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483B1 - 다목적용 랜턴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483B1
KR101016483B1 KR1020080103124A KR20080103124A KR101016483B1 KR 101016483 B1 KR101016483 B1 KR 101016483B1 KR 1020080103124 A KR1020080103124 A KR 1020080103124A KR 20080103124 A KR20080103124 A KR 20080103124A KR 101016483 B1 KR101016483 B1 KR 10101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inner diameter
reflector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881A (ko
Inventor
박헌수
신경택
Original Assignee
신경택
박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택, 박헌수 filed Critical 신경택
Priority to KR102008010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21V14/06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턴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101)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11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헤드부(140)와, 상기 제1 헤드부(140)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105)로 이루어지며, 전구(105)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조사 거리에 따라 조사 영역에서의 밝기 차이를 최소화하면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2 헤드부(170)에 볼록하고 길이를 가지는 렌즈돌기부(1351)가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제4 렌즈(135)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렌즈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발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랜턴, 렌즈, 조도

Description

다목적용 랜턴{A Lantern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되는 거리에 따라 빛의 조도 차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랜턴은 주로 어두운 곳을 밝혀 주는 것으로, 야간근무자의 방범순찰용(야간경비), 야간낚시의 조명등 및 야영 시 등에서 필요로 하고, 수사 장비로도 사용되며, 본체에 수납되는 건전지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발광하는 발광체의 불빛이 오목한 반사곡면을 갖는 반사판에 의해 전방으로 얼마간 확산되어 비추어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비추면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랜턴에 의하여 빛이 조사되는 영역은 전구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영역(이하에서 '직접 조사 영역'이라고 한다)과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조사되는 영역(이하에서 '간접 조사 영역'이라고 한다)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되는 영역의 조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조사되는 거리가 짧을수록 직접 조사 영역과 간접 조사 영역의 조도 절대값 차이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사 장비로 사용되는 경우 지문이나 족적 등이 잔존하는 영역에 조사하여 촬영할 때 지문이나 족적에 조도 차이에 의한 불연속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조사되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밖에 없으므로 세부적으로 더 밝게 비추어 관찰하려는 경우 동일 조건에서 랜턴과 관찰하려는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구로부터 렌즈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헤드부를 구비하여 조사되는 거리에 따라 전구로부터 렌즈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여 조사되는 영역의 조도 차이를 조정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다목적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에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복수의 렌즈는 전구의 전방으로 차례로 구비되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와, 제3 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는 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렌즈면과, 후방을 향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2 렌즈면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며; 상기 제2 렌즈는 전방을 향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렌즈면과, 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렌즈면을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며; 상기 제3 렌즈는 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렌즈면과, 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렌즈면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제2 렌즈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헤드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가 삽입되면서 안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경 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조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내측으로 위치하여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와, 상기 조정부재를 지나 전방으로 노출된 안내부재에 나사 연결되어 안내부재 상에서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가지는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재에는 원주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외경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부재의 나사공에는 삽입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삽입볼트는 상기 장공을 지나 끝단의 일부는 요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부재는 조정부재를 지나 노출된 부분에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안내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오목부의 전방으로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내경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치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의 후방으로 반경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안내오목부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에는 제1 핀부재가 삽입되며 끝단 일부는 안내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하우징의 내측으로는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는 볼록 렌즈인 제1 렌즈와 제2 렌즈이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의 전방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턱부의 후방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상기 각 턱부에 걸리도록 위치하며, 상기 각 암나사부에는 외경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3 링부재와 제2 링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각 턱부를 향하여 가압하며; 상기 제1 렌즈의 제1 렌즈면과 제2 렌즈의 제2 렌즈면은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렌즈면은 제1 렌즈의 최소 곡률 반경면이고, 상기 제2 렌즈면은 제2 렌즈의 최소 곡률 반경면이며;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렌즈는 볼록 렌즈인 제3 렌즈이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암나사부 전방으로 전방을 향한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턱부의 전방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제1 렌즈면이 전방을 향하여 제3 렌즈가 상기 턱부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암나사부에는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5 링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3 렌즈의 일측을 가압하며, 상기 제1 렌즈면은 제3 렌즈의 최소 곡률 반경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에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반사경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전방으로 오목하게 향하는 경면을 가지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4 렌즈는 볼록하고 길이를 가지며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구는 반사경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반사경 하우징의 전방으로 나사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즈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 하우징의 전방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며 전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홈이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전방으로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후방으로 외경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반사경 하우징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렌즈하우징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내경돌기부와 상기 내경돌기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경돌기부의 전방으로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제2 핀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핀부재의 내측 단부는 오목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렌즈는 상기 내경돌기부에 접하도록 전방에서 렌즈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상기 암나사부에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7 링부재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4 렌즈를 내경돌기부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100)을 사용하는 경우, 조사되는 영역의 조도 차이를 감소시켜 거의 일정한 조도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사되는 거리에 따라 전구(105)와 렌즈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사 거리에 따라 조사되는 영역에서 조도 차이를 최소화하면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조사 영역의 조도 차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볼록하고 길이를 가지는 렌즈돌기부(1351)가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제4 렌즈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렌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은 빛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좌측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빛이 조사되는 반대 방향으로 도 1 내 도 6에서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랜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랜턴에 구비된 제1 헤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안내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안내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1은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3은 제2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5는 배터리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테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5 및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8 은 도 5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100)은 배터리(101)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에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11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헤드부(140)와, 상기 제1 헤드부(140)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복수의 렌즈는 전구(105)의 전방으로 차례로 구비되는 제1 렌즈(145)와, 제2 렌즈(146)와, 제3 렌즈(161)이다. 상기 제1 렌즈(145)는 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렌즈면(1451)과, 후방을 향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2 렌즈면(1453)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며, 상기 제2 렌즈(147)는 전방을 향하며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렌즈면(1471)과, 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렌즈면(1473)을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다. 그리고 상기 제3 렌즈(161)는 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렌즈면(1611)과, 후방을 향하며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렌즈면(1613)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면(1611)의 곡률 반경은 제2 렌즈면(1613)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3개의 렌즈로 구성하여 전구(105)로부터 빛이 조사될 때 조사되는 영역의 조도 차이를 감소시켜 거의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는 도 5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공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배터리(101)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 리 하우징부(120)의 일측으로는 테일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테일부(110)는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일측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로서 작용한다. 도 5 및 도 17에는 배터리 하우징부(120)를 이루는 하우징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1개의 하우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테일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는 아우터하우징(121), 이너하우징(123), 이너캡(12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21)은 중공체로서 외경면의 양측으로 수나사부(1211)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1211)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이격하여 오목하게 오링홈(1215)이 형성된다. 도 15에서 미설명부호 1213은 전방으로 구비되는 턱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너하우징(123)은 중공체로서 상기 아우터하우징(121)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외경면의 양측으로 수나사부(1231)가 형성되며, 내경면에 반지름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환형체(1235)를 구비한다. 상기 이너하우징(123)의 내측으로 배터리(101)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너캡(127)은 암나사부(1275)가 형성된 원통부(1273)와, 상기 원통부(1273)의 일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환형부(1271)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캡(127)은 이너하우징(123)의 일측 수나사부(123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이너캡(127)의 환형부(1271)와 이너하우징(123)의 환형체(1235) 사이에는 기판(135)이 위치한다.
상기 테일부(110)는 제1 테일부재(111)와, 제2 테일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테일부재(111)는 전방 내경면에 암나사부(1112)가 형성된 원통부(1111)와, 상기 원통부(11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환형부(1113)와, 상기 환형부(1113)의 내경 끝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외경면에 수나사부(1116)가 형성된 내원통부(1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테일부재(111)의 암나사부(1112)는 아우터하우징(121)의 일측 수나사부(121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제2 테일부재(113)는 전방 내경면에 암나사부(1132)가 형성된 원통부(1131)와, 상기 원통부(1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환형부(1133)와, 상기 환형부(1133)의 내경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1131)의 외경면은 아우터하우징(12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원통부(1131)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32)는 이너하우징(123)의 타측 수나사부(1231)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환형부(1133)는 배터리(101)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1135)는 내원통부(111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원통부(1135)의 내측으로는 충전팩(103)이 삽입 설치되며 충전팩(103)의 충전 단자는 원통부(1135)의 후방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충전단자에 너트(118)가 체결되어 충전팩(103)을 제2 테일부재(113)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후방으로 노출된 충전 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내원통부(1115)에는 내측으로 암나사가 형성된 테일캡(115)이 체결된다. 도 7에서 117은 일측은 내원통부(1115)에 삽입되며 타측은 고정나사(119)에 의하여 테일캡(115)에 고정되는 캡커넥터로서, 테일캡(115)의 분 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7,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하우징(121)의 타측으로 스위치부(130)의 스위치 하우징(131)이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하우징(131)에는 스위치(133)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131)은 중공체로서 일측으로 턱부(1318)를 형성하며 외경면에 수나사부(1316)가 형성된 돌출링부(1319)를 구비하고, 타측으로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통부(1314)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부(1314)의 암나사부가 아우터하우징(121)의 타측 수나사부(121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돌출링부(1319)와 원통부(1314)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통공(1317)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133)는 내측으로부터 통공(1317)을 통하여 외향 삽입되며,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139)에 의하여 스위치 하우징(13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나사(139)는 스위치 하우징(131)의 외측에서 삽입되며 내측에 위치한 스위치(133)에 나사 체결된다.
도 18에서 도면부호 135는 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기판(135)은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스위치(133)의 하부로 스위치 하우징(131)에 형성되는 공간부(1311)에 스위치(133)의 작동에 의하여 배터리(101)와 전구(105)를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장치들이 구비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도 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하우징(131)의 전방으로 전구(105)를 설치하기 위한 전구하우징(137)이 구비되며, 상기 전구(137)는 전구하우징(137)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구하우징(137)은 전구(137)가 삽입되는 내경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구(137)는 제1 헤드부(14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도 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헤드부(140)는 스위치 하우징(131)에 연결된다. 도면에는 배터리 하우징부(120)과 스위치부(130)가 서로 별개의 구성을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조립이나 수리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스위치부(130)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 하우징(131)과 아우터하우징(121)을 일체로 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313과 1315는 스위치(133)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위치(133)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위치 하우징(131)에 형성될 수 있는 경사면과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헤드부(140)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141)와, 상기 안내부재(141)가 삽입되는 조정부재(155)와,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2 하우징(159)과, 상기 안내부재(141)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재(141)는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체로서 원주 방향으로 장공(1416)이 형성되며, 장공(1416)이 형성된 내경면으로 암나사부(1421)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421)가 형성된 외경면에는 원통형의 원통외면(1414)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외면(1414)에 상기 조정부재(155)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원통외면(1414)의 후방으로 턱면(1413)이 형성되며, 상기 턱면(1413)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부(1411)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1411)의 내경면에 암 나사부(1412)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412)가 스위치하우징(131)의 수나사부(1316)에 나사 결합하여, 제1 헤드부(140)가 스위치부(130)에 연결된다.
상기 조정부재(155)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된 안내부재(141)의 외경면에는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안내오목부(1418)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오목부(1418)의 전방으로 외경면에 수나사부(1419)를 구비한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1420은 수나사부(1419)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링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원통외면(1414)의 전방 일부에는 수나사부(1422)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부재(155)가 원통외면(14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안착한 후, 상기 수나사부(1422)에 제4 링부재(153)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조정부재(155)는 제4 링부재(153)와 상기 턱면(1413)에 의하여 양측이 지지되어 그 자리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5,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43)은 중공체로서 외경면에 상기 암나사부(1421)에 치합하는 수나사부(1431)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요홈(14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43)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43)의 내측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145)와 제2 렌즈(147)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렌즈(145)는 제1 렌즈면(1451)과 제2 렌즈면(1453)으로 이루어진 볼록 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면(1451)의 곡률 반경은 제2 렌즈면(1453)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다. 제1 렌즈(145)에 제1 렌즈면(1451)의 곡률 반경이 최소 곡률 반경이다. 상기 제2 렌즈면(1453)은 평면으로서 무한대의 곡률 반경 을 가진다. 상기 제2 렌즈(147)는 제1 렌즈면(1471)과 제2 렌즈면(1473)으로 이루어진 볼록 렌즈이며, 상기 제2 렌즈면(1473)의 곡률 반경은 제1 렌즈면(1471)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최소 곡률 반경이다. 상기 제1 렌즈면(1471)은 평면으로서 무한대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상기 제1 렌즈(145)와 제2 렌즈(147)는 상기 제1 렌즈면(1451)과 제2 렌즈면(1473)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43)의 내측으로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턱부(1435, 1437)가 형성되며, 상기 각 턱부(1435, 1437)의 외측으로 암나사부(1434, 1436)가 형성된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1439는 상기 턱부(1435, 14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경사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렌즈(145)는 제1 렌즈면(1451)이 전방을 향하도록 후방에 형성된 턱부(1437)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렌즈(147)는 제2 렌즈면(1473)이 후방을 향하도록 전방에 형성된 턱부(1435)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턱부(1437)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나사부(1436)에 제2 링부재(149)가 나사 체결되어 제1 렌즈(145)를 턱부(1437)로 가압하며, 상기 턱부(1435)의 전방으로 형성된 암나사부(1434)에 제3 링부재(151)가 나사 체결되어 제2 렌즈(147)를 턱부(1435)로 가압한다.
상기 조정부재(155)의 나사공(1551)에 삽입볼트(156)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삽입볼트(156)는 장공(1416)을 지나 끝단의 일부는 요홈(1433)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정부재(155)를 회전시키면 삽입볼트(156)는 장공에 안내되며 요홈(1433)에 걸리면서 제1 하우징(14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 하우 징(143)은 안내부재(141)의 내경면에 치합하므로 회전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105)와 제1, 2 렌즈(145, 147) 사이의 거리는 변하게 된다.
도 5, 도 7, 도 8,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59)은 내경면에 암나사부(1593)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1593)의 후방으로 반경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1591)이 형성된 원통부(1598)를 구비하며, 상기 암나사부(1593)의 전방으로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환형부(1595)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부(1595)의 전방으로 내경면에 암나사부(1597)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593)는 안내부재(141)의 수나사부(1419)에 치합하며, 상기 원통부(1598)는 안내오목부(1418)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통공(1591)에는 제1 핀부재(165)가 삽입되며, 제1 핀부재(165)의 내측 단부는 안내오목부(1418)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환형부(1595)의 전방으로 제3 렌즈(161)가 위치하며, 상기 암나사부(1597)에 제5 링부재(163)가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제3 렌즈(161)를 환형부(1595)로 가압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 하우징(159)을 회전시키면 제2 하우징(159)은 안내부재(141)를 따라 전후진 운동을 하며, 따라서 제3 렌즈(161)와 전구(105) 사이의 거리는 변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렌즈(161)는 제1 렌즈면(1611)과 제2 렌즈면(1613)으로 이루어지는 볼록 렌즈이며, 제1 렌즈면(1611)의 곡률 반경은 제2 렌즈면(1613)의 곡류반경보다 작다. 상기 제3 렌즈(161)는 제1 렌즈면(1611)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5, 도 7, 도 8,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에서 도면 부호 1420, 1415, 1312, 1215 및 1119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을 도시한 것이며; 162, 158, 122, 114, 112, 172, 144 및 146은 오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전구(105)의 전방으로 일측은 볼록이고 타측은 평면인 제1 렌즈(145)와, 역시 일측은 볼록이고 타측은 평면인 제2 렌즈와, 양측이 볼록인 제3 렌즈를 차례로 구비함으로써 조사되는 영역에서 조도의 절대값 차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사되는 거리에 따라 전구(105)로부터 각 렌즈까지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조사되는 영역에서 조도의 절대값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조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사되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 렌즈(145)와 전구(105)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랜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랜턴에 구비되는 제4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으로서 제4 렌즈가 가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사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으로서 제4 렌즈가 세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사진이며, 도 23은 도 21과 같은 상태에서 조사되는 영역의 사진이며, 도 24는 도 22과 같은 상태에서 조사되는 영역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용 랜턴(100')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1)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상 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에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11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2 헤드부(170)와, 상기 제2 헤드부(170)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배터리 하우징부(120), 테일부(110), 스위치부(130)는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와 같으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헤드부(170)는 스위치 하우징(131)에 연결된다.
도 6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헤드부(170)는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는 반사경 하우징(171)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전방으로 오목하게 향하는 경면(1751)을 가지는 반사경(175)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렌즈(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 렌즈(135)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하고 길이를 가지며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복수의 렌즈돌기부(1351)를 구비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돌기부(1351)는 어느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 반경(도 20에서 세로 방향)을 가지며, 상기 볼록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도 20에서 가로 방향)으로는 무한대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상기 전구(105)는 반사경(175) 내측으로 위치한다. 도 19에서 도면부호 1753은 반사경(175)에 형성되어 전구(105)가 삽입되는 통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 헤드부(170)는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으로 나사 체결되는 고정부재(179)와 상기 고정부재(17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즈하우징(18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 내경면에는 암나사부(1715)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79)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며 전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홈(1798)이 형성된 돌기부(1799)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1799)의 전방으로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오목부(1798)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799)의 후방으로 외경면에 상기 암나사부(1715)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797)가 형성되어 반사경 하우징(17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렌즈하우징(181)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내경돌기부(1811)와 상기 내경돌기부(181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812)를 구비하며, 상기 내경돌기부(1811)의 전방으로 내경면에 암나사부(1815)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1812)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통공(1819)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819)에 제2 핀부재(189)가 삽입되고, 상기 제2 핀부재(189)의 내측 단부는 오목부(1795)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렌즈(135)는 상기 내경돌기부(1811)에 접하도록 전방에서 렌즈하우징(181) 내로 삽입되며, 상기 암나사부(1815)에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7 링부재(187)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4 렌즈(135)를 내경돌기부(1811)로 가압한다.
도 6 및 도 19에서 도면부호 173은 반사경(175)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평면 렌즈인 제5 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177은 상기 반사경(175) 후방에서 반사경 하우징(171)의 암나사부(1717)에 나사 체결되면서 반사경(175)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제 6링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반사경(175)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턱부(1755)가 형성되며, 상기 제6링부재(177)의 환형부(1773)가 턱부(1755)에 걸리게 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81)을 회전시켜 상기 렌즈돌기부(1351)가 가로로 위치하도록 하고 빛을 조사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의 조사 각도가 작게 되어 조사 거리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좁은 영역에 집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반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81)을 회전시켜 상기 렌즈돌기부(1351)가 세로로 위치하도록 하고 빛을 조사하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의 조사 각도가 커지게 되어 조사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넓은 영역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랜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랜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랜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랜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랜턴에 구비된 제1 헤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안내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안내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배터리 하우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테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5 및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5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랜턴에 구비되는 제4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으로서 제4 렌즈가 가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사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다목적용 랜턴으로서 제4 렌즈가 세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사진이다.
도 23은 도 21과 같은 상태에서 조사되는 영역의 사진이다.
도 24는 도 22과 같은 상태에서 조사되는 영역의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 다목적용 랜턴 110 : 테일부
120 : 배터리 하우징부 130 : 스위치부
140 : 제1 헤드부 170 : 제2 헤드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배터리(101)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부(12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에 일측으로 구비되는 테일부(11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부(120)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2 헤드부(170)와, 상기 제2 헤드부(170)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전구(10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헤드부(170)는 상기 스위치부(130)에 연결되는 반사경 하우징(171)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전방으로 오목하게 향하는 경면(1751)을 가지는 반사경(175)과,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렌즈(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4 렌즈(135)는 볼록하고 길이를 가지며 나란하게 반복 형성된 복수의 렌즈돌기부(1351)를 구비하며, 상기 전구(105)는 반사경(175)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랜턴(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으로 나사 체결되는 고정부재(179)와 상기 고정부재(17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렌즈하우징(18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 하우징(171)의 전방 내경면에는 암나사부(1715)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79)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며 전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오목홈(1798)이 형성된 돌기부(1799)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1799)의 전방으로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오목부(179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799)의 후방으로 외경면에 상기 암나사부(1715)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797)가 형성되어 반사경 하우징(171)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렌즈하우징(181)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내경돌기부(1811)와 상기 내경돌기부(181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812)를 구비하며, 상기 내경돌기부(1811)의 전방으로 내경면에 암나사 부(1815)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1812)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통공(1819)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819)에 제2 핀부재(189)가 삽입되고, 상기 제2 핀부재(189)의 내측 단부는 오목부(1795)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렌즈(135)는 상기 내경돌기부(1811)에 접하도록 전방에서 렌즈하우징(181) 내로 삽입되며, 상기 암나사부(1815)에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7 링부재(187)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4 렌즈(135)를 내경돌기부(1811)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렌턴(100').
KR1020080103124A 2008-10-21 2008-10-21 다목적용 랜턴 KR10101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24A KR101016483B1 (ko) 2008-10-21 2008-10-21 다목적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24A KR101016483B1 (ko) 2008-10-21 2008-10-21 다목적용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81A KR20100043881A (ko) 2010-04-29
KR101016483B1 true KR101016483B1 (ko) 2011-02-24

Family

ID=4221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24A KR101016483B1 (ko) 2008-10-21 2008-10-21 다목적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94B1 (ko) * 2012-07-05 2014-03-17 박성용 초점 조절이 가능한 손전등
KR200481453Y1 (ko) * 2014-07-16 2016-10-05 주식회사 타이탄코리아 줌 기능을 갖는 랜턴 겸용 후레쉬
KR102101780B1 (ko) * 2018-10-25 2020-05-15 (주)우신에이펙 선박용 led 주간신호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09Y1 (ko) 2001-11-23 2002-02-28 정명순 후레쉬
KR20020066609A (ko) * 2001-02-12 2002-08-21 학교법인 한양학원 아조계 화합물의 금속 착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20060034075A1 (en) * 2004-08-12 2006-02-16 Alessio David J Flashlight
KR20060114940A (ko) * 2005-05-03 2006-11-08 윤삼걸 수중라이트
KR20060114923A (ko) * 2005-05-03 2006-11-08 윤삼걸 수중라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09A (ko) * 2001-02-12 2002-08-21 학교법인 한양학원 아조계 화합물의 금속 착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266609Y1 (ko) 2001-11-23 2002-02-28 정명순 후레쉬
US20060034075A1 (en) * 2004-08-12 2006-02-16 Alessio David J Flashlight
KR20060114940A (ko) * 2005-05-03 2006-11-08 윤삼걸 수중라이트
KR20060114923A (ko) * 2005-05-03 2006-11-08 윤삼걸 수중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81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642B (zh) 具有前向散热组件的照明装置
US7083299B2 (en) Flashlight having convex-concave lens
US9447955B2 (en) Lighting assembly featur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with a windage and elevation control mechanism therefor
US20050174782A1 (en) Flashlight
US20070133209A1 (en) Electrical lamp apparatus
US7152995B2 (en) Flashlight
US6004003A (en) Portable lighting device
JP4756346B2 (ja) Led照明器具およびled非常灯
KR101016483B1 (ko) 다목적용 랜턴
CN108025780B (zh) 摩托车的位置灯结构
CN109539024A (zh) 一种可变焦的轨道灯
KR100961472B1 (ko) 엘이디 전구모듈을 사용한 조립식 랜턴
JP2008059852A (ja) 自転車用携帯電灯
KR200478356Y1 (ko) Led 손전등
US20060098424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KR20100009840U (ko) 걸이형 랜턴
JP6956351B2 (ja) 照明器具
KR101061058B1 (ko) 휴대용 후레쉬
JP4755850B2 (ja) 携帯型led照明灯装置
US10443805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200425781Y1 (ko) 초점 조절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손전등
CN215569863U (zh) 一种旋转调焦式照明装置
JP7179847B2 (ja) 懐中電灯
KR20160000291U (ko) 줌 기능을 갖는 랜턴 겸용 후레쉬
KR200309299Y1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