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030B1 - 다기능 손전등 - Google Patents

다기능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30B1
KR101978030B1 KR1020170031144A KR20170031144A KR101978030B1 KR 101978030 B1 KR101978030 B1 KR 101978030B1 KR 1020170031144 A KR1020170031144 A KR 1020170031144A KR 20170031144 A KR20170031144 A KR 20170031144A KR 101978030 B1 KR101978030 B1 KR 10197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llumination unit
sensor
camera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18A (ko
Inventor
심재민
Original Assignee
심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민 filed Critical 심재민
Priority to KR102017003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3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21V14/02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선단을 갖는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직선 방향으로 발광시키는 직선조명부와, 상기 직선조명부 외부에 설치한 제2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확산조명부와, 상기 확산조명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3하우징을 설치하여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 또는 확산조명부의 점등을 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손전등{multi-function flashlight}
본 발명은 다기능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전등을 통해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을 선택할 수 있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손전등은 등산, 낚시 등의 레저활동를 하는 경우 일몰 후 야간활동을 하거나 가정이나 업소에서 야간에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어둠속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인적이 드문 지하주차장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 순찰시에 방범(防犯)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휴대용 손전등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도 1a는 일반적인 손전등의 사시도로, 종래의 손전등(60)은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20), 상기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전구체(30), 및 상기 전원공급부(20)의 작동을 지시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공개실용신안 20-2008-0002901]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손전등의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21949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LED 손전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LED 손전등는 램프 홀더에 LED의 리드선들을 삽입하고 후방으로 연장된 리드선을 절곡하여 건전지의 포지티브 전극 및 네가티브 전극들과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번호 20-237488호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헤드 플래시의 램프로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헤드 플래시는 적색, 황색, 청색의 발광다이오드들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내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손전등은 단지 야간이나 빛이 없는 장소에서 조명 역할을 수행하여 시야 확보만을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휴대용 손전등은 여러 산업현장에서 야간에 필수적으로 이용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장치를 위한 다양한 구동 모듈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음에 비해, 여전히 빛을 비추는 정도의 고유의 단순한 기능만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근래, 공동주택의 건설 및 보급에 따라 아파트 단지 등에서의 방범 및 주차 단속과 같은 순찰 업무가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순찰 및 주차 단속 업무의 경우 경비원이 일정 구역을 직접 순찰하면서 불법 주차 차량을 발견하여 단속하며, 범죄 등의 비상 사태 발생 시에는 이를 경찰서 등의 외부 기관에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순찰 업무는 그 특성 상 순찰자가 지정된 시간에 순찰 영역을 직접 순찰하는 지의 여부를 감독해야 하며, 순찰자에 의한 불법 주차차량 단속의 경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순찰자가 파악하여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요구된다.
또한, 불법 주차 또는 도난 차량 단속 등의 경우에 차량의 번호와 리스트 상의 번호를 인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대비하여 단속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야간의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손전등에 이동통신장치에 이용되는 다양한 구동모듈들을 조합 설치함으로써, 야간 순찰, 시설물 관리, 차량 관리 및 레저 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손전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는, 근래 들어 레저 활동에 적합하도록 손전등을 목적물에 걸어 둘 수 있는 용도로도 걸이형 손전등이 개시되고 있다.
즉,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에 상기 고리부(50)를 이용하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도 1b에 도시한 손전등은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20), 상기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전구체(30), 및 상기 전원공급부(20)의 작동을 지시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손전등에 있어서, 특정 부분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5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손전등은 상기 고리부가 형성된다 할지라도 통상의 손전등은 직선조명을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빛이 넓은 공간에 퍼지도록 하는 확산조명이 불가능하여 조명을 위한 용도로는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25033호,(2003.08.20.) [특허문헌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0298호,(2012.02.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전등 기능에 화상을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더 포함시켜 야간 순찰, 순찰 관리 등의 보안을 위한 활동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손전등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직선조명으로 빛을 발휘시키고, 공간 조명으로 사용할 때에는 확산 조명으로 빛을 발휘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을 통신장치와 연계시켜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선단을 갖는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직선 방향으로 발광시키는 직선조명부와, 상기 직선조명부 외부에 설치한 제2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확산조명부와, 상기 확산조명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3하우징을 설치하여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 또는 확산조명부의 점등을 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제3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의 독립적 점등 또는 동시 점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직선조명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어 조명을 직선으로 발광시키는 제1램프와, 상기 제1램프 주변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산조명부는 상기 제1하우징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외주연에 등분할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램프와, 상기 제2램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카메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연에 점접센서를 복수로 설치하고, 상기 제3하우징 내주연에 접촉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촉센서가 복수의 접점센서와 단게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의 동시 점등 또는 독립적 점등 및 점멸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하우징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램프와 제1카메라가 타공에서 노출 또는 비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하우징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개구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램프와 제2카메라가 개구공에서 노출 또는 비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를 직접적으로 점등 및 점멸시키는 버튼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영상은 제1하우징과 연결된 몸체부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로 표시되고, 상기 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점센서는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센서가 제1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접촉센서가 제2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를 점멸시키는 동시에 확산조명부를 점등시키며, 상기 접촉센서가 제3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를 동시 점등시키되, 상기 접촉센서가 접점센서와 접촉하지 않으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가 모두 점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선단을 갖는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직선 방향으로 발광시키는 직선조명부와, 상기 직선조명부 외부에 설치한 제2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확산조명부와, 상기 확산조명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3하우징을 설치하여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 또는 확산조명부의 점등을 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손전등의 전등 기능이외에 화상을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더 포함시켜 야간 순찰, 순찰 관리 등의 보안을 위한 활동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직접조명 기능을 하는 직선 조명과 간접조명 기능을 하는 확산 조명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전등의 다양한 사용 용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직선 조명과 확산 조명의 전환을 기계적 회전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확실한 기능 전환의 응답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은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을 통신장치와 연계시켜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종래기술의 손전등을 나타낸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직선조명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확산조명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조명 전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직선조명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확산조명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몸체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의 조명 전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100)은 몸체부(200)와, 전원부(300)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는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 및 제어부(130)로 구성한다.
먼저, 직선조명부(110)는 선단을 갖는 제1하우징(111)에 설치되어 빛을 직선 방향으로 발광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선조명부(110)는 상기 제1하우징(1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조명을 직선으로 발광시키는 제1램프(112)와, 상기 제1램프(112) 주변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113)로 구성한다.
즉, 상기 선단에는 내부의 홈에 지름이 작고 길이를 갖는 유선형의 반사갓(114)이 설치되고, 상기 반사갓(114) 중심에 제1램프(112)가 설치된다.
이를 통해, 제1램프(112)에서 발광되는 빛은 반사갓(114)의 내부면을 따라 안내되어 외부로 직선의 빛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확산조명부(120)는 상기 직선조명부(110) 외부에 설치한 제2하우징(121)의 둘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킨다.
여기서, 상기 확산조명부(120)는 상기 제1하우징(111)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121)과, 상기 제2하우징(121) 외주연에 등분할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램프(122)와, 상기 제2램프(122) 사이에 설치되는 제2카메라(124)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하우징(121)은 내부가 관통된 구멍을 통해 제1하우징(111) 외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21)의 외주연에 복수의 제2램프(122)가 설치되어 빛이 제2하우징(121)의 외부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확산조명부(120) 외주연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3하우징(131)을 설치하여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110) 또는 확산조명부(120)의 점등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30)는 제3하우징(131)의 회전에 의해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의 독립적 점등 및 점멸 또는 동시 점등 및 점멸을 선택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상기 제3하우징(13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의 점등 및 점멸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직선조명부(110)는 지름이 좁고 길은 내주면을 갖는 반사갓(114)을 통해 제1램프(112)에서 발광되는 빛이 직하 방식으로 굴절없이 발광되어 빛을 보다 집중시켜 먼 거리에 빛이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확산조명부(120)는 제2하우징(121) 외주연에 복수로 제2램프(122)가 배열되여 빛을 발광하면 제2하우징(121)의 곡면 표면의 입사경게면에 집중되어 난반사되면서 휘도가 높고 확산 정도가 넓은 조명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 또는 확산 기능을 갖는 조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명 기능의 선택은 제어부(130)의 회전 상태를 통해 광원의 확산 또는 집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의 제3하우징(131)의 기계적 회전을 통한 조명 선택은 아래와 같은 구성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제1하우징(111), 제2하우징(121) 및 제3하우징(1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21)은 상호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3하우징(131)은 제2하우징(121)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121)의 외주연에 접점센서(133)를 복수로 설치하고, 상기 제3하우징(131) 내주연에 접촉센서(132)를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접점센서(133)는 제2하우징(121) 외주연에 제1센서(123a), 제2센서(123b) 및 제3센서(123c)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3하우징(131)의 회전에 의해 접촉센서(132)가 순차적으로 복수의 접점센서(133)와 단계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의 동시 점등 및 점멸 또는 독립적 점등 및 점멸을 가능하도록 하다.
즉, 상기 접촉센서(132)가 제1센서(123a)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110)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제3하우징(13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접촉센서(132)가 다음 차순의 제2센서(123b)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110)를 점멸시키는 동시에 확산조명부(120)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제3하우징(131)의 한 단계 더 회전시켜 상기 접촉센서(132)가 제3센서(123c)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를 동시 점등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센서(132)가 접점센서(133)와 접촉하지 않으면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가 모두 점멸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점등 기능 수행시 외부로 빛의 투과율을 보장하면서 제1램프(112)와 제2램프(122)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3하우징(131)에는 타공(133)과 개구공(1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3하우징(131)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타공(133)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13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램프(112)와 제1카메라(113)가 타공(133)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비노출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타공(133)에는 보호창(135)이 설치되고 상기 제3하우징(131)의 회전을 통해 제1램프(112)와 제1카메라(113)와 동일한 위치일 때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면서 카메라 촬영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3하우징(131)을 다시 회전시키면 타공(133)은 위치가 변경되어 제1램프(112)와 제1카메라(113)의 전방을 밀폐시켜 암막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하우징(131)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개구공(134)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13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램프(122)와 제2카메라(124)가 개구공(13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비노출된다.
결국, 상기 타공(133)과 개구공(134)을 통해 제1램프(112), 제1카메라(113) 및 제2램프(122), 제2카메라(124)를 선택적으로 노출 또는 비노출시켜 빛을 외부로 발산 또는 카메라 촬영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00)는 몸체부(200)의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 및 제어부(130)측에 전원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10)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113) 및 제2카메라(124)를 통해 얻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어모듈(140)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00)와 전원부(300)의 타단부에는 인터페이스(141) 접속 기구들과 메모리(142)를 장착 및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에는 외부에 디스플레이(144)와 버튼모듈(143)을 설치하여 카메라의 영상 및 조명의 발광 진행상태를 문자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램프(112)와 제2램프(122)를 직접적으로 점등 및 점멸시키는 버튼모듈(14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버튼모듈(143)은 독립적으로 직선조명부(110)와 확산조명부(120)를 점등 또는 점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점등 및 점멸되는 기능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113)와 제2카메라(124)를 통해 취득한 영상은 제1하우징(111)과 연결된 몸체부(200)에 설치한 디스플레이(144)로 표시되고, 상기 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100)은 손전등(100)의 전등 기능이외에 화상을 촬영 및 녹화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더 포함시켜 야간 순찰, 순찰 관리 등의 보안을 위한 활동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100)은 직접조명 기능을 하는 직선 조명과 간접조명 기능을 하는 확산 조명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전등(100)의 다양한 사용 용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100)은 직선 조명과 확산 조명의 전환을 기계적 회전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확실한 기능 전환의 응답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손전등(100)은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을 통신장치와 연계시켜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손전등 110 ; 직선조명부
111 ; 제1하우징 112 ; 제1램프
113 ; 제1카메라 114 ; 반사갓
120 ; 확산조명부 121 ; 제2하우징
122 ; 제2램프 123a ; 제1센서
123b 제2센서 123c ; 제3센서
124 : 제2카메라 130 ; 제어부
131 ; 제3하우징 132 ; 접촉센서
133 ; 접점센서 133 ; 타공
134 ; 개구공 135 : 보호창
140 ; 제어모듈 141 ; 인터페이스
142 ; 메모리 143 ; 버튼모듈
144 ; 디스플레이 200 ; 몸체부
300 ; 전원부 310 : 배터리

Claims (11)

  1. 선단을 갖는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직선 방향으로 발광시키는 직선조명부와,
    상기 직선조명부 외부에 설치한 제2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확산조명부와,
    상기 확산조명부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3하우징을 설치하여 회전 상태에 따라 직선조명부 또는 확산조명부의 점등을 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하되,
    상기 확산조명부는,
    상기 제1하우징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외주연에 등분할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램프와,
    상기 제2램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카메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의 독립적 점등 또는 동시 점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조명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어 조명을 직선으로 발광시키는 제1램프와,
    상기 제1램프 주변에 설치되는 제1카메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외주연에 접점센서를 복수로 설치하고,
    상기 제3하우징 내주연에 접촉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촉센서가 복수의 접점센서와 단게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의 동시 점등 또는 독립적 점등 및 점멸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램프와 제1카메라가 타공에서 노출 또는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개구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3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램프와 제2카메라가 개구공에서 노출 또는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또는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 또는 상기 제2램프를 직접적으로 점등 및 점멸시키는 버튼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또는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영상은 제1하우징과 연결된 몸체부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로 표시되고,
    상기 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센서는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센서가 제1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접촉센서가 제2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를 점멸시키는 동시에 확산조명부를 점등시키며,
    상기 접촉센서가 제3센서와 접촉되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를 동시 점등시키되,
    상기 접촉센서가 접점센서와 접촉하지 않으면 직선조명부와 확산조명부가 모두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전등.
KR1020170031144A 2017-03-13 2017-03-13 다기능 손전등 KR10197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44A KR101978030B1 (ko) 2017-03-13 2017-03-13 다기능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44A KR101978030B1 (ko) 2017-03-13 2017-03-13 다기능 손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18A KR20180104418A (ko) 2018-09-21
KR101978030B1 true KR101978030B1 (ko) 2019-05-13

Family

ID=6372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44A KR101978030B1 (ko) 2017-03-13 2017-03-13 다기능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153B1 (ko) * 2023-11-01 2024-01-26 용상철 무선충전 방식의 휴대형 방폭 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33Y1 (ko) 2003-05-21 2003-09-02 유승달 손전등 카메라
US8147089B2 (en) * 2008-10-09 2012-04-03 Surefire, Llc Switchable light sources
KR20120010298A (ko) 2010-07-26 2012-02-03 박국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손전등
US8864326B2 (en) * 2010-11-17 2014-10-21 Light & Motion Industries Adjustable light for underwater photography
KR20120133047A (ko) * 2011-05-30 2012-12-10 송인모 다기능 손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18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784B2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US7287874B2 (en) Portable signal light, vehicle guidance tool and vehicle guidance method
US7163313B2 (en) Illumination device
JP5948379B2 (ja) 消防士用照明装置および方法
US8783908B2 (en) Multimode flashlight having light emitting diodes
US20110103047A1 (en) Multimode Flashlight Having Light Emitting Diodes
US20130308308A1 (en) Multi-directional light assembly
US20200248893A1 (en) Led lamp
CN111895289A (zh) 可拆卸的双模式照明装置和相关头灯系统
KR101978030B1 (ko) 다기능 손전등
KR200479562Y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083606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엘이디 조명 장치
JP7097092B2 (ja) 照明角度調節型口金、およびそれが組み込まれたカメラ付き直管型ledランプ
EP1754933A1 (en) Lighting Device for Military Use
US20020121295A1 (en) Umbrella structure with lighting device
KR101765436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다기능 호신장치
JP2014110239A (ja) Led照明
KR101758782B1 (ko) 플래시 라이트
JP5241952B1 (ja) Led照明
KR101880662B1 (ko) 플래시 라이트
KR20160109922A (ko) 다기능 태양광 충전식 보안등
JP2009181834A (ja) センサーライト
KR200481387Y1 (ko) 다기능 손전등
KR101814512B1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KR20180044182A (ko) 플래시 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