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851Y1 -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 Google Patents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851Y1
KR200253851Y1 KR2019980017844U KR19980017844U KR200253851Y1 KR 200253851 Y1 KR200253851 Y1 KR 200253851Y1 KR 2019980017844 U KR2019980017844 U KR 2019980017844U KR 19980017844 U KR19980017844 U KR 19980017844U KR 200253851 Y1 KR200253851 Y1 KR 200253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fastening
fixed
st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51U (ko
Inventor
성 배 정
Original Assignee
성 배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배 정 filed Critical 성 배 정
Priority to KR2019980017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85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851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치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케이스(2)의 하단에 스몰라이트(3)를 일체로 설치하고,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부(4)의 일측에는 램프(5)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조절부(6)를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서치라이트 작동스위치(8)와 스트로보 작동 스위치(7)및 스몰라이트 작동 스위치(47) 및 하이빔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작동부(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하나의 서치라이트에 스몰라이트 기능을 부가하여 길을 가거나 물건을 찾을 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트로보 기능을 부가하여 비상용 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치라이트의 불빛촛점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서치라이트와 스트로보 기능 및 라이트 기능이 겸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서치라이트로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
본 고안은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치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서치라이트로서 줌(zoom)장치와 스트로보(strobo) 및 하이빔(highbeem)과 스몰라이트(smalllight)기능을 겸할 수 있게 하므로서 다 각도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치라이트는 야간에 적의 항공기, 선박, 부대 등을 탐색하거나 특정지역을 조명하거나 발광 신호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서치라이트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지상이나 건물 또는 차량 등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서치라이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 중 자동차가 다닐수 없는 곳에서는 서치라이트를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사람이 손에 들고 다닐수 있는 휴대용 서치라이트가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서치라이트는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반사경과 램프가 내장되어 있는 램프케이스가 설치되며 본체의 하단에는 충전식 밧데리를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서치라이트는 전력의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멀리 있는 사물을 식별할 때만 사용하였으며 길을 걸어 갈때에는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는 후레쉬를 사용하여여 하므로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고 서치라이트와 후레쉬를 같이 휴대하고 다니므로서 행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 사용되어온 휴대용 서치라이트는 길을 걸어갈 때와 사물을 관찰할때까지 전원을 ON시키면 서치라이트의 불빛이 고출력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심하여 밧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의 소모가 크므로서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탐조용 용도 이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서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치라이트의 본체 후미에는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를 설치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케이블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충전된 밧데리를 사용할 경우 군인이나 일반사용자가 서치라이트를 땅에 놓을 경우 연결구에 모래나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 접속불량을 일으키거나 연결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서치라이트는 단순히 서치라이트의 기능만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고가로 구입한 서치라이트를 사용하수 있는 기회가 적어 관리에 소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서치라이트를 매일 사용하는 군인이나 해안감사지 및 야간경비들은 그래도 상관이 없으나 사냥용으로 구입하거나 과수의 경비용으로 구입할 경우 서치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시기가 정해져 있고, 또한 사용하는 날보다 사용하지 않는 날이 많기 때문에 일반 민간인에게는 별 도움이 못되어 구입을 하지 않게 되는 실정 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서치라이트에 스몰라이트 기능을 부가하여 길을 가거나 물건을 찾을 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트로보기능을 부가하여 비상용 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치라이트의 불빛촛점을 조절할 수 있는 줌기능을 설치하여사물을 비출 경우 완벽한 사물의 모습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줌장치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줌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스몰라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램프케이스 (3) 스몰라이트
(4) 손잡이부 (5) 램프 (6) 줌조절부
(7) 스트로보스위치 (8) 서치라이트스위치 (9) 하이빔스위치
(10) 작동부 (11) 나사돌출부 (12) 삽입공
(13) 후면커버 (14) 전원공급단자 (15) 기판
(16) 브라켓트 (17) 램프고정구 (18) 램프고정브라켓트
(19) 밀판 (20) 반사경 (21) 텐션고정판
(22) 렌즈 (23) 고정돌기 (24) 회전보턴
(25) 격판 (26) 요홈 (27) 와이어
(28)(31)(41)(46) 고정구 (29) 돌출 (30) 나사부
(32) 보조돌출부 (33) 캡 (34) 발광부
(35) 접속단자 (36) 체결부 (37) 절개부
(38) 전구 (39) 전선 (40) 체결공
(42) 고정단자 (43) 장공부 (44) 삽입공
(45) 스프링 (47) 스몰라이트스위치
서치라이트본체의 저면에 충전식 밧데리를 체결하고 본체의 상부에는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본체의 후미에는 전원용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케이스(2)의 하단에 스몰라이트(3)를 일체로 설치하고,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부(4)의 일측에는 램프(5)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조절부(6)를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서치라이트 작동스위치(8)와 스트로보 작동 스위치(7)및 스몰라이트 작동 스위치(47) 및 하이빔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작동부(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48은 적외선필터, 49는 충전식 밧데리를 보인 것이다.
상기 본체(1)는 나사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13)의 삽입공(12)하단에 전원공급단자(14)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15)을 고정설치하고, 기판(15)의 타측에는 브라켓트(16)를 설치하되 그 일측에는 램프(5)가 설치되는 램프고정구(17)를 설치하되 램프고정구(17)의 중앙부에는 밀판(19)과 램프 고정 브라켓트(18)를 체결하여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하고, 그 일측에는 반사경을 설치한다.
한편 램프고정구(17)의 일측에는 반사경을 고정설치하되 반사경의 끝부분에는 램프(5)를 고정하는 텐션고정판(21)에 체결하여 랜즈(22)와 체결고정하고, 반사경의 중앙부에는 램프(5)를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삽입체결한다.
상기 줌조절부(6)는 손잡이부(4)의 일측에 양측으로 고정돌기(23)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보턴(24)을 체결하여 고정돌기(2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되 회전보턴(24)의 저면 일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돌출부(29)를 형성하고, 그 일측의 손잡이부(4)에는 격판(25)을 형성하되 격판(25)의 중앙부에 고정용 요홈(26)을 형성하여 와이어(27)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28)가 삽입 고정되게 하되 와이어(27)의 끝부분은 회전보턴(24)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9)에 고정하고, 와이어(27)의 타측은 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1)를 이용하여 브라켓트(16)에 고정하되 와이어의 끝부분은 브라켓트(16)를 관통하여 밀판(19)에 접하게 한다.
한편 손잡이부(4)의 후미에는 후면커버(1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돌출부(11)와 같은 크기 보조돌출부(32)를 형성하여 나사돌출부(11)에 체결되는 캡(33)을 체결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램프(5)의 내부에 스몰라이트용 전구를 일체로 설치하여도 바람직 하다.
즉 램프(5)의 발광부(34) 일측에 고정되는 접속단자(35)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6)를 돌출형성하되 체결부(36)의 양측에 절개부(37)를 형성하며, 이 절개부(37)에 소형전구(38)가 삽입되게 하되 전구의 연결되어 있는 전선(39)은 절개부(37)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하고, 체결부(36)에는 일측에만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공(4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1)를 체결하여 고정하며, 그 일측에는 반사경(20)을 삽입한 다음 고정단자(42)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단자(42)의 일측 내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반사경(20)의 내부로 삽입하여 체결부(36)에 체결한다.
고정단자(42)의 일측에는 전구의 빛이 방사될수 있는 장공부(43)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장공부(43)의 돌출부분이 반사경(20)을 고정되게 하며, 고정단자(42)의 끝부분에는 삽입공(44)을 형성하여 스프링(45)을 삽입한 다음 고정구(46)를 체결하여 삽입공(44)에서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하고 고정구(46)는 텐션고정구(21)에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치라이트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동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서치라이트 작동스위치(8)를 온시키면 본체(1)의 저면에 체결되어 있는 밧데리의 전원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15)과 그 단자들에 의하여 램프(5)가 켜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5)의 촛점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작동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줌조절부(6)의 회전보턴(24)을 전, 후로 눌러 작동시키면 된다.
회전보턴(24)을 작동시키면 손잡이부(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격판(25)이 와이어(27)의 외부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28)를 잡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는 내부로 삽입하여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구(31)가 브라켓트(16)를 통과하여 돌출되면서 밀판(19)을 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밀판(19)이 유동하게 되면 밀판(19)은 램프고정 브라켓트(18)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램프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램프(5)는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가 텐션고정판(21)을 압착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보턴(24)을 역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와이어(27)가 원상 복귀됨과 동시에 램프(5)를 고정하고 있는 텐션고정판(21)에 의하여 램프(5)와 밀판(19)이 자동으로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치라이트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지역 즉 길을 걸어가거나 단순히 시야를 확보하고자 할 때에는 작동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스몰라이트 작동스위치(47)를 ON시키면 램프(5)의 하단부에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스몰라이트(3)가 켜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비상신호를 보내고자 할 때에는 서치라이트 작동용 스위치(8)를 ON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스트로보작동스위치(7)를 ON 시키면 된다. 즉 서치라이트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트로보작동스위치(7)를 ON 시키면 서치라이트가 꺼짐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전광이 발생하게 되면서 스트로보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6에서와 같이 램프(5)의 발광부(34)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부(36)의 절개부(37)에 전구를 삽입하되 전구(38)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절개부(37)의 끝부분으로 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구(41)를 나사부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고정구(41)는 일측에만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41)를 체결부(36)에 압착 체결하면 단턱부가 절개부(37)로 인출되어 있는 전선을 압착하기 때문에 스몰라이트용 전구(38)를 절개부(37)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구(41)의 일측에 스몰라이트용 반사경(20)을 삽입 체결하면 전구가 반사경의 중앙부로 돌출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단자(42)를 반사경(20)과 전구(38)사이의 공간부에 삽입하면 고정단자(42)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가 체결부(36)의 나사에 접하게 되므로 고정단자(42)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고정단자(42)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부(43)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돌출부가 반사경(20)을 고정구(41)방향으로 밀게 되므로서 반사경(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며, 전구(38)는 고정단자(42)의 내부를 통하여 장공부(43)의 위치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단자(42)의 타측 외부에는 서치라이트용 접속단자를 체결하며,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44)에 스프링(45)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구(46)이 삽입되어 있고, 이 고정구(46)는 랜즈와 같이 고정되는 텐션고정판(21)의 중앙부에 체결하여 고정하되, 텐션고정판(21)의 중앙부는 중앙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자체가 텐션의 힘을 누르게 되면 렌즈가 유동되어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줌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보턴(24)을 누르면 와이어(27)에 의하여 밀판(19)이 유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램프(5)가 전면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램프의 끝부분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46)가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는 텐션고정판(21)을 압착하게 되기 때문에 램프(5)가 흔들림없이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밀판(19)이 압착하는 힘은 고정단자(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45)과 텐션고정판(21)에 의하여 완충하게 되며, 또한 실질적으로 완충이 되는 부분은 스프링(45)을 압착하고 있는 고정구(41)이기 때문에 텐션고정판(21)이 움직이는 것은 극히 미약하게 된다.
한편 서치라이트 본체를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구에서 캡(33)을 분리한 다음 이 캡을 손잡이부(4)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돌출부(31)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상태에서 연결구에 전원 케이블을 체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서치라이트에 스몰라이트기능을 부가하여 길을 가거나 물건을 찾을 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트로보가능을 부가하여 비상용 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치라이트의 불빛촛점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서치라이트와 스트로보기능 및 라이트기능이 겸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서치라이트로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서치라이트본체의 저면에 충전식 밧데리를 체결하고 본체의 상부에는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본체의 후미에는 전원용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케이스(2)의 하단에 스몰라이트(3)를 일체로 설치하고,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부(4)의 일측에는 램프(5)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조절부(6)를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서치라이트 작동스위치(8)와 스트로보 작동 스위치(7)및 스몰라이트 작동 스위치(47) 및 하이빔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는 작동부(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는 나사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13)의 삽입공(12)하단에 전원공급단자(14)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15)을 고정설치하고, 기판(15)의 타측에는 브라켓트(16)를 설치하되 그 일측에는 램프(5)가 설치되는 램프고정구(17)를 설치하되 램프고정구(17)의 중앙부에는 밀판(19)과 램프고정 브라켓트(18)를 체결하여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하고, 그 일측에는 반사경을 설치하며, 반사경의 끝부분에는 램프(5)를 고정하는 텐션고정판(21)에 체결하여 랜즈(22)와 체결고정하고, 반사경의 중앙부에는 램프(5)를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삽입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3. 제 1 항에 있어서, 줌조절부(6)는 손잡이부(4)의 일측에 양측으로 고정돌기(23)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보턴(24)을 체결하여 고정돌기(2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되 회전보턴(24)의 저면 일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돌출부(29)를 형성하고, 그 일측의 손잡이부(4)에는 격판(25)을 형성하되 격판(25)의 중앙부에 고정용 요홈(26)을 형성하여 와이어(27)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28)가 삽입 고정되게 하되 와이어(27)의 끝부분은 회전보턴(24)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9)에 고정하고, 와이어(27)의 타측은 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1)를 이용하여 브라켓트(16)에 고정하되 와이어의 끝부분은 브라켓트(16)를 관통하여 밀판(19)에 접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4.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5)의 내부에 스몰라이트용 전구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5.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5)의 발광부(34) 일측에 고정되는 접속단자(35)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6)를 돌출형성하되 체결부(36)의 양측에 절개부(37)를 형성하며, 이 절개부(37)에 소형전구(38)가 삽입되게 하되 전구의 연결되어 있는 전선(39)은 절개부(37)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하고, 체결부(36)에는 일측에만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공(4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1)를 체결하여 고정하며, 그 일측에는 반사경(20)을 삽입한 다음 고정단자(42)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단자(42)의 일측 내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반사경(20)의 내부로 삽입하여 체결부(36)에 체결하고, 고정단자(42)의 일측에는 전구의 빛이 방사될수 있는 장공부(43)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장공부(43)의 돌출부분이 반사경(20)을 고정되게하며, 고정단자(42)의 끝부분에는 삽입공(44)을 형성하여 스프링(45)을 삽입한 다음 고정구(46)를 체결하여 삽입공(44)에서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하고 고정구(46)는 턴션고정구(21)에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6.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4)의 후미에는 후면커버(1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돌출부(11)와 같은 크기 보조돌출부(32)를 형성하여 나사돌출부(11)에 체결되는 캡(33)을 체결하여 보관할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장치와 스트로보장치 및 스몰라이트와 하이빔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서치라이트(SEARCH LIGHT).
KR2019980017844U 1998-09-18 1998-09-18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KR200253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44U KR200253851Y1 (ko) 1998-09-18 1998-09-18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44U KR200253851Y1 (ko) 1998-09-18 1998-09-18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51U KR20000006651U (ko) 2000-04-25
KR200253851Y1 true KR200253851Y1 (ko) 2001-12-28

Family

ID=6952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844U KR200253851Y1 (ko) 1998-09-18 1998-09-18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8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966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씨맥스 렌즈교체가 가능한 다용도 led 서치라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966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씨맥스 렌즈교체가 가능한 다용도 led 서치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51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431B1 (en) Night laser sight
US10508784B2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US7594735B2 (en) Multi-switch flashlight
US6641279B1 (en) Dual-beam light assembly with adjustable posterior head
US20080013305A1 (en) Multi-switch flashlight
US5944407A (en) Flashlight/area table lamp having a flexible neck
CA3110071C (en) Flashlight with rear-facing signal light and modular integrated mount system
JPH088001B2 (ja) 信号灯付き懐中電灯
WO2006130387A2 (en) Cassegrain optical configuration to expand high intensity led flashlight to larger diameter lower intensity beam
US7281814B2 (en) Car flashlight structure
US20200217465A1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US20020041139A1 (en) Portable Lamp With Adjustment Device To Obtain Different Emitted Light Cones
US6017129A (en) Switchable tail-cap illuminator with power supply
KR200253851Y1 (ko) 줌장치와스트로보장치및스몰라이트와하이빔장치가일체로설치된휴대용서치라이트
US3226538A (en) Illuminating means
US20060098424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EP0400594A3 (en) Flashlight
JPH0992472A (ja) ナイトライト
US20180128461A1 (en) Multi-bodied flashlight
US20060176690A1 (en) Multi-function emergency ready light
EP0560327A2 (en) Flashlight including two reflecting mirrors for one light source
WO2001061238A1 (en) Bi-directional flashlight
CN210069544U (zh) 一种双光源led手电筒
CN213272377U (zh) 电源盒及照明灯具
US10228110B1 (en) Handheld illunating device with orb-shaped lens for enhancing forward and lateral vis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