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99B1 -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 Google Patents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99B1
KR101988499B1 KR1020170114283A KR20170114283A KR101988499B1 KR 101988499 B1 KR101988499 B1 KR 101988499B1 KR 1020170114283 A KR1020170114283 A KR 1020170114283A KR 20170114283 A KR20170114283 A KR 20170114283A KR 101988499 B1 KR101988499 B1 KR 101988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attery
charging
connection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467A (ko
Inventor
최한영
Original Assignee
최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영 filed Critical 최한영
Priority to KR102017011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4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휴대용 랜턴으로서,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내장 배터리가 방전되면 내장 배터리의 교체 없이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으로서, 배터리(10)가 내장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데 내부에 마련된 접속부(230)를 통해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접속부(230)를 이용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이용해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220)가 전면 내측에 마련된 헤드(200)와; 상기 헤드(200)의 일측면에 충전케이블(350)의 접속을 위한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30)에 연결포트(3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포트(310)에 충전케이블(350)이 접속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접속부(230)를 통해 배터리(10)를 충전되게 하는 충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portable lantern with charging function }
본 발명은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휴대용 랜턴으로서,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내장 배터리가 방전되면 내장 배터리의 교체 없이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랜턴은 휴대 중에 어두운 장소를 밝혀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며,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가정용 랜턴, 공장이나 기업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랜턴, 해저 잠수에서 사용하는 수중랜턴 등의 종류가 있으며, 캠핑, 군작전, 소방화재진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랜턴의 기본적인 형태는 내장배터리가 마련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의 내장배터리와 연결됨에 의한 전원공급으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이 되는 조명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42042호를 살펴보면, 후방 내측에 배터리 모듈이 장착되고,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탑조등 본체; 케이스 부재의 후단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탑조등 본체의 암나사부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의 선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돌턱이 돌출되며, 이 돌턱에 다수의 볼트 결합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안정기 하우징; 상기 케이스 부재의 외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램프를 ON/OFF 시키는 스위치가 장착된 손잡이; 전면 중앙에 램프 베이스가 구비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 베이스와 일정한 간격을 둔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후면에는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돌턱과 밀착되는 돌출편이 구비되고, 이 돌출편에 볼트가 끼워지는 다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밀착 조립되는 램프 고정부; 원통형 관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의 표면에 전방측 나사부와 후방측 나사부가 형성되고, 후방 측 나사부는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나사 결합부에 결합되며, 원통형 관체의 중앙에 상기 램프 고정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공간이 마련된 소켓;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사 부재의 후방측에 연결관이 구비되고, 이 연결관의 단부에 돌출된 나사관이 상기 램프 고정부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의 중앙에는 램프가 끼워지는 램프 삽입공이 형성된 반사경; 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소켓의 전방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전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휴대용 랜턴은 몸체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통해 빛을 조사하는데, 기존의 휴대용 랜턴은 배터리가 방전되면 새것의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또는 방전된 배터리를 분리 후 별도 충전기를 이용해 충전하여 다시 휴대용 랜턴에 내장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분해조립 작업을 필수로 수행함에 따라 경찰, 국방, 소방화재진압 등과 같은 긴급한 특수활동 상황에서 배터리 분해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특수활동 상황의 처리가 지연되거나 특수활동을 방해하는 등 특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고, 방전된 배터리를 매번 교체할 때마다 휴대용 랜턴을 분해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의 사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휴대용 랜턴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휴대용 랜턴 자체에 내장 배터리를 곧바로 충전가능하게 하는 충전포트를 마련하면 충전포트가 외부에 개방형으로 노출되어 전자제품에 취약한 수분이 충전포트를 통해 휴대용 랜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전포트를 휴대용 랜턴에 적용할 수 없었으며, 충전포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방수기능의 보완이 절실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42042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랜턴에서 내장 배터리가 방전되면, 그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분해조립 작업 없이 휴대용 랜턴에 배터리가 내장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에서 내장 배터리를 현장에서 곧바로 충전 가능하게 하는 충전포트를 마련하는 동시에 충전포트는 평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충전 상황에서만 외부로 노출되는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으로서,
배터리가 내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데 내부에 마련된 접속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접속부를 이용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가 전면 내측에 마련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충전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연결포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연결포트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포트에 충전케이블이 접속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접속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되게 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랜턴에서 내장 배터리의 자체 충전이 가능한 충전포트를 마련하는 동시에, 충전포트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을 차량의 시거잭 및 노트북, 컴퓨터 등에 연결가능한 USB 포트로 구성하고, 충전포트 역시 보조배터리와 연결가능한 마이크로 5핀으로 구성함에 따라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분해조립 작업이 필요 없어 휴대용 랜턴을 사용하는 긴급한 특수활동 상황에서 배터리 분해조립에 시간이 소요되지 않게 함으로 특수활동 목적에 적합하고, 휴대용 랜턴의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용 랜턴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랜턴의 충전포트에 슬라이드 개폐방식으로 평상시 충전포트를 닫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충전 상황에서 충전포트를 개방시켜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폐부재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개폐부재와 충전포트 사이로 방수기능의 패킹을 부가함에 따라 휴대용 랜턴에 충전포트를 적용가능하고, 방수기능에 의해 충전포트가 적용된 상태에서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휴대용 랜턴(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배터리(10)가 내장되는 몸체(100);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220)가 마련된 헤드(200); 배터리(10)를 충전되게 하는 충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구성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용 랜턴의 사시도(a;스위치 측, b;충전부 측), 도 2는 휴대용 랜턴의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배터리(10)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며, 헤드(200)와 결합되면 사용자가 휴대용 랜턴(1)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몸체(100)는; 통체(110), 마감캡(120), 제1클립(130)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100)는; 내측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배터리(10)가 삽입되어 내장되게 하는 통체(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체(110)는, 중공의 관체로 내부에 배터리(10)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제작되면, 통체(110)의 외주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널링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체(110)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헤드(200) 및 마감캡(120)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통체(110)의 나사산은 헤드(200) 및 마감캡(120)에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통체(110)의 후단에 나선결합되되, 상기 통체(110)에 내장된 배터리(10)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됨으로 (-)전극을 형성하게 하는 마감캡(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120)은, 통체(110)의 직격에 대응하여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배터리(10)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됨으로 상기 마감캡(120), 통체(110), 헤드(200)를 통해 상기 헤드(200)의 발광부(220)에 (-)전극으로 접속되게 한다.
이때, 상기 마감캡(120)의 개방 측은 상기 통체(110)의 후단에 나선결합되기 위해 암나사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통체(110)의 외측면에 임의 간격으로 안쪽에 공간을 갖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상기 통체(110)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휘어서 형성되는 탄지부(132)를 이용해 휴대용 랜턴(1)의 임의 개소에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제1클립(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클립(130)은, 상기 통체(110)의 외측면에 임의 간격으로 안쪽에 공간을 갖도록 몸체(100)의 외주에 한쪽 부분이 감겨 결합되는 측판(131) 및, 상기 측판(131)의 결합부분 타측이 몸체(100) 외측면에 접촉되게 휘어서 지지됨으로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탄지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지부(132)는 측판(131)에서 일체로 연장되면서 휘어진 부분으로 휘어진 구조 특성에 의해 자체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측판(131)의 결합 부분을 지점으로 벌어지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는 지지력이 발휘됨에 따라 상기 탄지부(132)를 출입구로 하여 가방, 벨트 또는 기타 임의 개소 부분이 측판(131) 안쪽 공간으로 끼워넣어 걸어서 보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데, 내부에 마련된 접속부(230)를 통해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되고, 상기 접속부(230)를 이용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이용해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220)가 전면 내측에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200)는; 헤드하우징(210), 발광부(220), 접속부(2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200)는; 몸체(100)의 통체(110) 선단에 나선결합되되, 후방 내측에는 접속부(230)가 구비되면서 전방 내측에 발광부(220)가 구비되게 하는 공간을 갖는 헤드하우징(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헤드하우징(210)은, 중공의 관체로 내부에 접속부(230), 발광부(220)가 각각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제작되며, 상기 헤드하우징(210) 전방에는 발광부(220)를 지지하면서 발광부(220)의 빛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를 갖는 하우징캡(211)이 나선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하우징(210)의 후방 내측에는 몸체(100)의 통체(110)에 나선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전방 외측에는 상기 하우징캡(211)이 나선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하우징(210)의 외부 일측에는 접속부(230)와 연계된 스위치(231)가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231)는 접속부(230)에 전기접속되어 발광부(220)의 ON/OFF 기능을 수행하여 빛을 선택적 조사하게 한다.
또한, 상기 헤드(200)는; 헤드하우징(210)의 전방 내측에 삽입되면 상태에서 하우징캡(211)에 의해 고정되고, 접속부(230)를 통한 배터리(10)의 전원공급을 통해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220)는, 일종의 전구로서 LED, 할로겐 등의 발광체를 이용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LED를 이용하고, 상기 발광부(220)의 후측단은 접속부(230)에 (+)전극으로 접속되고 발광부(220)의 외측면은 헤드하우징(210), 하우징캡(211)에 의해 (-)전극으로 접속되어 배터리(10)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200)는; 헤드하우징(210)의 후방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배터리(10)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됨으로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231)에 연계되어 배터리(10)의 전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에 의해 상기 발광부(220)에 전원을 선택적 공급하게 하는 접속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230)는, 배터리(10)와 발광부(220) 사이에 단자로 연결되는데, 인쇄회로, 콘덴서, 저항기 및 집적회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되는 전극이 마련된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하우징(210)의 후방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230)는 헤드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231)과 접속됨으로, 상기 스위치(231) 조작에 따라 접속부(2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230)는 집적회로 및 메모리를 이용해 발광부(220)가 빛을 조사하는 패턴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발광부(220)의 빛이 점멸되거나,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점멸되거나, 또는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색의 LED의 빛을 변경하여 사용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300)는;
상기 헤드(200)의 일측면에 충전케이블(350)의 접속을 위한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30)에 연결포트(3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포트(310)에 충전케이블(350)이 접속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접속부(230)를 통해 배터리(10)를 충전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 개폐홈(320), 개폐부재, 패킹(340), 충전케이블(35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충전부(300)는; 헤드하우징(210)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30)에 연결되며, 충전케이블(350)의 제1커넥터(351)가 접속되는 연결포트(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포트(310)는, 충전케이블(350)의 제1커넥터(351)의 형태에 대응하여 전기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단자가 마련된 포트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헤드하우징(210)의 내부 접속부(230)에 연결됨으로 충전케이블(350)의 연결을 통한 전원을 접속부(230)를 통해 배터리(10) 측으로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310)는 제1커넥터(351)에 대응함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5핀 포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의 개폐를 위한 개폐부재(330)가 연결포트(310) 측으로 결합되도록 연결포트(310) 측에 홈으로 형성되는 개폐홈(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홈(320)은,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헤드하우징(210)의 일측면에 연결포트(310)의 개방된 측과 동일 평면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홈(320)의 측부 둘레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330)의 안내돌부(332)와 결합되기 위한 안내홈(3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헤드(200)의 일측면에 상기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과 동일 평면의 홈으로 마련된 개폐홈(320)에 슬라이드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연결포트(310)에 대응한 포트홀(331)이 관통형성된 개폐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330)는, 개폐홈(320)의 깊이 및 형상에 대응한 판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홈(320)에 결합됨으로 개폐홈(320) 내에서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연결포트(310)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개폐부재(33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포트(310)의 위치에 대응한 관통구멍이 포트홀(331)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330)가 열림 동작에서 상기 포트홀(331)과 연결포트(310)가 일치되게 함으로 개폐부재(330)가 연결포트(310)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330)의 측면에 안내홈(321)에 대응하여 안내돌부(332)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충전부(300)는, 헤드(200)의 일측면에 마련된 개폐홈(320)의 측부에 안내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21)에 결합되는 개폐부재(330)의 측면에 상기 안내홈(321)에 대응한 안내돌부(332)가 돌출형성됨으로, 상기 안내홈(321)과 안내돌부(332)의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개폐부재(330)가 안내홈(321)에서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충전부(300)는; 개폐부재(330)가 개폐홈(320)에 결합되면, 상기 개폐부재(330)에 관통형성된 제2고정홀(33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개폐홈(320)에 개폐부재(3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선 홈으로 마련된 제1고정홀(322)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로 상기 개폐부재(330)의 슬라이드 작동 중 상기 개폐부재(330)가 개폐홈(32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360)는, 원기둥 형태의 핀으로 제작되며, 상기 개폐부재(330)의 내측에 고정부재(36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관통되는 제2고정홀(333)의 크기 및 상기 개폐홈(320)에 마련된 제1고정홀(322)에 깊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330)가 개폐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60)가 제2고정홀(333)에 억지끼워지면서 상기 제1고정홀(322)에 삽입되어 걸리는 작용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330)가 개폐홈(3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홀(322)은 상기 개폐부재(360)의 포트홀(331)과 개폐홈(320)의 연결포트(310)가 상호 일치하여 연결되는 측에 대응하는 길이로 개폐부재(36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부재(330)의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충전상황에서는 열림 동작으로 상기 포트홀(331)이 연결포트(310) 측으로 이동하여 연결되면서 개방기능을 하고, 평상시에는 닫힘 동작으로 상기 개폐부재(330)가 연결포트(310)를 막도록 이동하여 차폐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330)는 안내홈(321) 및 안내돌부(332)의 결합구조에 의해 개폐홈(320)에서 슬라이드 작동이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60)에 연결된 개폐부재(330)가 열림 동작에서 개폐홈(320)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360)가 제1고정홀(322)에 걸리면서 상기 개폐부재(330)가 개폐홈(32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1)에서 충전을 위해 마련된 연결포트(310)를 필요에 따라 개폐부재(330)가 개폐함에 따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포트(310)에 유입되어 전기접속 불량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홈(320)은,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 둘레에 밀폐홈(323)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홈(323)에 끼움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3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작용으로 상기 개폐부재(33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3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패킹(340)은, 고무, 우레탄 등의 자체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 둘레에 패킹(340) 삽입을 위한 밀폐홈(323)을 형성하면, 상기 패킹(340)은 상기 밀폐홈(323)에 삽입되면서 개폐부재(330)에 용이하게 밀폐되는 두께 및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개폐부재(330)의 안쪽면에 패킹(340)이 자체 탄력으로 밀착됨으로 패킹(340) 안쪽의 연결포트(310) 개방 측이 완벽히 밀폐되어 외부에서 수분과 같은 유체가 연결포트(310)에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폐부재(330)와 연결포트(310) 사이로 방수기능의 패킹(340)이 부가됨에 따라 휴대용 랜턴(1)에 방수기능에 의해 연결포트(310)가 적용된 상태에서 수분이 유입되지 않아 우천, 수중에서 특수활동 중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데, 상기 연결포트(310)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351)는 마이크로 5핀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는 제2커넥터(352)는 USB 단자로 이루어진 충전케이블(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케이블(350)은, 제1커넥터(351)를 연결포트(310)에 접속시키고, 제2커넥터(352)의 외부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2커넥터(352)가 연결되는 외부 전원 공급원은 자동차, 컴퓨터에 마련된 USB 포트에 의한 전원공급이거나, 시중에 판매중인 보조배터리의 USB 포트에 의한 전원공급이거나, 휴대폰 충전기의 플러그 측에 마련된 USB 포트일 수 있고, USB 포트가 마련된 기기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케이블(350)을 이용해 외주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연결포트(310)를 를 통해 몸체(100)의 내장 배터리(10)에 전원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10)가 충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랜턴에 대한 각부 구성으로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휴대용 랜턴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랜턴(1) 중 상기 제1클립(130)은; 측판(131)의 외부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결합된 안쪽으로 휘어지는 걸고리(151)에 의해 제1클립(130)과 몸체(100) 사이로 수용공간을 갖도록 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이용해 제1클립(130) 둘레에 충전케이블(350)을 감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제2클립(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클립(150)은, 측판(131)의 외부 양측부에 결합가능한 판재로 제작되는데, 그 제2클립(150)의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측은 외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휘어지면서 제1클립(130)과 몸체(100) 사이로 수용공간을 갖도록 하는 걸고리(151) 부분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클립(150)의 걸고리(151)는 수용공간을 이용해 제1클립(130) 둘레에 감기는 충전케이블(35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케이블(350)에 대한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2클립(150)을 이용해 충전케이블(350)을 휴대용 랜턴(1)에 감아 보관하면서 동시에 휴대가 가능함에 따라 충전케이블(350)을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긴급한 상황에서 보조배터리, 기타 기기의 USB 포트에 연결하는데 필수인 충전케이블(350)을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충전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60)는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폐부재(33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고정부재(360)를 자성을 이용해 당기는 작용으로 개폐부재(330)가 반자동 방식으로 닫히게 하는 자석(36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석(361)은, 원통 자석으로 상기 고정부재(360)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데, 예컨대 고정부재(360)를 자성을 이용해 당겨 개폐부재(330) 전체가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자성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석(361)은 개폐부재(33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360)가 위치한 측의 제1고정홀(322) 내측에 마련된 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이탈되지 않게 삽입된다.
즉, 상기 자석(361)을 더 부가함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재(330)를 사용자가 살짝 밀어 닫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의 고정부재(360)가 자석(361)의 자성에 의해 반응하면서 당겨져 개폐부재(330) 전체가 자석(361)이 위치한 측으로 반자동 방식으로 닫혀 개폐부재(330)의 개폐동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 외부 흔들림에 의해 개폐부재(330)가 쉽게 열리지 않게 하고, 부주의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재(330)가 외부의 작은 힘에도 반자동 방식으로 쉽게 닫혀 평상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휴대용 랜턴 100; 몸체
110; 통체 120; 마감캡
200; 헤드 210; 헤드하우징
230; 접속부 300; 충전부
310; 연결포트 320; 안착홈
330; 개폐부재 340; 패킹
350; 케이블

Claims (5)

  1. 휴대용 랜턴으로서,
    배터리(10)가 내장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데 내부에 마련된 접속부(230)를 통해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접속부(230)를 이용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이용해 빛을 선택적 조사하는 발광부(220)가 전면 내측에 마련된 헤드(200)와;
    상기 헤드(200)의 일측면에 충전케이블(350)의 접속을 위한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30)에 연결포트(3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포트(310)에 충전케이블(350)이 접속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접속부(230)를 통해 배터리(10)를 충전되게 하는 충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가 결합된 헤드(200)의 일측면에 상기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과 동일 평면의 홈으로 마련된 개폐홈(320)에 슬라이드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연결포트(310)에 대응한 포트홀(331)이 관통형성된 개폐부재(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330)의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충전상황에서는 열림 동작으로 상기 포트홀(331)이 연결포트(310) 측으로 이동하여 연결되면서 개방기능을 하고, 평상시에는 닫힘 동작으로 상기 개폐부재(330)가 연결포트(310)를 막도록 이동하여 차폐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홈(320)은,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 둘레에 밀폐홈(323)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홈(323)에 끼움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3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작용으로 상기 개폐부재(330)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연결포트(310)의 개방 측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340)을 더 포함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300)는, 헤드(200)의 일측면에 마련된 개폐홈(320)의 측부에 안내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홈(320)에 결합되는 개폐부재(330)의 측면에 상기 안내홈(321)에 대응한 안내돌부(3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안내홈(321)과 안내돌부(332)의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개폐부재(330)가 안내홈(321)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을 더 포함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300)는, 연결포트(310)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데, 상기 연결포트(310)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351)는 마이크로 5핀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는 제2커넥터(352)는 USB 단자로 이루어진 충전케이블(350)을 더 포함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KR1020170114283A 2017-09-07 2017-09-07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KR10198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83A KR101988499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83A KR101988499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67A KR20190027467A (ko) 2019-03-15
KR101988499B1 true KR101988499B1 (ko) 2019-06-12

Family

ID=6576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83A KR101988499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967A1 (en) * 2013-02-22 2014-08-28 Streamlight, Inc. Portable light chargeable from different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420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연결포트 커버 구조
KR101342042B1 (ko) 2012-01-09 2013-12-16 최한영 램프의 초점과 초점거리를 일정하게 중심설치가 가능한 탐조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967A1 (en) * 2013-02-22 2014-08-28 Streamlight, Inc. Portable light chargeable from different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67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084B2 (en) Mobile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a tubular housing
US6230431B1 (en) Night laser sight
JP2009535771A (ja) 防水保護後部蓋を有する携帯照明装置
KR101199204B1 (ko) 탈부착 가능한 무선충전식 차량용 램프
KR101988499B1 (ko)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랜턴
US6839448B2 (en) Earpiece having detachable battery device
US7579783B2 (en) Microprocessor-controlled insertable flashlight adapter device
KR101016483B1 (ko) 다목적용 랜턴
US11454383B2 (en) Wireless modular light system
CN101135419B (zh) 多开关手电筒
KR200398127Y1 (ko) 플레시 피싱캡
KR200474194Y1 (ko) 줌 기능을 갖는 랜턴 후레쉬
CN219414659U (zh) 双动力笔灯
CN215185980U (zh) 手持灯充电座及具有该充电座的手持灯
KR101978030B1 (ko) 다기능 손전등
CN214467982U (zh) 一种柔光手电
KR20200121156A (ko) 휴대용 전등
US6568829B2 (en) Flashlight
KR20190034390A (ko) 문손잡이에 착탈 가능한 손전등과 무드등
KR101814512B1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CN218993116U (zh) 一种手机外接电筒
CN210809294U (zh) 一种电子烟及其烟具
JP2006064319A (ja) 玩具銃における電源兼用発光装置
CN203453791U (zh) 夜间钓鱼用手电筒
CN215636628U (zh) 一种隐藏式防水充电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