lantern cap
WO2001061238A1 (en) Bi-directional flashlight
US20040095755A1 (en) Flashlight having two sets of bulbs
KR20090000293U (ko) 손전등
SU1756734A1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фонарь
KR200275761Y1 (ko) 경광관이수납되는손전등
US20130121003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Providing Synchronous Forward and Backward Lighting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